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658Y1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Google Patents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9658Y1 KR200339658Y1 KR20-2003-0033243U KR20030033243U KR200339658Y1 KR 200339658 Y1 KR200339658 Y1 KR 200339658Y1 KR 20030033243 U KR20030033243 U KR 20030033243U KR 200339658 Y1 KR200339658 Y1 KR 2003396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cap
- writing instrument
- case
- light emitt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종래의 필기구의 단순한 형상을 탈피하여 단수 또는 복수개의 투명 연결대가 몸체를 형성하여 기둥 역할을 하고 가변형 다리와 같은 지지수단으로 세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보호캡(50, 50')의 단부측에,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지지수단(51, 51b, 52, 52b, 53, 53b, 54)이 형성되되, 복수개의 지지수단(51, 51b, 52, 52b, 53, 53b, 54)은 회전수단에 의해 보호캡(50, 50')과 결합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고, 전원(260)과 접속하여 발광하는 발광 수단(230)에 의해서 상기 연결대(30, 30')가 발광하여 어두운 곳에서 불빛을 비추는 기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버틱하고 신비로운 디자인과, 설치면, 수평면 등에 수직하게 세워놓을 수 있는 기능성을 겸비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기구는 바 형상의 본체부에 필심을 결합한 형태로서, 필심의 팁을 통해 흘러나오는 잉크로 종이에 글을 쓰는 도구이다.
이러한 필기구는 조출식, 출몰식의 경우, 필기구걸이인 클립, 잉크가 담겨 있는 필심, 스프링, 필심케이스, 필심 조출장치 또는 출몰장치로 구성되며, 여기서 클립에 의해 포켓에 꼽아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는 캡식의 경우, 클립, 필심, 보호캡, 핑거홀더, 팁홀더, 필심케이스로 구성되어서, 팁홀더의 축심에서 미리 필심의 팁이 돌출되어 필기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팁홀더를 보호캡으로 닫아 사용하게 되어 있다.
보호캡은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필심의 팁을 보호하고, 필심으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와 사용자의 옷, 포켓 등에 묻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필기구에는 형식과 기능에 따라 만년필, 필기구, 연필, 샤프, 매직펜, 네임펜 등과 같이 각양 각색의 종류가 존재하나, 하나같이 그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팔각형, 삼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또는 바 형상의 본체부를 갖고 있어서, 디자인과 기능성에 있어서 대동소이하여 단순 필기성만을 제공할 뿐,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성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제품 소비 심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펜 안착식 필기구 세트는 필심을 갖는 필심을 갖는 바 형상의 본체부 팁 부위를 수평면상에 수직하게 놓여져 있거나 경사각을 갖게 놓여져 있는 펜 안착구에 삽입함으로써, 필기를 하지 않을 때, 본체부를 수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및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펜 안착식 필기구 세트는 펜 안착구와 본체부가 양분되어 있어서 소지와 운반이 불편하게 디자인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면 확보를 위해 상대적으로 매우 넓은 면적으로 비대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포켓 등에 걸어 사용하거나 필통 등과 같은 곳에 보관이 용이치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은행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홀더형 필기구의 경우에도, 접착스티커로 소정 설치표면에 부착된 설치홀더에 필심이 외부로 돌출된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휴대, 소지, 운반 중에 필기구를 사용 및 세워 보관하는 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2000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30881호에 개시된 바 있는 '장식 기능을 갖는 볼펜'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실제 사용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관체로 만들어진 볼펜대와, 상기 볼펜대에 내장되어 그 끝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볼펜촉이 결합되어 있는 볼펜심과, 상기 볼펜대의 일단인 볼펜촉 부분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볼펜촉을 외적인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캡으로 구성된 볼펜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하단에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보호캡을 지면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면에 압착 가능한 압착 패드와, 상기 볼펜대의 볼펜촉 반대쪽 끝단에 구비되어 장식적 이미지를 갖도록 인형형상을 하거나 의인화된 동물형상을 하는 장식물을 더 포함하여 필기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상이나 테이블 같은 지면에 세워서 장식용으로 이용하도록 한 장식 기능을 갖는 볼펜이다.
