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76Y1 -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76Y1
KR200339476Y1 KR20-2003-0034236U KR20030034236U KR200339476Y1 KR 200339476 Y1 KR200339476 Y1 KR 200339476Y1 KR 20030034236 U KR20030034236 U KR 20030034236U KR 200339476 Y1 KR200339476 Y1 KR 200339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inforcing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건영
Original Assignee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홍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홍건영 filed Critical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축조에 의해 블럭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표면재 블럭(100)과;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사이의 간극을 충진시키기 위한 간극충진수단(300)과; 전단부가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블럭(100) 또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에 정착되고, 후단부가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에 의해 지지되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상기 표면재 블럭(100)의 후방공간에 채움 및 다짐되어 배후토사 및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을 지지하는 보강토(600)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시함으로써,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대항하여 축조된 표면재 블럭 구조물의 변형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REINFORCED RETAINAING WALL}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럭과 보강토 및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구조의 옹벽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배후토사(1)로부터 소정 이격공간을 두고 복수개의 표면재 블럭(2)이 축조되고, 후단부가 배후토사(1) 또는 앵커(미도시)에 정착된 전후방향 보강부재(3)의 전단부가 표면재 블럭(2)에 정착됨과 아울러, 보강토(4)가 배후토사(1)와 표면재 블럭(2)의 사이공간에 채움 및 다짐됨으로써, 그 표면재 블럭(2)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중력식 옹벽에 비해 경제성 및 역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예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예컨대, 표면재 블럭(2), 전후방향 보강부재(3)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전후방향 보강부재(3)의 표면재 블럭(2), 보강토(4), 배후토사(1)에 대한 정착방식을 변형하거나, 축조된 표면재 블럭(2) 구조물의 변형를 방지하기 위해 좌우방향 보강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후방향 보강부재(3)와 좌우방향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된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대항하여 축조된 표면재 블럭(2) 구조물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어 있지 않았는 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표면재 블럭(2)의 상하면에 각각 돌부와 요부를 형성하고, 그 돌부와 요부의 결합에 의해 표면재 블럭(2)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표면재 블럭(2)은 콘크리트 기타 취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작은 응력집중이 가해지더라도 그 돌부가 쉽게 파괴되는 바, 필요한 강도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던 것이다.
나아가, 보강토 옹벽의 각 층별 표면재의 축조 및 다짐작업에 있어서 다짐장비의 진동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는 초기 균열을 발생시키는 등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인자로서, 지반침하, 지진과 같은 사후적 작용하중에 비해 더욱 구조물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인바, 이와 같은 유해한 외력으로부터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의 강구가 절실히 요청되어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대항하여 축조된 표면재 블럭 구조물의 변형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토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피복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피복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보강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보강토 옹벽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충진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절곡구간의 피복부의 사시도
도 10은 절곡구간의 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갈고리의 평면도
도 12는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오-링의 평면도
도 13은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체인의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면재 블럭 110 :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
120 :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 200 : 좌우방향 보강부재
210 : 전후방향 보강부재 211 : 연결부
300 : 간극충진수단 310 : 피복부
320 : 보강 파이프 321 : 관통공
322 : 연결공 330 : 충진부재
331 :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 332 : 연결부
340a,340b : 한 쌍의 충진부재 341 :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
342 : 연결부 400 : 보강부재 정착수단
400a : 보강부재 연결수단 410 : 갈고리
411 : 끼움용 개방부 412 : 폐쇄용 핀
420 : 오-링 421 : 관통공
430 : 체인 431 : 관통공
500 : 보강부재 지지수단 510 : 앵커 블럭
600 : 보강토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축조에 의해 블럭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표면재 블럭(100)과;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사이의 간극을 충진시키기 위한 간극충진수단(300)과; 전단부가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블럭(100) 또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에 정착되고, 후단부가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에 의해 지지되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상기 표면재 블럭(100)의 후방공간에 채움 및 다짐되어 배후토사 및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을 지지하는 보강토(600)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재 블럭(100)은 그 상면 또는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0)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100)은 그 상면 및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0)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에폭시, 몰타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표면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피복부(310)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31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310)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피복부(31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복부(31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연결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복부(31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는 그 피복부(310) 내부에서 겹이음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는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피복부(310)와 피복부(31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211)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심부에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관통공(321)이 형성된 보강 파이프(320)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파이프(32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보강 파이프(32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파이프(320)는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형성된 연결공(322)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일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31)이 형성된 충진부재(330)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부재(33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부재(330)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충진부재(33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부재(330)와 충진부재(33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332)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대향면에 각각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41)이 형성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한 쌍의충진부재(340a,340b)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와 인접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342)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철근, 강선, 강연선, 철선,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직선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강선 또는 강연선 재질에 의한 나선형 꼬임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파이프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전단부에 형성된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끼움용 개방부(411)를 구비한 갈고리(4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고리(410)는 상기 끼움용 개방부(411)를 폐쇄하는 폐쇄용핀(412)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21)이 형성된 오-링(42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31)이 형성된 체인(43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1
또한,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은 앵커 블럭(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보강토 옹벽의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피복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피복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보강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보강토 옹벽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충진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절곡구간의 피복부의 사시도, 도 10은 절곡구간의 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갈고리의 평면도, 도 12는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오-링의 평면도, 도 13은 보강부재 연결수단의 일실시예인 체인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강토 옹벽은 크게 표면재 블럭(100),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전후방향 보강부재(210), 간극충진수단(300), 보강부재 정착수단(400),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 보강토(600)에 의해 구성된다.
