KR200341482Y1 - 제연장치 - Google Patents

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82Y1
KR200341482Y1 KR20-2003-0037183U KR20030037183U KR200341482Y1 KR 200341482 Y1 KR200341482 Y1 KR 200341482Y1 KR 20030037183 U KR20030037183 U KR 20030037183U KR 200341482 Y1 KR200341482 Y1 KR 200341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ssage
induction pipe
control device
ai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새한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to KR20-2003-0037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건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화재시 비상 통로나 계단과 같은 피난구역으로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연장치는, 건물의 피난구역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여 제연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연장치로서,
건물의 제연구역에 위치하는 제연댐퍼와, 이 제연댐퍼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건물의 실내구역의 화재를 감지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와 연결되고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는 압력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감지장치는, 단일의 통로가 제공되고 이 통로를 통해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도관과, 이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 구간상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공기가 머무르도록 하는 챔버와, 상기 공기유도관에서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밸브와 이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연장치{smoke-proof apparatus}
본 고안은 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화재시 비상 통로나 계단과 같은 피난구역으로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고층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화재시에 대형의 인명피해가 유발되는 것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가 주된 요인이 된다. 이러한 연기는 화염상태 및 연소 직후 발생되는 유독가스 보다는 상대적으로 인명피해의 직접적인위험도는 적지만 화재시에 연기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이 되는 것은 건물내의 공조기기 등의 덕트를 통해 건물의 실내구역은 물론이거니와 피난구역까지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화재시 피난구역을 통해 신속한 대피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화재시에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확산되면 대피는 물론이거니와 화재의 초기 진압 등이 어렵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의 각층에는 제연장치가 설치되어 화재시에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제연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건물(B)의 피난구역(A1)과 실내구역(A2)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즉, 공기유도관(100)으로 연결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실내구역(A2)에 대응하는 유도관(100)에 차압(差壓)밸브(1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밸브들을 통해 흐르는 공기 압력을 센싱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120)를 설치하여 피난구역(A1)과 실내구역(A2)내의 분위기 압력차이를 센싱한다.
그리고, 상기한 압력센서(120)는 센싱된 압력에 따라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건물(B) 외부로부터 공기를 피난구역(A1)으로 공급하는 송풍장치와 연계되어 설치된다. 이 송풍장치와 연결된 제연댐퍼(130)는 상기 압력센서(12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한 재연댐퍼(130)를 통해 송풍장치로부터 피난구역(A1)에 외부 공기를 강제 공급하거나 그 공급을 차단한다. 즉, 실내구역(A2)과 피난구역(A1)이 항상 일정한 분위기 압력 차이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피난구역(A1)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피난구역(A1)과 실내구역(A2)의 분위기 압력 차이는 건물(B)내에 요구되는 제연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화재시 실내구역(A2)의 분위기 압력보다 피난구역(A1)의 분위기 압력이 대략 60Pa 범위내로 높게 셋팅되어 이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실내구역(A2)의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피난구역(A1)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연장치에 적용되는 차압밸브(110)는 화재시 실내구역(A2)의 압력이 상승되면 이 압력을 그대로 일방향 패스시켜서 압력센서(120)에 의해 센싱되도록 함으로서 화재시에 피난구역(A1)과 실내구역(A2)의 압력차이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차압밸브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1개의 메인포트(main-port)와 1개 또는 2개의 서브포트(serve-port)가 서로 연통된 예를들면, "―" 또는 "T"자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상기한 서브포트들과 메인포트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한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 사이에서 서브포트의 통로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이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접한 서브포트 통로를 차단시킴과 아울러 메인포트에만 압력을 패스시키는 밸브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차단부재는 횡격막이라고 하는 박판(薄板)의 구조를 가지는 다이어프램(diaphramg)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1개의 차압밸브가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차압밸브의 구조상 1개의 메인포트에 1개 또는 2개의 서브포트만 형성되기 때문에 건물의 각층에서 피난구역과 1개 또는 2개의 실내구역만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의 실내구역이 구비되는 대형의 건물에서는 이에 대응하도록 다수개의 차압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제연장치는 건물의 실내구역과 피난구역 사이에 차압밸브를 설치하여 이 밸브에 의해 상기 실내구역과 피난구역의 분위기 압력 차이 즉, 차압 센싱을 행하려면 각각의 실내구역과 피난구역을 연통하는 파이프를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 파이프에는 상기 실내구역에 대응하는 차압밸브 및 압력센서 등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연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축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며, 유지보수 등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제연장치는 실내구역들과 단일의 제연구역의 이격구간을 파이프로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이들 영역의 분위기 압력 차이를 센싱하는 구조이므로 신속한 제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차압밸브의 구조상 포트의 개폐 동작시에 마찰이나 저항이 유발되므로 예를들면, 화재 초기시 실내구역에서 발생되는 미압(微壓) 등을 제대로 센싱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센싱 효율과 정밀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화재 초기시 발생되는 미압을 원활하게 제어하지 못하게 되면 화재의 초기 진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형의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연을 위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제어 정밀도 및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제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건물의 피난구역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여 제연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연장치로서,
