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81Y1 -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81Y1
KR200333481Y1 KR20-2003-0027070U KR20030027070U KR200333481Y1 KR 200333481 Y1 KR200333481 Y1 KR 200333481Y1 KR 20030027070 U KR20030027070 U KR 20030027070U KR 200333481 Y1 KR200333481 Y1 KR 200333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p
writing instrument
support means
writing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이젠
Priority to KR20-2003-0027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종래의 필기구의 단순한 형상을 탈피하여 복수개의 투명 연결대가 몸체를 형성하여 기둥 역할을 하고 가변형 다리와 같은 지지수단으로 세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보호캡(50, 50')의 단부측에,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지지수단(51, 51b, 52, 52b, 53, 53b, 54)이 형성되되, 복수개의 지지수단(51, 51b, 52, 52b, 53, 53b, 54)은 회전수단에 의해 보호캡(50, 50')과 결합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WRITING DEVICE HAVING CAP}
본 고안은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버틱하고 신비로운 디자인과, 설치면, 수평면 등에 수직하게 세워놓을 수 있는 기능성을 겸비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기구는 바 형상의 본체부에 필심을 결합한 형태로서, 필심의 팁을 통해 흘러나오는 잉크로 종이에 글을 쓰는 도구이다.
이러한 필기구는 조출식, 출몰식의 경우, 필기구걸이인 클립, 잉크가 담겨 있는 필심, 스프링, 필심케이스, 필심 조출장치 또는 출몰장치로 구성되며, 여기서 클립에 의해 포켓에 꼽아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는 캡식의 경우, 클립, 필심, 보호캡, 핑거홀더, 팁홀더, 필심케이스로 구성되어서, 팁홀더의 축심에서 미리 필심의 팁이 돌출되어 필기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팁홀더를 보호캡으로 닫아 사용하게 되어 있다.
보호캡은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필심의 팁을 보호하고, 필심으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와 사용자의 옷, 포켓 등에 묻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필기구에는 형식과 기능에 따라 만년필, 필기구, 연필, 샤프, 매직펜, 네임펜 등과 같이 각양 각색의 종류가 존재하나, 하나같이 그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팔각형, 삼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또는 바 형상의 본체부를 갖고 있어서, 디자인과 기능성에 있어서 대동소이하여 단순 필기성만을 제공할 뿐,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성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제품 소비 심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펜 안착식 필기구 세트는 필심을 갖는 필심을 갖는 바 형상의 본체부 팁 부위를 수평면상에 수직하게 놓여져 있거나 경사각을 갖게 놓여져 있는 펜 안착구에 삽입함으로써, 필기를 하지 않을 때, 본체부를 수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및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펜 안착식 필기구 세트는 펜 안착구와 본체부가 양분되어 있어서 소지와 운반이 불편하게 디자인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면 확보를 위해 상대적으로 매우 넓은 면적으로 비대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포켓 등에 걸어 사용하거나 필통 등과 같은 곳에 보관이 용이치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은행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홀더형 필기구의 경우에도, 접착스티커로 소정 설치표면에 부착된 설치홀더에 필심이 외부로 돌출된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휴대, 소지, 운반 중에 필기구를 사용 및 세워 보관하는 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2000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30881호에 개시된 바 있는 '장식 기능을 갖는 볼펜'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실제 사용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관체로 만들어진 볼펜대와, 상기 볼펜대에 내장되어 그 끝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볼펜촉이 결합되어 있는 볼펜심과, 상기 볼펜대의 일단인 볼펜촉 부분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볼펜촉을 외적인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캡으로 구성된 볼펜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하단에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보호캡을 지면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면에 압착 가능한 압착 패드와, 상기 볼펜대의 볼펜촉 반대쪽 끝단에 구비되어 장식적 이미지를 갖도록 인형형상을 하거나 의인화된 동물형상을 하는 장식물을 더 포함하여 필기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상이나 테이블 같은 지면에 세워서 장식용으로 이용하도록 한 장식 기능을 갖는 볼펜이다.
