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53B1 - 증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증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53B1
KR102632253B1 KR1020220168815A KR20220168815A KR102632253B1 KR 102632253 B1 KR102632253 B1 KR 102632253B1 KR 1020220168815 A KR1020220168815 A KR 1020220168815A KR 20220168815 A KR20220168815 A KR 20220168815A KR 102632253 B1 KR102632253 B1 KR 10263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undation
slab
reinforcing bars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기섭
Original Assignee
맹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기섭 filed Critical 맹기섭
Priority to KR102022016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기존 구조물은 기존벽체, 기존슬라브, 기존기초로 이루어집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새로운 구조물, 즉, 새로운 벽체, 새로운 슬라브, 새로운 기초를 결합시킨 증축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즉, 기존의 구조물에 새로운 구조물을 접합시킬 때의 특징인 연결철근의 길이, 인장강도를 특징으로 한 증축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축 구조물 {An Extended Structur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증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공동주택의 기존 구조물에 수직 및 수평 증축을 위한 증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은 기존 건물을 헐고 재건축을 통해 단위 세대의 면적을 증가시켜 왔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동주택을 재건축하는 방법은 과밀화에 따라 도시 주거 환경이 열악해질 수 있으며, 건물의 예상수명보다 조기에 철거하여 재건축함으로써 자원낭비 및 불필요한 건축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존 건물을 완전히 철거하지 않고 수평 및 수직증축을 위해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사가 정부의 정책지원 등에 힘입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을 리모델링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면서 기존의 공동주택의 골조는 그대로 두고 외관이나 내부만 손질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증축을 통해 단위 세대의 주거전용면적을 증대시키고, 수직증축을 통해 추가적인 세대를 신설하는 등 수요자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델링의 하나의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객특허공보 제10-2007-0056331호에는 증축을 위한 구조물의 결합관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벽체 및 슬라브와 신설 벽체 및 슬라브 사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기존 구조물과 신축 구조물 사이에 강제데크를 이용하나 외부로 노출되거나 기존 구조물과 신축 구조물 사이에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기존 구조물이 신축 구조물을 지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증축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중 하나인 접합면에 대한 처리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국내공개특허 10-2009-0026684 A (2009.03.13) 국내공개특허 10-2013-0030962 A (2013.03.28)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중 하나는, 공동증축의 증축시공에 있어, 기존 슬라브, 기존 벽체와 신설 슬라브, 신설 벽체, 기존 기초와 신설 기초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중 하나는, 기존 구조물의 일부를 철거하면서도 안전하게 신설 구조물과의 결합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기존 구조물과 신설 구조물이 접합되는 면에서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슬라브, 상기 제1슬라브를 지지하는 제1벽체, 및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제1기초를 포함하는 기존 구조물의 증축을 위해 상기 기존 구조물에 연결되는 증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브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슬라브; 상기 제1기초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기초; 상기 제1슬라브 또는 상기 제2슬라브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1기초 또는 상기 제2기초와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벽체;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슬라브 및 상기 제2슬라브를 연결하는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 및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2슬라브 및 상기 제1벽체를 연결하는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 및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기준강도는 40 MPa 이상이고,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가 상기 제1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길고,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벽체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벽체는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벽체 앵커홀; 및 상기 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벽체 앵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브는 상기 벽체 앵커장치를 상기 벽체 앵커홀에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경화되는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브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슬라브 앵커홀; 및 상기 슬라브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슬라브 앵커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앵커홀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길이는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상기 1기초 및 상기 제2벽체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기초-벽체 연결철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벽체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길이는 상기 제1기초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길이보다 실 수 있다.