그런데 종래 제30881호의 볼펜은 장식용 전용으로 지면에 세워져 있을 수 있는 접촉면을 갖기 위해서, 앞서 언급한 종래의 홀더형 필기구와 대동소이하게 볼펜의 직경보다 몇 배나 넓은 평면적의 압착 패드를 고정식으로 보호캡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장식을 위할 뿐 통상의 볼펜, 필기구의 휴대성이 제한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03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7070호를 통해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대해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진행하였고, 이후 계속된 제품 개발과 기술적 진보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하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특유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개의 투명 연결대가 몸체를 형성하여 기둥 역할을 하고, 필기구의 보호캡에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수단으로 꽃잎처럼 복수개의 부분으로 나눠져서 발톱처럼 안정감 있게 벌여지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몸체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발광 수단을 내장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 액세서리로서의 제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필기구걸이인 클립을 제거한 상태의 보호캡을 확대하여 지지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중 보호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부가되는 케이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기구 몸체 20, 20' : 제2필심케이스
25, 45 : 연결대 결합구멍 27 : 필심 장착구멍
30, 30' : 연결대 39 : 필심
40 : 제1필심케이스 44 : 팁홀더
47 : 필심 관통구멍 50, 50' : 보호캡
51, 51b, 52, 52b, 53, 53b, 54 : 지지수단 51a, 52a, 53a, 54a : 평활면
55, 55b : 힌지 결합 부위 210 : 상부멤버
220 : 하부멤버 230 : 발광 수단
240 : 발광 수단 보호커버 250 : 제2접촉자
260 : 전원 270 : 스위치
280 : 제1접촉자 300 : 받침케이스
310 : 외장케이스 312 : 삽입 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보호캡의 단부측에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수단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캡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네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보호캡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보호캡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힌지 결합 부위와, 지지수단의 힌지 결합용 돌기부와, 힌지 결합 부위의 힌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는 상기 필기구 및 보호캡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상의 지지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표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들을 최대 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지지수단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지지표면은 서로 동일 수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축심방향으로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는 반구 형상을 축심방향으로 네 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지지수단이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 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으로 하여금 각도 범위 0° ∼ 90°내에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의 축심에 필심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필심 관통구멍을 갖는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필심이 고정되는 필심 장착구멍을 갖는 제2필심케이스와;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연결대 결합구멍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심케이스에는 필기 작업시 상기 보호캡을 안착시켜 보관하기 위한 중공형 창(spear) 형상, 중공형 스파이크 형상의 캡 안치부위가 방패 형상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목적은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는 상기 필기구 및 보호캡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상의 지지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표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들을 최대 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지지수단 각각의내면에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지지표면은 서로 동일 수준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표면의 반대면 쪽에 결합되며, 필심 관통구멍 및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을 갖는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공형 연결대와;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대향 배치되며, 필심 관통 구멍 및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에 의해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고정 결합되는 제2필심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과, 상기 전원과 접속하여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필심케이스는 복수개의 나사체결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상부멤버와; 상기 나사체결 구멍에 대응하는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결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통공을 하부 격벽에 형성한 하부멤버와; 상기 상부멤버 및 하부멤버의 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공간에 고정되는 제1접촉단에 일측 전극을 접촉시키고, 타측 전극을 제2접촉단에 배열한 상기 전원과;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통전 시키도록,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에서 연장된 전선 중 어느 하나에 직렬로 결합된 스위치와;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을 극성에 맞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상기 스위치의 온 작동에 따라서 발광을 위한 입력 신호를 유한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제공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감싸게 결합한 발광 수단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하나의 중공형 튜브로서, 제1필심케이스의 결합구멍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턱을 갖는 제1끝단 돌기부와; 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결합구멍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제2끝단 돌기부와; 상기 제1끝단 돌기부와 상기 제2끝단 돌기부 사이의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반원 돌출형 축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상기 지지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지지홈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식 돌기부를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한 받침케이스와; 상기 받침케이스의 결합턱에 삽착되어 있고,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구의 소정부위에 삽입되도록 소정 위치에 삽입 돌기가 형성된 외장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와 도 3b는 필기구걸이인 클립을 제거한 상태의 보호캡을 확대하여 지지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펜 형상을 갖는 필기구로서, 필기구 몸체(10)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보호캡(50)을 포함한다. 보호캡(50)은 가변형 다리와 같은 지지수단(52, 53)과 포켓 거치용 클립(59)을 갖는다.
지지수단(52, 5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유한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가변형 다리를 의미한다.
필기구 몸체(10)는 제1필심케이스(40)와 연결대(30)와 제2필심케이스(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필기구는 보호캡(50)을 필기구 몸체(10)에 삽입시킨 상태로 휴대, 소지되면서, 클립(59)을 이용하여 포켓(도시 안됨) 등에 끼워 보관된다.