그런데 종래 제30881호의 볼펜은 장식용 전용으로 지면에 세워져 있을 수 있는 접촉면을 갖기 위해서, 앞서 언급한 종래의 홀더형 필기구와 대동소이하게 볼펜의 직경보다 몇 배나 넓은 평면적의 압착 패드를 고정식으로 보호캡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장식을 위할 뿐 통상의 볼펜, 필기구의 휴대성이 제한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필기구의 단순한 형상을 탈피하여 복수개의 투명 연결대가 몸체를 형성하여 기둥 역할을 하고, 필기구의 보호캡에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수단으로 꽃잎처럼 복수개의 부분으로 나눠져서 발톱처럼 안정감 있게 벌여지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몸체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필기구걸이인 클립을 제거한 상태의 보호캡을 확대하여 지지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중 보호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기구 몸체 20 : 제2필심케이스
25, 45 : 연결대 결합구멍 27 : 필심 장착구멍
30 : 연결대 39 : 필심
40 : 제1필심케이스 44 : 팁홀더
47 : 필심 관통구멍 50, 50' : 보호캡
51, 51b, 52, 52b, 53, 53b, 54 : 지지수단
51a, 52a, 53a, 54a : 평활면
55, 55b : 힌지 결합 부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보호캡의 단부측에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수단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캡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네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보호캡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보호캡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힌지 결합 부위와, 지지수단의 힌지 결합용 돌기부와, 힌지 결합 부위의 힌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는 상기 필기구 및 보호캡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상의 지지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표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들을 최대 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지지수단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지지표면은 서로 동일 수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축심방향으로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는 반구 형상을 축심방향으로 네 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지지수단이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 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으로 하여금 각도 범위 0°∼ 90°내에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의 축심에 필심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필심 관통구멍을 갖는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필심이 고정되는 필심 장착구멍을 갖는 제2필심케이스와;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연결대 결합구멍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심케이스에는 필기 작업시 상기 보호캡을 안착시켜 보관하기 위한 중공형 창(spear) 형상, 중공형 스파이크 형상의 캡 안치부위가 방패 형상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와 도 3b는 필기구걸이인 클립을 제거한 상태의 보호캡을 확대하여 지지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인 펜형상의 필기구로서, 필기구 몸체(10)에서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보호캡(50)을 포함한다. 보호캡(50)은 가변형 다리와 같은 지지수단(52, 53)과 포켓 거치용 클립(59)을 갖는다.
지지수단(52, 5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유한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가변형 다리를 의미한다.
필기구 몸체(10)는 제1필심케이스(40)와 연결대(30)와 제2필심케이스(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필기구는 보호캡(50)을 필기구 몸체(10)에 삽입시킨 상태로 휴대, 소지되면서, 클립(59)을 이용하여 포켓(도시 안됨) 등에 끼워 보관된다.
특히, 보호캡(50)은 복수개의, 예컨대 4개의 지지수단(52, 53)에 의해서 책상 표면, 테이블 표면, 지지면 등과 같은 표면에서 필기구 몸체(10)와 함께 수직하고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필기구 몸체(10)는 파지시 손가락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곡선의 부드러움과 와이어 형태의 직선감을 제공하는 사이버틱한 디자인을 갖는다.
예컨대,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는 방패 반지링과 같은 형상으로 곡선형 외형을 갖고 있고, 이들의 사이를 축연결하는 복수개의, 예컨대 6개의 연결대(30)가 각각 얇은 원형 직선축 형상을 갖고 있어서 내부에 위치한 필심을 보호한다. 여기서, 각각의 연결대(30)는 투명형, 야광형, 컬러형, 메탈형 재질과 염료를 사용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거나, 광택, 무광택 금속 소재로 제작되거나, 염료, 도료, 촉감을 향상시킨 통상의 필기구용 코팅재가 코팅되어 제작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39)은 유성 펜심, 수성 펜심, 통상의 볼펜심으로서 잉크를 채운 합성수지 튜브와, 튜브의 끝단에 결합된 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필심(39)은 6개의 연결대(30)들로 둘러 싸여져 있는 상태로,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의 축심에 위치한다.
