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27Y1 -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27Y1
KR200341027Y1 KR20-2003-0035683U KR20030035683U KR200341027Y1 KR 200341027 Y1 KR200341027 Y1 KR 200341027Y1 KR 20030035683 U KR20030035683 U KR 20030035683U KR 200341027 Y1 KR200341027 Y1 KR 200341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hinge structure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윤
Original Assignee
스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전자(주) filed Critical 스타전자(주)
Priority to KR20-2003-0035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지지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0); 양단에 각각 사이드공이 형성된 절곡편과 중앙에 중심공이 형성되게 권취부가 형성된 연결브라켓트(20);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샤프트(30);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함께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50); 및 일단은 연결브라켓트에 걸려지는 동시에 타단은 회전브라켓트에 걸려져 일정 토크를 발생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4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비틀림코일스프링 자체 텐션력만으로 힌지구조를 설정범위 내에서 상하 어느 위치로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각 부품의 해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구조{hinge construction}
본 고안은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림코일스프링 자체 텐션력만으로 힌지구조를 설정범위 내에서 상하 어느 위치로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각 부품의 해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힌지(hinge)는 어떤 기구물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용이하게 회전 작동되도록 서포트 해주는 기구이다.
상기한 힌지의 구조는 실생활에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각종 도어, 노트북컴퓨터, PDP, 히터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힌지의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에도 많은 선출원 및 선등록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스프링만으로 힌지구조를 작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힌지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 외에 다른 부수적인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코스트의 상승을 불러와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힌지구조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제품의 외관이 심플하지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힌지구조에 다량의 부품이 적용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조립시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조립후에는 다량의 부품으로 인해 제품의 외관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 나아가서 종래에는 힌지구조를 조립 및 해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기술은 다량의 부품으로 인해 조립 및 해체시 장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하나의 부품이 파손될 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부품의 분리생산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생산성을 대폭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정브라켓트와 연결브라켓트를 중심으로 샤프트와 회전브라켓트가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텐션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자체 텐션력만으로 힌지구조를 설정범위 내에서 상하 어느 위치로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힌지의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힌지구조의 각 부품의 해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힌지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사이드공이 형성된 절곡편과 중앙에 중심공이 형성되게 권취부가 형성된 연결브라켓트; 상기 양 사이드공과 중앙의 중심공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샤프트;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함께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일단은 연결브라켓트에 걸려지는 동시에 타단은 회전브라켓트에 걸려져 일정 토크를 발생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요부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초기상태의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회전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힌지구조를 히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 는 상기 도 4 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요부 배면도.
도 6 의 (a)는 상기 도 5 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초기상태도이고,
(b)는 상기 도 5 에 적용된 힌지구조의 회전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브라켓트 20: 연결브라켓트
30: 샤프트 40: 비틀림코일스프링
50: 회전브라켓트 60, 61: 내,외부케이스
70, 71: 전,후면케이스 80: 헤드부
90: 받침대
본 고안에 적용된 힌지구조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힌지구조는 각종 도어, 노트북컴퓨터, PDP, 히터 등...에 다방면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고안에 적용된 부호 10은 각종 기구물의 지지부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이다.
또한 부호 20은 연결브라켓트로, 이 연결브라켓트(20)는 상기 고정브라켓트(10)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사이드공(22)이 형성된 절곡편(21)과 중앙에 중심공(24)이 형성되게 권취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권취부(23)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공(25)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양 사이드공(22)과 중앙의 중심공(24)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31)이 형성된 샤프트(30)가 구비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샤프트(30)와 중심공(24)은 억지끼움으로 체결되고, 샤프트(30)와 사이드공(22)은 헐거움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호 50은 회전브라켓트로, 이 회전브라켓트(50)는 체결공(31)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30)의 양단에 함께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51)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샤프트(30)의 양단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일단은 연결브라켓트(20)에 걸려지는 동시에 타단은 회전브라켓트(50)에 걸려져 일정 토크를 발생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4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고정브라켓트(10)는 받침대(9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전,후면지지커버(70)(71)중 전면지지커버(70)에 고정 설치되는동시에 상기 회전브라켓트(50)는 내,외부케이스(60)(61)중 내부케이스(60)와 함께 헤드부(80)에 결합 설치되어 히터의 헤드부를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외부케이스(61)는 하단 중앙에 걸림턱(62)이 형성되는 동시에 후면지지커버(71)의 상단 외측에는 걸림돌기(72)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힌지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된 힌지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도어, 노트북컴퓨터, PDP, 히터 등...