즉,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표면재 블럭(100) 구조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는 바, 본 고안은 표면재 블럭(100)의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을 형성하고, 블럭(100)의 축조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의 만남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재 삽입공에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를 삽입함과 아울러, 간극충진수단(300)에 의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보강부재 삽입공 사이의 간극을 충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상하층으로 축조되는 블럭(100) 상호간의 상대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축조에 의해 블럭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표면재 블럭(100)과;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사이의 간극을 충진시키기 위한 간극충진수단(300)과; 전단부가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블럭(100) 또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에 정착되고, 후단부가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에 의해 지지되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상기 표면재 블럭(100)의 후방공간에 채움 및 다짐되어 배후토사 및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을 지지하는 보강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블럭(100)의 보다 안정된 정착을 위하여, 표면재 블럭(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전후방향 보강부재삽입홈(12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럭(100)의 상면 및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은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후단부가 배후토사 또는 보강토(6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 족한 것이므로, 그 후단부를 배후토사에 직접적으로 삽입고정하는 방식, 후단부에 앵커 블럭(510)을 형성하고 그 앵커 블럭(510)을 보강토(600)에 의해 지지하는 방식, 기타 어떠한 방식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블럭(100)의 축조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의 만남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재 삽입공을 에폭시, 몰타르, 콘크리트 기타 그라우팅 재료를 포함하는 충진재에 의해 충진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표면을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 등의 피복재에 의해 피복하여 피복부(310)를 형성함으로써 간극이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복부(310)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구간이나 절곡구간에도 형성될 수 있다.
피복부(310)는 그 피복부(310)의 상하에 축조되는 블럭(100)의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동시에 삽입되어 그 블럭(100)의 상대변위를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피복부(310)의 횡단면이 방형 구조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피복부(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연결부에 형성됨으로써, 보강부재의 이음구조를 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안정된 정착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부(310)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는 그 피복부(310) 내부에서 겹이음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부(310)와 피복부(310) 사이의 영역에 연결부(21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심부에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관통공(321)이 형성된 보강 파이프(32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 파이프(320)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보강 파이프(320)는 그 보강 파이프(320)의 상하에 축조되는 블럭(100)의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동시에 삽입되어 그 블럭(100)의 상대변위를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보강 파이프(320)의 횡단면이 방형 구조인 경우를 제시하였다.