상기 제1기초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기초-벽체 앵커홀; 및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기초-벽체 앵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초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기초; 및 상기 제1기초 및 상기 제2기초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기초-기초 연결철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기준강도는 40MPa 이상이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상기 제2기초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기초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1기초는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기초-기초 앵커홀; 및 상기 기초-기초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기초-기초 앵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벽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브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슬라브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벽체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슬라브-벽체 연결철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철근은 기 설정된 개수로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상기 세트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벽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세트에서 인접한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사이의 간격은 인접한 상기 세트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벽체로부터 기설정된 증타길이 만큼 증타하여 증타벽체 및 상기 제1벽체 및 상기 증타벽체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증타수평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타수평근의 기준강도는 40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단부보강근의 간격은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제1벽체철근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축 구조물은 공동증축의 증축시공에 있어, 기존 슬라브, 기존 벽체와 신설 슬라브, 신설 벽체, 기존 기초와 신설 기초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축 구조물은 기존 구조물의 일부를 철거하면서도 안전하게 신설 구조물과의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축 구조물은 기존 구조물과 신설 구조물이 접합되는 면에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수평증축을 통해 리모델링되는 공동주택의 일례이다.
도 2(a)는 제1슬라브와 제2슬라브가 결합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도 2(b)는 제1벽체와 제2슬라브의 결합구조의 일례이다.
도 3(a)와 도 3(b)는 제1벽체와 제2벽체의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하는 일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기초와 제2벽체가 결합하는 일례이다. 도 4(b)는 제1기초와 재2기초가 결합하는 일례이다.
도 5(a)는 제1벽체의 양단부를 보강하는 일례이다. 도 5(b)는 제1벽체의 두께를 증타보강하는 일례이다.
도 6(a)는 제1슬라브와 제2벽체가 결합하는 일례이다. 도 6(b)는 K-K'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수평증축을 통해 리모델링되는 공동주택의 일례이다. 공동주택이란, 건축물의 벽ㆍ복도ㆍ계단이나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도 1은 상기 공동주택 중 일부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굵은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A1)은 기존 1세대를 위한 집이다. 그리고, 회색음영(A2)중 A1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기존 1세대의 집에 인접한 다른 1세대를 위한 집의 일부이다. 즉, 도 1은 리모델링 후에 하나의 집으로 합쳐지는 영역을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A1영역에서 빗금친 영역은 철거되고, 상기 A2영역이 신설된 하나의 집의 일부로 편입될 부분을 뜻 한다. 또한, 기존 골조(또는 구조물)에 더불어 신규 골조 또는 신규 구조물이 수평으로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1세대의 집중 얇은 점선으로 표기한 선(R5)는 리모델링시 철거될 골조(또는 구조물)을 뜻한다. 또한, 음영없이 실선으로 표기된 부분(NS)은 신설 골조로 증축에 의해 하얀색 영역(NA)만큼의 공간을 추가로 확장시킴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증축을 수평증축이라 한다. 또한, 상기 1세대 집 위에 다른 집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수직증축이라 한다.
본 발명은 수직증축 및 수평증축에 있어서, 기존 구조물과 증축 구조물 사이의 필수적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공동주택의 수평중측 및 수직증축을 위해서, 기존의 구조물, 예컨대, 벽체, 슬라브 및 기초에 새로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존 구조물에서 기존 벽체, 기존 슬라브(Slab), 기존 기초를 기존 벽체 또는 제1벽체, 기존 슬라브 또는 제1슬라브, 기존 기초 또는 제1기초라 칭할 것이고 신설 혹은 신축되는 구조물은 신설 벽체 또는 제2벽체, 신설 슬라브 또는 제2슬라브, 및 신설 기초 또는 제2기초라 칭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증축 구조물은 상기 기존 구조물과 상기 신설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을 이용하여 "구조물-구조물"라 칭하는 경우, 앞의 구조물은 기존의 구조물을 칭하고, 뒤의 구조물은 신설 또는 신축된 구조물을 뜻한다. 예컨대,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이라고 하면 기존 벽체(제1벽체)에 신설 슬라브(제2슬라브)를 결합하는 연결철근을 뜻한다.