각각의 연결대(30)의 양쪽 끝단(35, 36)은 제1필심케이스(40)와 제2필심케이스(20)의 연결대 결합구멍(25, 45)에 각각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은 하기에 설명할 필심 장착구멍(27)과 필심 관통구멍(47)을 주위에서 각도 60°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연결대(30)의 외원주면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다. 이때,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상기 연결대 결합구멍(25, 45)과 동일 배치 간격을 갖고,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의 직경에 비해 약간 큰 구멍을 갖고 있어서, 연결대(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제2필심케이스(20)는 좌측 축심에 필심(39)을 삽입 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밀폐된 필심 장착구멍(27)을 갖는다. 제2필심케이스(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패 링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서 사이버틱하면서도 메카닉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제2필심케이스(20)의 외측 원주면에 형성된 링 결합홈(28)에 염주,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는 링 등과 같은 외측 반지링(21)을결합하고 있다. 제2필심케이스(20)에는 필기 작업시 보호캡(50)을 안착시켜 보관하기 위한 중공형 창(spear) 형상, 중공형 스파이크 형상의 캡 안치부위(29)가 방패 형상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필심케이스(40)는 필심 관통구멍(47)을 축심에 형성한 것으로서, 우측에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와 연결대 결합구멍(25, 45)을 형성하고 있다. 제1필심케이스(40)의 소정 외원주면에는 단턱(43)과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에 고무, 스펀지, 기타 탄성력을 갖는 어떠한 소재로서 부드러운 감촉과 파지감을 제공하는 핑거홀더(41)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핑거홀더(41)의 외형상은 물결 방패 형상 부위(49)와 상응한 물결 형상 부위를 갖고 있어서 유선형 접속선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파지감과 일체감 및 심미적 만족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필심케이스(40)의 나사부위에는 팁홀더(44)가 나사결합되어서, 결과적으로 필심(39)을 제1필심케이스(40)와 연결대(30)와 제2필심케이스(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팁홀더(44)는 탄환 헤드 형상으로서, 그의 축심에 팁 구멍을 형성하고 있어서, 필심(36)의 팁이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하다. 또한, 팁홀더(44)는 탄환 헤드 형상의 외원주면에 링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보호캡(50)의 개구된 부위쪽 내원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될 때 탭(50)을 필기구 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호캡(50)의 소정 외원주면에는 복수개의 클립고정홈(56)이 대향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59)의 고정단(58)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캡(50)의밀폐된 부위쪽 외측면은 약간 둥근 사각형 표면으로서, 라운드된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서리에는 본 고안에서 회전수단이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의 회전수단은 힌지 결합 부위(55)와, 지지수단(51, 52, 53, 54)의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와, 힌지 결합 부위(55)의 힌지 구멍(55r)을 포함한다.
힌지 결합 부위(55)는 약간 파인 함몰홈 형상으로서 그의 모서리 중심에서 안쪽으로 파인 힌지 구멍(55r)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힌지 구멍(55r)에서는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가 삽입된 후,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의 양측면에 돌출된 회전축 또는 결합핀 등이 힌지 구멍(55r)의 양측방향을 통과하는 축 또는 핀구멍에 결합된다.
힌지 구멍(55r)의 폭은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의 폭에 상응하고, 이에 따라 힌지 결합용 돌기부(53r)와 힌지 구멍(55r)이 소정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정의 결합유격과 마찰계수를 갖게 된다.
여기에서, 지지수단(51, 52, 53, 54)은 축심방향으로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는 반구 형상을 축심방향으로 네 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이들이 펼쳐질 때 꽃잎처럼 펼쳐짐과 동시에 세워놓을 때 발톱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런 지지수단(51, 52, 53, 54)은 각도 범위 0°∼ 90°내에서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서 펼쳐질 수 있으나, 각도 범위 90°이상에서는 회전수단 중 힌지 결합 부위(55)에 각각 접촉되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되게 보호캡(50)을 비롯하여 필기구 몸체(10)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는 지지력을 발휘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보호캡(50)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평상시 각각의 힌지 결합 부위(55)에 결합된 지지수단(51, 52, 53, 54)은 보호캡(50)의 축심방향에 일치하게 모여 있다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힌지 작동하여, 꽃잎처럼 네 부분으로 나눠져서 펼쳐진다. 이때, 보호캡(50)의 둥근 사각형 지지표면(57)이 지지수단(51, 52, 53, 54)의 평활면(51a, 52a, 53a, 54a)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지지수단(51, 52, 53, 54)의 평활면(51a, 52a, 53a, 54a)은 선접촉 환경이 아닌 복수개의 점접촉 또는 면접촉 환경을 제공토록 광폭 또는 단폭으로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계단형, 기어형, 돌기형, 엠보싱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수단(51, 52, 53, 54)이 보호캡(50)의 축심에 모아졌을 때, 평활면(51a, 52a, 53a, 54a)들길이 근접하여 형성하는 사각형 형상의 여유 틈(55a)을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손톱 등이 쉽게 들어갈 수 있어 편리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보호캡(50)은 펼쳐질 때 꽃잎처럼 네 부분으로 나눠지지만, 세워져 있을 땐 네 부분의 발톱 또는 받침다리 등과 같은 형상으로 안정감과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50)과 지지수단(51, 52, 53, 54)은 필기구 몸체(10)를 지지면이나 수평면상에서 충분히 세워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진이나 측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안정되게 필기구 몸체(10)를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10)와 보호캡(50)을 결합한 상태에서 포켓 등에 보관할 때, 지지수단(51, 52, 53, 54)을 원래의 상태로 접어서 결과적으로 필기구 몸체(10) 직경에 대응한 직경과 유선형 형상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휴대성과 소지 능력이 뛰어나며 외관이 미려한 남다른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내측 연결대 결합링(26)은 연결대(30)의 외원주면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어서, 도 4에서처럼 본 고안이 세워져 있을 때, 비틀림 각에 대응한 마찰력 발생으로 연결대(30)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고, 축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세 개의 지지수단을 보호캡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5b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중 보호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평상시 각각의 힌지 결합 부위(55b)에 결합된 지지수단(51b, 52b, 53b)은 보호캡(50')의 축심방향에 일치하게 모여 있다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힌지 작동하여, 꽃잎처럼 세 부분으로 나눠져서 펼쳐진다.