특히, 보호캡(50)은 복수개의, 예컨대 4개의 지지수단(52, 53)에 의해서 책상 표면, 테이블 표면, 지지면 등과 같은 표면에서 필기구 몸체(10)와 함께 수직하고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필기구 몸체(10)는 파지시 손가락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곡선의 부드러움과 와이어 형태의 직선감을 제공하는 사이버틱한 디자인을 갖는다.
예컨대,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는 방패 반지링과 같은 형상으로 곡선형 외형을 갖고 있고, 이들의 사이를 축연결하는 복수개의, 예컨대 6개의 연결대(30)가 각각 얇은 원형 직선축 형상을 갖고 있어서 내부에 위치한 필심을 보호한다. 여기서, 각각의 연결대(30)는 투명형, 야광형, 컬러형, 메탈형 재질과 염료를 사용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거나, 광택, 무광택 금속 소재로 제작되거나, 염료, 도료, 촉감을 향상시킨 통상의 필기구용 코팅재가 코팅되어 제작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39)은 유성 펜심, 수성 펜심, 통상의 볼펜심으로서 잉크를 채운 합성수지 튜브와, 튜브의 끝단에 결합된 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필심(39)은 6개의 연결대(30)들로 둘러 싸여져 있는 상태로,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의 축심에 위치한다.
각각의 연결대(30)의 양쪽 끝단(35, 36)은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의 연결대 결합구멍(25, 45)에 각각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은 하기에 설명할 필심 장착구멍(27)과 필심 관통구멍(47)을 주위에서 각도 60ㅀ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연결대(30)의 외원주면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다. 이때,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상기 연결대 결합구멍(25, 45)과 동일 배치 간격을 갖고,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의 직경에 비해 약간 큰 구멍을 갖고 있어서, 연결대(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제2필심케이스(20)는 좌측 축심에 필심(39)을 삽입 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밀폐된 필심 장착구멍(27)을 갖는다. 제2필심케이스(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패 링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서 사이버틱하면서도 메카닉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제2필심케이스(20)의 외측 원주면에 형성된 링 결합홈(28)에 염주,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는 링 등과 같은 외측 반지링(21)을 결합하고 있다. 제2필심케이스(20)에는 필기 작업시 보호캡(50)을 안착시켜 보관하기 위한 중공형 창 형상, 중공형 스파이크 형상의 캡 안치부위(29)가 방패 형상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필심케이스(40)는 필심 관통구멍(47)을 축심에 형성한 것으로서, 우측에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와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을 형성하고 있다. 제1필심케이스(40)의 소정 외원주면에는 단턱(43)과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에 고무, 스펀지, 기타 탄성력을 갖는 어떠한 소재로서 부드러운 감촉과 파지감을 제공하는 핑거홀더(41)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핑거홀더(41)의 외형상은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와 상응한 물결 형상 부위를 갖고 있어서 유선형 접속선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파지감과 일체감 및 심미적 만족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필심케이스(40)의 나사부위에는 팁홀더(44)가 나사결합되어서, 결과적으로 필심(39)을 제1필심케이스(40)와 연결대(30)와 제2필심케이스(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팁홀더(44)는 탄환 헤드 형상으로서, 그의 축심에 팁 구멍을 형성하고 있어서, 필심(36)의 팁이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하다. 또한, 팁홀더(44)는 탄환 헤드 형상의 외원주면에 링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보호캡(50)의 개구된 부위쪽 내원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될 때 탭(50)을 필기구 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호캡(50)의 소정 외원주면에는 복수개의 클립고정홈(56)이 대향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59)의 고정단(58)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캡(50)의 밀폐된 부위쪽 외측면은 약간 둥근 사각형 표면으로서, 라운드된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서리에는 본 고안에서 회전수단이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의 회전수단은 힌지 결합 부위(55)와, 지지수단(51, 52, 53, 54)의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와, 힌지 결합 부위(55)의 힌지 구멍(55r)을 포함한다.
힌지 결합 부위(55)는 약간 파인 함몰홈 형상으로서 그의 모서리 중심에서 안쪽으로 파인 힌지 구멍(55r)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힌지 구멍(55r)에서는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가 삽입된 후,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의 양측면에 돌출된 회전축 또는 결합핀 등이 힌지 구멍(55r)의 양측방향을 통과하는 축 또는 핀구멍에 결합된다.