또한, 보강 파이프(320)에는 연결공(322)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그 연결공(322)을 통해 보강부재 정착수단(400) 및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전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정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일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31)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 등의 재질에 의해 제조된 충진부재(3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부재(330)는 일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31)이 형성되고, 그 고정홈(331)에 좌우방향 보강부재(200)가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충진부재(330) 자체가 블럭(100)의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가 충진부재(300)의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반대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측방으로부터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또한, 충진부재(330)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 절곡구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충진부재(330) 역시 상하층에 축조되는 블럭(100)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7에서는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충진부재(330)의 횡단면이 방형 구조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재(330)와 충진부재(330) 사이의 영역에 연결부(332)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대향면에 각각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41)이 형성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양측 방향에서 결합함으로써 절개면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상태의 조립체를 상하층에 축조되는 블럭(100)의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함으로써, 블럭구조물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한다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 등의 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절곡구간 어느 경우에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 역시 상하층에 축조되는 블럭(100)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8에서는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의 횡단면이 방형 구조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므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와 인접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 사이의 영역에 연결부(342)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및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재질 및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보강부재(200,210)는 철근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으나, 보강토 옹벽의 용도, 구조, 시공 여건 기타 조건에 따라, 강선, 강연선, 철선,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와이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직선형 구조, 강선 또는 강연선 재질에 의한 나선형 꼬임 구조, 파이프 구조 등의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전단부를 블럭(100) 또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에 정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겠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연결되도록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전단부에 형성된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끼움용 개방부(411)를 구비한 갈고리(4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끼움용 개방부(411)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용 핀(412)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둘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21)이 형성된 오-링(4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셋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31)이 형성된 체인(43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대항하여 축조된 표면재 블럭 구조물의 변형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토 옹벽을 제시한다.

Claims (35)

  1.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축조에 의해 블럭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표면재 블럭(100)과;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사이의 간극을 충진시키기 위한 간극충진수단(300)과;
    전단부가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블럭(100) 또는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에 정착되고, 후단부가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에 의해 지지되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와;
    상기 표면재 블럭(100)의 후방공간에 채움 및 다짐되어 배후토사 및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을 지지하는 보강토(600)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 블럭(100)은
    그 상면 또는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은
    그 상면 및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에폭시, 몰타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표면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피복부(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31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310)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피복부(31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31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연결부에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31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는 그 피복부(310) 내부에서 겹이음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는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피복부(310)와 피복부(31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21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심부에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관통공(321)이 형성된 보강 파이프(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32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보강 파이프(32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320)는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형성된 연결공(32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일면에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31)이 형성된 충진부재(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30)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30)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충진부재(330)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부재(330)와 충진부재(33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33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진수단(300)은
    대향면에 각각 좌우방향 보강부재 고정홈(341)이 형성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직선구간, 곡선구간 및 절곡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목재, 석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10) 및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의 횡단면은 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와 인접한 한 쌍의 충진부재(340a,340b)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34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철근, 강선, 강연선, 철선,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직선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8.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강선 또는 강연선 재질에 의한 나선형 꼬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9.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 또는 전후방향 보강부재(210)는 파이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0.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정착수단(400)은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210)의 전단부에 형성된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끼움용 개방부(411)를 구비한 갈고리(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410)는
    상기 끼움용 개방부(411)를 폐쇄하는 폐쇄용 핀(41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21)이 형성된 오-링(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연결수단(400a)은
    심부에 상기 좌우방향 보강부재(200)의 관통공(431)이 형성된 체인(4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5.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지지수단(500)은 앵커 블럭(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KR20-2003-0034236U 2003-10-31 2003-10-31 보강토 옹벽 KR200339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36U KR200339476Y1 (ko) 2003-10-31 2003-10-31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36U KR200339476Y1 (ko) 2003-10-31 2003-10-31 보강토 옹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071A Division KR100554946B1 (ko) 2003-10-31 2003-10-31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76Y1 true KR200339476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236U KR200339476Y1 (ko) 2003-10-31 2003-10-31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34B1 (ko) 2010-05-28 2010-08-1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조경용 울타리 및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34B1 (ko) 2010-05-28 2010-08-1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조경용 울타리 및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2478A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100554946B1 (ko) 보강토 옹벽
RU2534285C2 (ru) Элемент облицовк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нструкции со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м грунтом
KR200339476Y1 (ko) 보강토 옹벽
KR100545399B1 (ko) 보강토 옹벽
KR10062671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JP5509380B1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耐震補強構造
KR10054539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20030044940A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200339475Y1 (ko) 보강토 옹벽
KR200339474Y1 (ko) 보강토 옹벽
KR101311829B1 (ko)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KR200339473Y1 (ko) 보강토 옹벽
KR200339477Y1 (ko) 보강토 옹벽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KR20050041798A (ko) 보강토 옹벽
KR100649119B1 (ko) 보강토 옹벽
KR102632253B1 (ko) 증축 구조물
JP2875791B2 (ja) L形擁壁の構築方法
KR102269357B1 (ko)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CN212984273U (zh) 装配式剪力墙板和装配式剪力墙结构
KR20090098126A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0649120B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