건물의 제연구역에 위치하는 제연댐퍼와, 이 제연댐퍼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건물의 실내구역의 화재를 감지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와 연결되고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는 압력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감지장치는, 단일의 통로가 제공되고 이 통로를 통해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도관과, 이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 구간상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공기가 머무르도록 하는 챔버와, 상기 공기유도관에서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밸브와 이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제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의 바람직한 설치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평면도.
도 2는 도 1의 압력감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제연댐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연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는, 건물의 제연구역(A1)에 위치하는 제연댐퍼(2)와, 이 제연댐퍼(2)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건물 의 실내구역(A2) 화재를 감지하는 제어장치(4)와, 이 제어장치(4)와 연결되고 피난구역(A1) 내의 분위기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감지장치(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연장치가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피난구역(A1)과 6개의 실내구역(A2)으로 이루어지는 건물(B)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연댐퍼(2)는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8) 내부에 개폐블레이드(10)가 설치되고 이 개폐블레이드(10)는 상측에 설치된 구동부(12)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2)의 구동원으로는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있다.
상기 제연댐퍼(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건물(B)의 층별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피난구역(A1)내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상기 피난구역(A1)은 도 1에서와 같이 건물(B) 내부에서 화재시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통로나 계단과 같은 피난 영역으로서 이는 소방 법규상 정해진 크기 및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면에서와 같이 일반 복도나 계단 등과 이격된 영역에 주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장치(4)는 도 1에서와 같이 건물(B) 내부의 실내구역(A2)들에 각각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4)와 연결되어 이 센서(14)로부터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연댐퍼(2)의 구동부(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공급덕트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피난구역(A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블레이드(10)를 회전 동작시키는 제어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장치(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건물(B)의 중앙 관제실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연댐퍼(2)의 블레이드(10)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4)에 의해 상기 제연댐퍼(2)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전기적 연결방법은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4)는 화재시 실내구역(A2)의 온도나 연기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건물(B)의 실내구역(A2)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구역의 화재를 감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주로 실내구역(A1)의 천정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4)와 무선 송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센서(14)에서 센싱된 신호가 상기 제어장치(4)에 무선 송신되도록 하는 구조는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화재감지센서(14)에는 신호 발신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4)에는 신호 수신기가 설치되어 신호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난구역(A1)에는 이 구역의 분위기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압력감지장치(6)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압력감지장치(6)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감지장치(6)는, 단일의 통로(H)로 이루어지고 피난구역(A1)내의 분위기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도관(16)과, 이 공기유도관(16)의 일측단 통로(H)를 개폐하는 차단밸브(18)와, 상기 공기유도관(16) 통로(H)상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공기가 머무르도록 하는 챔버(20)와, 이 챔버(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유도관(16)에서 상기 차단밸브(18)와 이격되어 통로(H) 상에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2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도관(16)은 상기 피난구역(A1)내의 공기가 단일의 통로(H) 구간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일 통로(H)상에서 흐르는 공기의 압력이 후술하는 압력감지센서(2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자 모양으로 밴딩되어 상기 피난구역(A1)에서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 양측단이 상기 피난구역(A1) 내부 영역과 연통되도록 셋팅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이 피난구역(A1)에 셋팅된 공기유도관(16) 통로(H) 내부는 상기 피난구역(A1)과 동일한 분위기 환경이 유지된다.