힌지 구멍(55r)의 폭은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의 폭에 상응하고, 이에 따라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와 힌지 구멍(55r)이 소정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정의 결합유격과 마찰계수를 갖게 된다.
여기에서, 지지수단(51, 52, 53, 54)은 축심방향으로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는 반구 형상을 축심방향으로 네 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이들이 펼쳐질 때 꽃잎처럼 펼쳐짐과 동시에 세워놓을 때 발톱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런 지지수단(51, 52, 53, 54)은 각도 범위 0° ∼ 90° 내에서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서 펼쳐질 수 있으나, 각도 범위 90° 이상에서는 회전수단 중 힌지 결합 부위(55)에 각각 접촉되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되게 보호캡(50)을 비롯하여 필기구 몸체(10)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는 지지력을 발휘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보호캡(50)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평상시 각각의 힌지 결합 부위(55)에 결합된 지지수단(51, 52, 53, 54)은 보호캡(50)의 축심방향에 일치하게 모여 있다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힌지 작동하여, 꽃잎처럼 네 부분으로 나눠져서 펼쳐진다. 이때, 보호캡(50)의 둥근 사각형 지지표면(57)이 지지수단(51, 52, 53, 54)의 평활면(51a, 52a, 53a, 54a)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지지수단(51, 52, 53, 54)의 평활면(51a, 52a, 53a, 54a)은 선접촉 환경이 아닌 복수개의 점접촉 또는 면접촉 환경을 제공토록 광폭 또는 단폭으로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계단형, 기어형, 돌기형, 엠보싱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수단(51, 52, 53, 54)이 보호캡(50)의 축심에 모아졌을 때, 평활면(51a, 52a, 53a, 54a)들길이 근접하여 형성하는 사각형 형상의 여유 틈(55a)을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손톱 등이 쉽게 들어갈 수 있어 편리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보호캡(50)은 펼쳐질 때 꽃잎처럼 네 부분으로 나눠지지만, 세워져 있을 땐 네 부분의 발톱 또는 받침다리 등과 같은 형상으로 안정감과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50)과 지지수단(51, 52, 53, 54)은 필기구 몸체(10)를 지지면이나 수평면상에서 충분히 세워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진이나 측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안정되게 필기구 몸체(10)를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10)와 보호캡(50)을 결합한 상태에서포켓 등에 보관할 때, 지지수단(51, 52, 53, 54)을 원래의 상태로 접어서 결과적으로 필기구 몸체(10) 직경에 대응한 직경과 유선형 형상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휴대성과 소지 능력이 뛰어나며 외관이 미려한 남다른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연결대(30)의 외원주면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어서, 도 4에서처럼 본 고안이 세워져 있을 때, 비틀림 각에 대응한 마찰력 발생으로 연결대(30)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고, 축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세 개의 지지수단을 보호캡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5b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중 보호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평상시 각각의 힌지 결합 부위(55b)에 결합된 지지수단(51b, 52b, 53b)은 보호캡(50')의 축심방향에 일치하게 모여 있다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힌지 작동하여, 꽃잎처럼 세 부분으로 나눠져서 펼쳐진다.
보호캡(50')의 둥근 삼각형 지지표면(57b)이 지지수단(51b, 52b, 53b)에서수평면 또는 지면과 닿는 표면 등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지수단(51b, 52b, 53b)에서 지면과 닿는 표면, 또는 둥근 삼각형 지지표면(57b)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무, 우레탄 재질의 충격 완충 부재 또는 스토퍼 부재(51c, 57c)가 부가적으로 더 부착되어서, 더욱 안정된 접촉력과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발광 수단을 내장하여 연결대로 하여금 발광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1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제2필심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10)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보호캡(50)을 포함하고, 보호캡(50)이 포켓 거치용 클립(59)과, 유한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지지수단(51)을 결합하여, 필심 보호, 필기구 거치, 필기구지지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과, 필기구 몸체(10)가 팁홀더(44), 핑거홀더(41), 제1필심케이스(40), 연결대(30), 필심(39), 제2필심케이스(20')를 결합하여 필기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대(30)는 저밀도 PE, 아크릴, 연질 PVC, PVDC, PS, 연신 PET, PC, PP, PET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투명성과 광택성이 뛰어난 유리,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으로서 투명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함께, 연결대(30)는 제품의 다양화를 위해서, 투명하면서도 다양한 색상(레드, 엘로우, 오렌지, 블루, 에메날드, 화이트, 핑크, 그린 등)을 갖고 있고, 필요한 경우 통상의 표면처리를 통해서 코팅되어 있으면서도 투명성을 일부 유지하는 질감을 갖지만, 여전히 발광다이오드 정도의 불빛이 통과, 굴절, 투사될 수 있다면, 본 고안에서는 어떠한 투명성 내지 광택성 재질이라도 모두 사용 가능하다.