보호캡(50')의 둥근 삼각형 지지표면(57b)이 지지수단(51b, 52b, 53b)에서 수평면 또는 지면과 닿는 표면 등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지수단(51b, 52b, 53b)에서 지면과 닿는 표면, 또는 둥근 삼각형 지지표면(57b)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무, 우레탄 재질의 충격 완충 부재 또는 스토퍼 부재(51c, 57c)가 부가적으로 더 부착되어서, 더욱 안정된 접촉력과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지면에 세울 때 지지수단을 펼쳤다가, 포켓 등에 보관 할 때 원 위치로 접어 통상의 볼펜과 같이 편리하게 휴대 및 소지가 가능함에 따라서, 실내 공간의 미를 충분히 살림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한 휴대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제품 판매 증진에 기여할 수 있고, 남다른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꽃잎처럼 복수개의 부분으로 나눠져서 발톱처럼 안정감 있게 벌어지도록 하고, 보호캡의 약간 둥근 사각형 표면이 지지수단의 평활면과 동일 수준면상에 위치하여 안정된 접촉면적을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단부측에는,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수단은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캡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네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상기 보호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기구 몸체의 축심방향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벌어지고 모여질 수 있게 상기 보호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힌지 결합 부위와, 지지수단의 힌지 결합용 돌기부와, 힌지 결합 부위의 힌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5.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는 상기 필기구 및 보호캡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상의 지지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표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들을 최대 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지지수단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지지표면은 서로 동일 수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축심방향으로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는 반구 형상을 축심방향으로 네 등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지지수단이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 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으로 하여금 각도 범위 0°∼ 90°내에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필기구 몸체의 축심에 필심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필심 관통구멍을 갖는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필심이 고정되는 필심 장착구멍을 갖는 제2필심케이스와;
    상기 제1필심케이스와 상기 제2필심케이스의 연결대 결합구멍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심케이스에는 필기 작업시 상기 보호캡을 안착시켜 보관하기 위한 중공형 창(spear) 형상, 중공형 스파이크 형상의 캡 안치부위가 방패 형상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KR20-2003-0027070U 2003-08-22 2003-08-22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KR200333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70U KR200333481Y1 (ko) 2003-08-22 2003-08-22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70U KR200333481Y1 (ko) 2003-08-22 2003-08-22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81Y1 true KR200333481Y1 (ko) 2003-11-15

Family

ID=4941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70U KR200333481Y1 (ko) 2003-08-22 2003-08-22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939A (en) Card-shaped, hinged writing instrument
US4037975A (en) Writing instrument
JP2020062884A (ja) 多目的複合筆記具
KR200333481Y1 (ko) 보호캡을 구비하는 필기구
US6059472A (en) Pen structure
US6257789B1 (en) Writing instrument
KR100827420B1 (ko) 책갈피 겸용 볼펜
US20050152736A1 (en) Offset pen
JP3243153U (ja) 折りたたみ可能なファン式のペン
KR200339658Y1 (ko)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JP3025656U (ja) サインペン等のペン先機構
KR200384612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KR200221768Y1 (ko) 장식 기능을 갖는 볼펜
KR200204119Y1 (ko) 손가락 볼펜
KR200430310Y1 (ko) 돋보기를 갖는 필기구
KR200342337Y1 (ko) 슬림형 미니볼펜
KR200299415Y1 (ko) 필기구 결합형 악세서리용 풍선
WO2003099585A1 (en) Ring type pen
KR200348228Y1 (ko) 필기 도구 구조
KR950002737Y1 (ko) 독서대
JPS6333040Y2 (ko)
KR20050039046A (ko) 보호캡을 구비하는 발광 필기구
KR200312513Y1 (ko) 필기구 꽂이를 겸한 문진
KR200180722Y1 (ko) 구두주걱을 갖는 필기구
KR200258701Y1 (ko) 화이트보드 겸용 클리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