도 2(a)는 제1슬라브(10)와 제2슬라브(100)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제1벽체와 제2슬라브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구조물의 주요 부위는 지반 또는 지면으로부터 벽체와 슬라브를 지지하는 기초, 상기 기초로 건물의 하중을 전달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위에 결합되는 슬라브라 할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대부분은 벽체가 건물의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벽체를 내력식 벽체라 칭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슬라브(10)는 상기 제2슬라브(100)와 슬라브-슬라브 경계면(BSS)에서 만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제2슬라브(100)는 지붕이나 바닥이 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기 제1슬라브(10)및 상기 제2슬라브(100)는 서로 다른 두께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증축 구조물, 즉, 제2슬라브가 받아야 할 하중을 고려해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브(10)의 두께(SC1)는 상기 제2슬라브(100)의 두께(SC2)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제1슬라브(10)및 상기 제2슬라브(10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BSS에서는 우선 양 단면을 치핑(Chipping)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치핑처리는 단면을 거칠게 하여 상기 BSS에서의 전단력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제2슬라브(100)를 위해서 상기 증축 구조물은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제2슬라브(100)를 연결하는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과 상기 제1슬라브(1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제1슬라브(10)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슬라브 앵커홀(11), 및 상기 슬라브 앵커홀(11)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과 결합하는 슬라브 앵커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두께 및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슬라브 앵커홀(11) 및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는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제2벽체(200)에도 동일한 앵커홀 및 동일한 앵커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은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에 가해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지름이 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는 상기 제1슬라브(10)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습윤 및 건조에도 강하고, 온도의 변화에도 변형이나 하중지탱력의 변화가 없는 제품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브 앵커홀(11)은 우선 에폭시 레진을 화활용하여 채운 후, 상기 에폭리 레진이 경화전에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를 상기 슬라브 앵커홀(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은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에 삽입되어 고정될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2슬라브(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브(100)는 다른 곳에서 만들어 진 후 상기 제1슬라브(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제2슬라브(100)는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을 만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은 따라서, 상기 제1슬라브(10)와 연결된 후, 상기 제1슬라브(10)를 만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제1슬라브(10)를 위한 거푸집에 미리 삽입될 것이다.
상기 제2슬라브(100)가 콘크리트의 타설로 현장에서 제조되는 경우,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과 접촉하므로 상기 제2슬라브(100)에는 별도의 슬라브 앵커장치가 불필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슬라브(10)에 상기 제2슬라브(100)가 결합해야 하므로,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은 주로 상기 제2슬라브(100)를 지탱하기 위함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 중 상기 제1슬라브(10)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상기 제2슬라브(100)에 삽입되는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의 상기 제2슬라브(100)에 삽입되는 길이(S2)가 상기 제1슬라브(10)에 삽입되는 길이(S1)보다 3배 이상 길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슬라브(10)가 이미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는 기존 구조물인 반면, 상기 제2슬라브(100)는 거푸집을 활용하여 새로이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사이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는 다른 연결철근 및 다른 구조물사이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이 받는 하중을 고려하면 기 설정된 기준강도, 즉, 최소한의 인장강도는 40 MPa이상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b)는 제1벽체(20)와 제2슬라브(100)의 결합구조의 일례이다. 벽체와 슬라브의 관계를 고려하면, 상기 제1벽체(20)는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고, 상기 제2슬라브(100)는 상기 제1벽체(20)에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벽체(20)와 상기 제2슬라브(100)는 서로 수직하게 결합될 것이다.
상기 제1벽체(20)와 상기 제2슬라브는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제2슬라브(100)가 만나는 경계면(BSW)는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제2슬라브(100)의 경계면(BSS)와 마찬가지로 치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벽체(20)는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의 삽입을 위한 벽체 앵커홀(21) 및 상기 벽체 앵커홀(21)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을 고정시키는 벽체 앵커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의 기준강도는 40MPa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의 직경도 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벽체 앵커장치(25)는 상기 제1슬라브(10)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습윤 및 건조에도 강하고, 온도의 변화에도 변형이나 하중지탱력의 변화가 없는 제품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 앵커홀(21)은 우선 에폭시 레진을 화활용하여 채운 후, 상기 에폭리 레진이 경화전에 상기 벽체 앵커장치(25)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벽체 앵커장치(25)를 상기 벽체 앵커홀(21)에 고정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은 상기 제1벽체가 형성시 이미 삽입되어 있던 상기 제1벽체(20)의 콘크리트와 결합하는 제1벽체수평근(28a) 및 제1벽체수직근(28b)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삽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은 상기 제2슬라브(100)의 내부에 들어가서 상기 제2슬라브(100)의 콘크리트와 결합하는 제2벽체철근(280)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삽입될 것이다.