물론, 필심(39)도 잉크를 담고 있는 부위의 재질이 앞서 언급한 연결대(30)의 재질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제2필심케이스(20')는 상기 설명한 복수개의 연결대(30) 및 필심(39)의 끝단부에 근접하여서, 개별적이거나 순차적이거나 동시적이거나 임의적이거나 소정 릴레이 프로그램에 의해 짜여진 순서적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연결대(30) 및 필심(39)을 통해 불빛을 투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발광 수단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2필심케이스(20')는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로 분해 및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은 발광 수단과 관련하여 내부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가 합체되어 있을 때에는 방패 반지링과 같은 형상의 곡선형 레이아웃을 갖고,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이아몬드 장식부(218)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멤버(210)는 서로 대치되는 양측에 각각 반달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211)를 갖되, 이곳 나사 결합부(211)에서는 각각 나사체결 구멍(211a)이 상하방향으로 통공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나사체결구멍(211a)을 갖는다.
하부멤버(220)는 상기 나사체결구멍(211a)에 체결될 수 있는 규격의 소정 고정나사(212)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상부멤버(210)의 나사 결합부(211)에 일치하게 돌출되어 있는 다른 나사 결합부(221) 및 그의 나사체결구멍을 갖는다.
이들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의 내부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확대 도시한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부멤버(210)는 그의 일측에 편심되어 외주연 쪽으로 개방되고 스위치가 위치될 사각형 단면의 내부 공간(213)과,소형 디스크 형상의 휴대 전지 등과 같은 전원, 이런 전원의 '+'극과 '-'극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제2접촉자들, 이런 제1, 제2접촉자들을 발광 수단 또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등이 위치될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214)을 갖는다.
상부멤버(210)의 상단에는 보호캡(50)을 끼워서 안착시킬 수 있는 중공형 창 형상 부위(219) 및, 그의 주위에 방패 형상 부위(217)가 형성된다.
도 8에 확대 도시한 단면도를 참조하면, 하부멤버(220)는 상기 상부멤버(210)에 대응하는 상단 원형 외벽(222) 및 하부 격벽(223)에 의해 둘러싸인 또 다른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224)을 갖는다.
여기에서, 하부 격벽(223)에는 상기 연결대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 구멍과 같은 역할과 함께, 불빛이 전달되는 빛 전달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복수개의 통공(225, 226, 227)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공(225, 226, 227)은 상기 연결대의 설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부 격벽(223)에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230)은 표면실장 기술을 이용하여, 일액형 또는 이액형 액폭시와 같은 커버재(231)로 실링된 칩셋(232)을 갖는 'COB' 타입의 플레시 회로부(제품명 : Chip-on-Board 6 led programmed flasher)이다.
발광 수단(230)은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239 : LED)들을 개별적이거나 순차적이거나 동시적이거나 임의적이거나 소정 릴레이 프로그램에 의해 짜여진 순서적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각각 발광시키는 전자 플레시 회로 장치이다.
이런 발광 수단(230)은 상기 칩셋(232)을 적어도 하나의 박막칩 저항(233), 스위칭 트렌지스터(234), 소형 릴레이 소자(235)를 상기 전자 플래시 회로 장치의 릴레이 회로에 대응한 회로 구성으로 기판 즉, 통상적으로 딱딱한 재질의 PCB 기판 내지 얇고 가볍고 연성을 갖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기판에 설치한 것이다.
예컨대, 칩셋(232)은 프로그램 가능한 'CMOS Hex Inverter'(제품명 : MC14069UB)가 사용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239)는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 튜닝시에 사용하는 최소형(size - 1608)이면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통상의 소형 박막칩 형태의 LED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물론, 발광 수단(230)은 제조 회사 한국리텍(대표자 : 이수명)의 FPCB 타입 6 LED, 8 LED 칩 릴레이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수단(230)은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극단자(236 : VCC)와 '-'극단자(237)를 갖는다.