상기 공기유도관(16)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내부의 통로(H)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를들면, 원형모양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밸브(18)는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 일측단에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밸브(18)는 상기 제어장치(4)와 연결되어 이 제어장치(4)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되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4)에 상기 화재감지센서(14)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유도관(16)의 일측 통로(H)를 차단하여 통로(H) 내부를 밀폐 분위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챔버(20)는 상기 공기유도관(16)을 흐르는 피난구역(A1)내의 공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보다큰 내부 공간부(H1)를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 구간내에 도면에서와 같이 위치한다.
상기 챔버(20)는 상기 공기유도관(16)과 동일한 재질 및 내부 공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도관(16)과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와 상기 챔버(20)의 공간부(H1)는 서로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관(16) 통로(H) 구간상에 챔버(20)가 설치되면, 상기 공기유도관(16) 통로(H)에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량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압력감지센서(22)로 공기유도관(16) 통로(H) 내에 분위기 압력과 제역구역(A1) 내의 분위기 압력 차이를 원활하게 센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공기유도관(16)에 챔버(20)가 설치되지 않으면 압력감지센서(22)에 의해 공기유도관(16) 통로(H) 내부와 피난구역(A1)내의 분위기 압력 차이를 센싱할 때에 상기 차단밸브(18)에 의해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 일측단이 차단된 상태에서 센싱을 행하게 되므로 상기 압력감지센서(18)측에 상기 피난구역(A1)내의 압력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구역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용이하게 센싱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센싱 정밀도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22)는 공기와 같은 유체 압력을 센싱하는 이미 잘 알려진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관(16)에서 상기 차단밸브(18)의 타측단 통로(H)에 위치함과 아울러 이 통로(H) 구간을 따라 패스되는 공기의 압력을 원활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압력감지센서(22)는 화재시 상기 차단밸브(18)가 상기 공기유도관(16)의 통로(H) 일측단을 차단시켜서 통로(H) 내부 영역이 밀폐 분위기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H)의 타측단을 통해 유입되는 피난구역(A1)내의 분위기 압력 즉, 공기 압력을 센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센싱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장치(4)로 보내져서 이 제어장치(4)에 의해 상기 제연댐퍼(2)를 작동시켜서 외부 공기가 상기 피난구역(A1)에 공급되도록 하여 화재시 피난구역(A1)의 분위기 압력이 허용 범위내로 유지되면서 제연 환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재시 피난구역(A1)내의 분위기 압력을 허용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은 에를들면, 실내구역(A2) 즉, 화재구역의 분위기 압력과의 차압을 센싱하여 일정한 압력 차이가 유지되도록 한 간접 제어방법이 아니라, 단일의 피난구역(A1)에서 이 구역의 분위기 압력만을 센싱하여 상기 제연댐퍼(2)를 통해 허용 범위내로 유지시키는 직접 제어구조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의 작동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재시 피난구역(A1) 내에 요구되는 분위기 압력은 대략 40 내지 60 Pa 범위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연댐퍼(2)는 상기 압력감지센서(22)에서 센싱된 압력 수치가 상기 제어장치(4)에 의해 인식됨과 아울러 압력 수치가 허용압력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연댐퍼(2)가 개방되도록 하여 허용압력 범위가 될 때까지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피난구역(A1) 내의 분위기 압력이 허용범위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연댐퍼(2)를 차단 동작시켜서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화재시 피난구역(A1)내의 분위기 압력을 허용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는 화재시 단일의 피난구역(A1)내에서 상기 압력감지장치(6)에 의해 상기 피난구역(A1)의 분위기 압력만을 용이하게 센싱하여 최적의 제연환경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화재구역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피난구역(A1)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장치(6)는 단일의 피난구역(A1)에서 공기유도관(16) 내부를 밀폐 분위기로 유지시킨 후 이 공기유도관(16) 내부 영역과 피난구역(A1)의 분위기 압력 차이를 센싱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센싱 능률과 정밀도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는, 압력감지장치에 의해 단일의 피난구역 내의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면서 화재시 피난구역의 제연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압력감지장치는 단일의 통로를 갖는 공기유도관 양측단에 이 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와 상기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어 