도 3(a)는 위에서 바라보아 상기 제1벽체(20)와 상기 제2벽체(200)가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위에서 바라보아 상기 제1벽체(20)와 상기 제2벽체(200)가 직각방향으로 결합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제2벽체(200)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기존의 벽체에 인접하게 새로운 벽체를 신설하여 공간을 추가적으로 나누기 위함이다.
상기 제1벽체(20)의 두께(WC1)은 상기 제2벽체(200)의 두께(WC2)와 동일할 것이다. 이는 벽면의 형태를 매끄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제2벽체(200)가 만나는 경계면(BWW)는 상기 제1벽체(20)및 상기 제2벽체(200)의 일단부가 각각 치핑처리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벽체(20)및 상기 제2벽체(200)는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20)는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벽체 앵커홀(21) 및 상기 벽체 앵커홀(21)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을 고정시키는 벽체 앵커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이 상기 제1벽체(20)에 삽입되는 되는 길이는 상기 제2벽체(200)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벽체(20)의 내부에 들어가는 상기 제1벽체철근(28)의 배치간격은 상기 제2벽체(200)의 내부에 들어가는 상기 제2벽체철근(280)의 배치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벽체철근(280) 및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의 기준강도는 40 MPa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벽체철근(280) 및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의 직경은 10mm이상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이 받을 하중을 고려해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제2벽체(200)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구획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벽체(20)의 두께(WC1)은 상기 제2벽체(200)의 두께(WC2)와 동일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두께의 통임감을 주기 위함이고, 상기 제2벽체(200)도 내려벽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제2벽체(200)가 수직하게 만나는 경계면(미도시)는 상기 제1벽체(20)및 상기 제2벽체(200)의 일단부가 각각 치핑처리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벽체(20)및 상기 제2벽체(200)는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20)는 상기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벽체 앵커홀(21) 및 상기 벽체 앵커홀(21)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을 고정시키는 벽체 앵커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 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이 상기 제1벽체(20)에 삽입되는 되는 길이는 상기 제2벽체(200)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벽체(20)의 내부에 들어가는 상기 제1벽체철근(28)의 배치간격은 상기 제2벽체(200)의 내부에 들어가는 상기 제2벽체철근(280)의 배치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벽체철근(280) 및 상기 벽체- 수직벽체 연결철근의 기준강도는 40 MPa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벽체철근(280) 및 상기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의 직경은 10mm이상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이 받을 하중을 고려해서이다.
도 4(a)는 제1기초(50)와 제2벽체(200)가 결합하는 일례이다. 상기 제1기초(50)위에 세워지는 제2벽체(200)도 마찬가지고, 상기 제1기초(50) 및 상기 제2벽체(200)의 경계면을 치피청리한 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초(50) 및 상기 제2벽체(20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기초(50) 및 상기 제2벽체(200)를 연결하는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기초(50)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기초-벽체 앵커홀(51) 및 기초-벽체 앵커장치(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51) 에 상기 기초-벽체 앵커장치(55)를 삽입 후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51) 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은 상기 기초-벽체 앵커장치(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초(50)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의 길이는 상기 제2벽체(200)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의 상기 제2벽체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간격은 상기 제2벽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벽체수직근(282)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은 상기 제2벽체(20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기초(50)에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의 삽입된 후, 거푸집을 활용하여 상기 제2벽체(200)를 형성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전,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을 설치시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591)과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을 먼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4(b)는 상기 제1기초(50)와 상기 제2기초(500)가 결합하는 일례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기초(500)의 두께는 상기 제1기초(50)의 두께와 동일할 것이다. 이는 공동주택에서 상기 제1기초(50) 및 상기 제2기초(500)가 받는 하중을 고려해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기초(50) 및 상기 제2기초(500)의 두께는 70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기초(500)도 상기 제1기초(5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증축 구조물은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초(50)는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기초(50)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기초(500)를 향해 형성되는 기초-기초 앵커홀(512) 및 상기 기초-기초 앵커홀(51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과 연결되는 기초-기초 앵커장치(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의 일단은 상기 기초-기초 앵커장치(552)에 고정되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의 타단은 상기 제2기초(500)에 삽입되어 고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기초(50)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의 길이는 상기 제2기초(500)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은 상기 제2기초(5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제2기초철근(58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는 높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기초(500)는 제2기초상부철근(581) 및 제2기초하부철근(582)이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592)의 간격과 동일하게 나란한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2기초(500)상에도 제2벽체(200)가 신설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제1벽체(20)의 단부를 보강한 일례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기존에 구비되던 상기 제1벽체(20)는 필요에 따라 일부를 철거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벽체(20)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도 있다.