'+'극단자(236)는 칩셋(232)으로 통전 되도록 동판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후 칩셋(232)으로부터 연장된 외곽의 원형 동판 라인을 따라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39)의 '+'극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극단자(237)는 칩셋(232)으로 통전 되도록 역시 동판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칩셋(232)의 LED 발광 제어 출력단들은 신호 입력 단자 및 해당 동판 라인을 통해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39)의 '-'극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극과 '-'극에 맞게 장착된 발광다이오드(239)는 스위치의온(ON)에 따라 칩셋(232)이 작동할 때, 칩셋(232)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유한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점멸하거나 소정 시간 간격동안 불빛을 발광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발광 수단(230)은 기판에 최소형 인버터(사이즈 길이 5.0㎜ × 폭 7㎜ × 두께 1.5t) 3.0V 타입을 장착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게 회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발광 수단(230)은 EL스트립과 같은 띠형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띠형 발광체가 본 고안에서 연결대로서 사용되도록 솔리드 타입으로 상기 언급한 연결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결과,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연결대의 반사광이 아니라, 띠형 발광체인 연결대에서 직접 발광이 이루어져 더욱 밝고 깨끗한 불빛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중 제2필심케이스(2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심케이스(20')의 결합 순서는 아래에서 위로 배열된 바와 같이, 하부멤버(220), 발광 수단(230), 발광 수단 보호커버(240), '-'극성의 제2접촉자(250), 전원(260), 스위치(270), 제1접촉자(280), 상부멤버(210)가 차례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하부멤버(220)의 내부 공간(224)에는, 발광다이오드(239)가 하부 격벽(223)의 통공(225, 227)에 각각 일치하도록, 발광 수단(230)이 안착된다.
발광 수단 보호커버(240)는 발광 수단(23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발광수단(230)의 회로 구성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커버의 틈새를 통해서 제2접촉자(250)로부터 통전 가능하게 연장된 제1전선(251)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제1전선(251)의 끝단은 적당한 납이 디핑된 발광 수단(230)의 '-'극단자(237)에 납땜으로 접속된다.
역시 발광 수단 보호커버(240)의 틈새에는 스위치(270)의 해당 극성 단자로부터 연장된 제2전선(272)이 통과한 후, 같은 결합 방식으로 제2전선(272)의 끝단이 '+'극단자(236)에 접속된다.
스위치(270)는 상부멤버(210)의 사각형 단면의 내부 공간(213)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거나, 기밀한 결합 유격을 유지하고 고정턱과 고정홈 결합방식으로 상기 내부 공간(213)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스위치(270)의 작동 레버는 상부멤버(210)의 외주연쪽을 향하게 약간 돌출되어 있고, 박판 형상의 스위치 작동 레버 커버(271)의 레버 안착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스위치 작동 레버 커버(271)를 좌, 우로 이동시켜서 스위치 온(ON)과, 스위치 오프(OFF)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270)에는 '+'극단자에 제3전선(273)의 일측 끝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의 타측 끝단이 제1접촉자(280)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접촉자(280)와 제2접촉자(250)의 사이에는 두 개의 휴대형 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전원(260)이 배치되며, 이때 전원(260)의 '+'극은 제1접촉자(280)에 접촉되며, '-'극은 제2접촉자(250)에 접촉되어 있다.
제1접촉자(280)는 그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부멤버(210)의 내부 공간(214)의 표면에 고정된다.
제2접촉자(250)는 그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광 수단 보호커버(240)의 표면에 고정된다.
이후,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는 그의 형상에 따른 원형턱 및 원형홈 결합방식에 의해 서로 축심방향으로 합체된 후, 고정나사를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에 체결하여, 제2필심케이스(20')로 완성된다.
휴대 전지로 이루어진 전원(260)이 다 소진되어 전원 교체가 필요할 때 사용자는 고정나사를 풀어 상부멤버(210)와 하부멤버(220)를 분해한 후, 전원(26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230)은 상기 내부 공간(224)에 안착될 경우, 발광다이오드(239)는 그의 높이만큼 통공(225, 227)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통공(225, 227)의 반대쪽에 삽입 및 접착제로 고정된 연결대(30)의 끝단과 각각 근접하여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스위치(270)의 스위치 온(ON)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앞서 설명한 발광 수단(230)의 칩셋의 작동에 따라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39)들이 불빛을 발광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연결대(30)에서 불빛이 발산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스위치 오프(OFF)위치에서, 발광다이오드(239)들의 불빛 발산이 정지된다.