화재시 상기 차단밸브에 의해 상기 공기유도관의 내부를 밀폐 분위기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측 통로를 통해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압력을 센싱하면서 이 구역을 제연을 위한 분위기 압력 범위내로 유지시키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단일의 피난구역내에서 이 구역의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함으로서 더욱 향상된 센싱 능률과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는, 상기 압력감지장치에 의해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압력만을 센싱하는 구조이므로 신축 또는 이미 구축된 건물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 구간상에는 이 통로를 흐르는 공기가 머무를 수 있도록 한 영역을 제공하는 챔버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센세의 센싱시 피난구역의 분위기 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Claims (5)

  1. 건물의 피난구역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여 제연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연장치로서,
    건물의 제연구역에 위치하는 제연댐퍼와, 이 제연댐퍼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건물의 실내구역의 화재를 감지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와 연결되고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압력을 직접 센싱하는 압력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감지장치는, 단일의 통로가 제공되고 이 통로를 통해 피난구역내의 분위기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도관과, 이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 구간상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공기가 머무르도록 하는 챔버와, 상기 공기유도관에서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밸브와 이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제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관은 단일의 통로 양측단이 피난구역에 연통되도록 셋팅되는 제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통로 보다 큰 공간부가 제공되는 제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화재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유도관의 일측단 통로를 차단하여 이 통로 내부가 밀폐 분위기가 되도록 하는 제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화재시 피난구역의 분위기 압력과 상기 공기유도관 통로 내부의 분위기 압력 차이를 센싱하는 제연장치.
KR20-2003-0037183U 2003-11-28 2003-11-28 제연장치 KR200341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83U KR200341482Y1 (ko) 2003-11-28 2003-11-28 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83U KR200341482Y1 (ko) 2003-11-28 2003-11-28 제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82Y1 true KR200341482Y1 (ko) 2004-02-14

Family

ID=4934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183U KR200341482Y1 (ko) 2003-11-28 2003-11-28 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87B1 (ko) *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KR102331073B1 (ko) 2021-07-27 2021-12-01 (주)성우이엠이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87B1 (ko) *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KR102331073B1 (ko) 2021-07-27 2021-12-01 (주)성우이엠이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CN102869410A (zh) 用于分开地供应泄漏气流和补充气流的空气供应调节门,用于控制空气供应调节门的方法,以及使用空气供应调节门的烟气控制系统
US5855510A (en) System for exhausting smoke and controlling fires within a building
KR101574682B1 (ko) 실내 급배기 연계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CN211290114U (zh) 防排烟系统
US5979565A (en)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for biological/chemical contamination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20140059056A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EP3542870B1 (en) A ventilation system for a building having a smoke evacuation 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KR102207167B1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0932628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0341482Y1 (ko) 제연장치
KR100419390B1 (ko)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US8096862B1 (en) Isolation damper with proofing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JPH0926172A (ja) 換気装置
KR200393246Y1 (ko) 제연장치
KR200173248Y1 (ko)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JPH0313493B2 (ko)
KR200362528Y1 (ko) 제연장치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101912050B1 (ko)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룸을 이용한 소형 배풍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