에 다방면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0)와 연결브라켓트(20)를 중심으로 샤프트(30)와 회전브라켓트(50)가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텐션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고안의 기본원리는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계수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8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회전상태 및 젖혀진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샤프트(30)가연결브라켓트(20)에 마찰력이 없는 상태에서 회전브라켓트(50)에 고정되는 헤드부(80)를 지지해야 하므로 비틀림코일스프링(40)의 계수는 제품을 조립한 후 시험을 통하여 맞추어야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의 (a)는 힌지구조가 작동되기 전의 초기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틀림코일스프링(40)에 큰 비틀림 토크(TORQUE)가 발생되고 있다가 도 3 의 (b)와 같은 상태로 회전브라켓트(50)가 작동하게 되면 비틀림코일스프링(40)에는 적은 비틀림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에 적용된 상태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즉, 본 고안에 적용된 힌지구조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에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라켓트(10)는 받침대(9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전,후면지지커버(70)(71)중 전면지지커버(70)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브라켓트(50)는 내,외부케이스(60)(61)중 내부케이스(60)와 함께 헤드부(80)에 결합 설치되어 히터의 헤드부(80)를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은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틀림코일스프링(40)이 큰 비틀림력에 의해 헤드부(80)를 지지하게 되고, 도 3 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작은 비틀림력에 의해 헤드부(80)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의 (a)와 같은 상태에서는 연결브라켓트(20)와 고정브라켓트(10)가 전면지지커버(70)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는 헤드부(80)가 수직으로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헤드부(8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최대 45도로 회전 가능하다. 즉,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80)를 최대 45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중심공(24)과 사이드공(22)을 중심으로 샤프트(30)와 회전브라켓트(50)가 헤드부(80)와 함께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와 중심공(24)은 억지끼움으로 체결되고, 샤프트와 사이드공(22)은 헐거움으로 체결된다. 즉, 샤프트(30)와 연결브라켓트(20)에 강제적인 마찰력을 주지 않는 이유는 사이드공(22)에 강제적인 마찰력을 주는 경우 오히려 긁힘으로 인하여 회전이 안되는 불량이 생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80)가 상부로 45도만 회전되는 이유는, 외부케이스(61)가 뒤로 젖혀지면서 걸림턱(62)이 후면지지커버(7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72)에 걸려져 더 이상 젖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트와 연결브라켓트를 중심으로 샤프트와 회전브라켓트가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텐션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자체 텐션력만으로 힌지구조를 설정범위 내에서 상하 어느 위치로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힌지의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힌지구조의 각 부품의 해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지지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0);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사이드공이 형성된 절곡편과 중앙에 중심공이 형성되게 권취부가 형성된 연결브라켓트(20);
    상기 양 사이드공과 중앙의 중심공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샤프트(30);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함께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 기구물에 체결 고정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브라켓트(50);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일단은 연결브라켓트에 걸려지는 동시에 타단은 회전브라켓트에 걸려져 일정 토크를 발생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에는 절개공(25)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중심공(24)은 억지끼움으로 체결되고, 샤프트와 사이드공(22)은 헐거움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는 받침대(9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전,후면지지커버중 전면지지커버(70)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브라켓트는 내,외부케이스중 내부케이스와 함께 헤드부(80)에 결합 설치되어 히터의 헤드부를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5. 제 4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하단 중앙에 걸림턱(62)이 형성되는 동시에 후면지지커버의 상단 외측에는 걸림돌기(72)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KR20-2003-0035683U 2003-11-14 2003-11-14 힌지구조 KR200341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3U KR200341027Y1 (ko) 2003-11-14 2003-11-14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3U KR200341027Y1 (ko) 2003-11-14 2003-11-14 힌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311A Division KR100597275B1 (ko) 2003-11-13 2003-11-13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27Y1 true KR200341027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83U KR200341027Y1 (ko) 2003-11-14 2003-11-14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218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752700B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US6191937B1 (en) Display with gear type hinge
KR20090013348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JP2008121795A (ja) 薄型2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薄型2軸ヒンジ装置の製造方法
JP583444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341027Y1 (ko) 힌지구조
KR100597275B1 (ko) 힌지구조
KR100317565B1 (ko) 디스플레이 지지용의 얇은 단부와 높은 견고성을 갖는 프레임 플레이트
US20040244148A1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al display appliance
US20100079931A1 (en) Anti-oscillation device for a notebook display
US10712785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154612A1 (en) Hinge
JP4739429B2 (ja) 2軸ヒンジ
JP6219345B2 (ja) ヒンジ
CN219346009U (zh) 底座组件和会议设备
JP3996662B2 (ja) 昇降収納装置
KR100896908B1 (ko) 차량용 트렁크의 토션바 조립구조
JP2013064460A (ja) トルクヒンジ
JP2006189135A (ja) ヒンジ装置
JP2749470B2 (ja) 表示パネルの取付装置
JP6308034B2 (ja) 譜面受けの取り付け構造
CN101339303A (zh) 双屏幕铰链机构及双屏幕支架
JP4620514B2 (ja) メーターパネ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