<제4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중공형 연결대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내지 제2실시예와 대등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1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부가되는 케이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필기구 몸체(10)에서, 중공형 연결대(30')는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중공형 연결대(30')는 앞서 실시예에서 개시된 바 있는 개별적으로 원형 직선축 형상을 갖게 형성된 것과 달리 중공 튜브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사이버틱한 외적 디자인을 손상받지 않은 상태에서, 제품 제작시에 조립 공정과 조립 시간을 간소화시킴과 함께, 필기구의 구조적 강성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먼지 등이 필기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런 중공형 연결대(30')는 상광하협 단면의 형상과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면서 그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이런 중공형 연결대(30')의 하부쪽 끝단은 튜브형 제1끝단 돌기부(35')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가이드턱(35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제1필심케이스(40')는 상기 튜브형 제1끝단 돌기부(35')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필심(39)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결합구멍(47')을 형성하고, 이런 결합구멍(47')의 내주연에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이란, 상기 중공형 연결대(30')의 가이드턱(35a)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멍(47')의 슬릿 형상의 가이드홈(47a)을 의미한다.
다른 의미로,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이란 중공형 연결대(30')의 튜브형 제1끝단 돌기부(35')의 외주연에 숫나사산(도시 안됨)을 형성하고, 결합구멍(47')의 내주연에 암나사산(도시 안됨)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시킬 때, 그 때의 상기 숫나사산 및 암나사산을 의미한다.
어째든,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은 중공형 연결대(30')의 상기 제1끝단 돌기부(35')를 나사결합시키거나,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가이드턱(35a) 및 가이드홈(47a)을 삽착결합시킴으로써, 그 결과 제1필심케이스(40')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된 중공형 연결대(30')의 상부쪽 끝단은 복수개의 제2끝단 돌기부(36')들을 축심방향으로 약간 돌출시키고 있으며, 이들은 앞서 설명한 제2필심케이스(20')의 하부 격벽에 형성된 통공들과 일치하는 레이아웃을 갖는다.
따라서, 중공형 연결대(30')의 제2끝단 돌기부(36')은 제2필심케이스(20')의 통공에 투명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삽착 고정된다.
이런 중공형 연결대(30')는 제1끝단 돌기부(35')와 제2끝단 돌기부(36') 사이의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반원 돌출형 축(38)들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반원 돌출형 축(38)들은 일자형, 스파이럴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제2, 제3, 제4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지지수단(51, 52, 53, 54)에 각각 대응하는 지지홈(301, 302, 303, 304)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51, 52, 53, 54)에 대응하여 발톱, 꽃잎, 반절 방패 형상으로 복수개인 장식 돌기부(305)를 외주연에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 및 형성한 받침케이스(300)에 의해 보관된다.
받침케이스(300)는 전체적으로 본 고안의 디자인 컨셉에 일치하는 사이버틱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제품의 품질과 상품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홈(301, 302, 303, 304)을 통해서 더욱 안정되게 본 고안을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성을 갖고 있다.
특히, 받침케이스(30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단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하단에 의해 단턱을 이루는 결합부위(306)를 형성하여, 외장케이스(310)의 통공된 기저부(311)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다.
외장케이스(310)는 본 고안 필기구를 세운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관하고,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콘형, 커버형상을 가지며, 그의 상단 내주연 축심에 삽입 돌기(312)를 형성하고 있다.
삽입 돌기(312)는 외장케이스(310)가 받침케이스(300)에 결합되고, 이때 받침케이스(300)의 상부에 본 고안의 필기구가 세워 보관될 때, 본 고안 필기구의 제2필심케이스 상단에 형성된 중공형 창 형상 부위(219)의 내경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외장케이스(310)와 받침케이스(300)가 흔들리더라도, 이들의 내부에 세워져 있는 본 고안 필기구가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한다.
특히, 상기 제3, 제4실시예의 필기구의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2필심케이스(20')의 뒤쪽에 배치된 스위치 작동 레버 커버(271)를 좌, 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발광 상태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지면에 세울 때 지지수단을 펼쳤다가, 포켓 등에 보관 할 때 원 위치로 접어 통상의 볼펜과 같이 편리하게 휴대 및 소지가 가능함에 따라서, 실내 공간의 미를 충분히 살림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한 휴대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제품 판매 증진에 기여할 수 있고, 남다른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꽃잎처럼 복수개의 부분으로 나눠져서 발톱처럼 안정감 있게 벌어지도록 하고, 보호캡의 약간 둥근 사각형 표면이 지지수단의 평활면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발광 수단에 의해서 발광하는 필기구로서 어두운 곳에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칩셋의 LED 발광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반짝이는 사이버틱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사이버틱한 분위기를 추구하거나, 제품 구매 성향이 까다로운 소비자들에게 고품질의 필기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받침케이스와 외장케이스를 제공하여 제품을 안전하게 세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상기 보호캡의 단부에는 상기 필기구 및 보호캡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상의 지지표면이 형성되고,상기 지지표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고,상기 지지수단들을 최대 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지지수단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지지표면은 서로 동일 수준면에 위치하며,상기 지지표면의 반대면 쪽에 결합되며, 필심 관통구멍 및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을 갖는 제1필심케이스와;상기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공형 연결대와;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대향 배치되며, 필심 관통 구멍 및 복수개의 연결대 결합 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에 의해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고정 결합되는 제2필심케이스를 포함하며,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과, 상기 전원과 접속하여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 수단이 배치되고,상기 복수개의 발광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의 설치위치와 대응하게 상기 제2필심케이스 내부 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필심케이스는 복수개의 나사체결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상부멤버와;상기 나사체결 구멍에 대응하는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결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통공을 하부 격벽에 형성한 하부멤버와;상기 상부멤버 및 하부멤버의 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공간에 고정되는 제1접촉단에 일측 전극을 접촉시키고, 타측 전극을 제2접촉단에 배열한 상기 전원과;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도록,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에서 연장된 전선 중 어느 하나에 직렬로 결합된 스위치와;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을 극성에 맞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상기 스위치의 온 작동에 따라서 발광을 위한 입력 신호를 유한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제공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발광 수단과;상기 발광 수단을 감싸게 결합한 발광 수단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대는 하나의 중공형 튜브로서, 제1필심케이스의 결합구멍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턱을 갖는 제1끝단 돌기부와;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결합구멍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제2끝단 돌기부와;상기 제1끝단 돌기부와 상기 제2끝단 돌기부 사이의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반원 돌출형 축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상기 지지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지지홈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식 돌기부를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한 받침케이스와;상기 받침케이스의 결합턱에 삽착되어 있고,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구의 소정부위에 삽입되도록 소정 위치에 삽입 돌기가 형성된 외장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243U KR200339658Y1 (ko) | 2003-10-23 | 2003-10-23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243U KR200339658Y1 (ko) | 2003-10-23 | 2003-10-23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4404A Division KR20050039046A (ko) | 2003-10-23 | 2003-10-23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9658Y1 true KR200339658Y1 (ko) | 2004-01-24 |
Family
ID=4947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3243U KR200339658Y1 (ko) | 2003-10-23 | 2003-10-23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9658Y1 (ko) |
-
2003
- 2003-10-23 KR KR20-2003-0033243U patent/KR2003396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733840Y2 (ja) | 遊戯装置 | |
US11386801B2 (en) | Toy with light emitting diode | |
US8672571B2 (en) | Illuminated marking device and apparatus | |
US6682202B2 (en) | Novelty devices with flashing light feature | |
US7249431B1 (en) | Light-activated illuminating device | |
US20070041780A1 (en) | Snap-together pen | |
KR200339658Y1 (ko)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
US6106132A (en) | Illuminating ball pen | |
KR200392109Y1 (ko) | 다색 발광 볼펜 | |
KR20050039046A (ko) |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 |
US5505114A (en) | Simulated musical rainmaker | |
US20200099895A1 (en) | LED Projection Seasonal Products | |
US9295308B2 (en) | Animated display badge | |
KR200333481Y1 (ko) |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 |
CN210257719U (zh) | 笔记本 | |
KR200270565Y1 (ko) | 완구기능을 갖는 필기구 | |
KR102047164B1 (ko) |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수면등 | |
CN2495478Y (zh) | 闪光笔 | |
KR20170002532U (ko) | 조명키트 과학학습교구 | |
KR200362329Y1 (ko) | 스프링에 의해 분리 결합되는 필기구 | |
US7204655B2 (en) | Sound producing crayon | |
JP3113527U (ja) | 発光装置 | |
KR200259220Y1 (ko) | 발광장치를 구비한 펜 | |
CN107238064A (zh) | 八音盒夜灯 | |
JPH08175084A (ja) | 可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