상기 제1벽체(20)의 일부를 헐게되는 경우, 헐어진 부분은 남겨진 제1벽체(20)의 단부(End)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는 상기 제1벽체(20)의 양쪽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5(b)는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의 보강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필요시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단부만 보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벽체(20)의 단부는 형태적으로 매끄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조으로도 응력집중을 받아 안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벽체(20)를 지지하는 단부보강근(28c)의 간격(G1)은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20L, 20R)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벽체(20)를 지지하고 형성하는 제1벽체철근(28)의 간격(G2)보다 작을 수 있다.
촘촘한 간격으로 상기 단부보강근(28c)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1개당 받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의 길이(RE)가 동일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서로의 길이가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부보강근(28c)은 높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G1)을 두고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벽체수평근(28a)은 상기 제1벽체(20)의 일부를 철거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벽체수평근(28a)은 절단하지 않고 상기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에 콘크리트 타설전 토출되는 일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벽체(20)의 양단부(20L, 20R)를 더 보강하기 위함이다.
도 5(b)는 상기 제1벽체(20)의 두께를 증타보강한 일례를 옆에서 바라본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벽체의 두께를 변경시킬수도 있다. 이는 수직증축으로 인해 상기 제1벽체(20)에 가해지는 많은 하중을 지탱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벽체(2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증타두께(ID)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만든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20)및 상기 제1벽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벽체(20)의 두께를 변경시키는 증타벽체(300)는 서로 경화되는 시기가 달라, 일체처럼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잘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벽체(20) 및 상기 증타벽체(300)와 결합하는 증타연결철근(2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타연결철근(294)은 상기 제1벽체(2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20)는 상기 증타연결철근(294)을 수용하기 위한 벽체 앵커홀(21) 및 상기 벽체 앵커홀(21)에 삽입되어 상기 증타연결철근(294)을 연결시키 고정하는 벽체 앵커장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앵커홀(21) 및 상기 벽체 앵커장치(25)는 상기 제1벽체(20)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291), 상기 벽체-수평벽체 연결철근(292), 상기 벽체-수직벽체 연결철근(293) 및 상기 증타연결철근(294)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브 앵커홀(11) 및 상기 슬라브 앵커장치(15)도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19) 및 후술할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증타연결철근(294)의 간격은 상기 증타벽체(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타벽체철근(380)중 증타수평근(381)과 동일한 간격으로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타수평근(381)은 상기 증타연결철근(294)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타벽체철근(380)은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증타수직근(38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타수직근(382)을 따라 상기 증타수평근(381)이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a)는 제1슬라브(10)와 제2벽체(200)의 결합구조의 일례이다.
필요에 따라, 제2벽체(200)는 기존에 구비되는 제1슬라브(10)를 지지하고, 상기 제1슬라브(10)의 상부에서 다른 제2벽체(200)와 결합할 수 있다. 보기에 따라서는 상기 제2벽체가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제1슬라브(10)를 관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제1슬라브(10)의 상 하부에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2개의 제2벽체(200)가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슬라브(10)와 상기 제2벽체(200)를 구조적을 안전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슬라브(10)의 하중을 상기 제2벽체를 통해 전달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상기 증측 구조물은 상기 하나의 제1슬라브(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벽체(200)는 상기 제1슬라브(10)의 하부에서 상기 제1슬라브(10)를 지지하는 하나의 제2벽체(200) 및 상기 제1슬라브(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슬라브(10) 및 상기 하나의 제2벽체(200)로 하중을 전달하는 다른 하나의 제2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슬라브(10)는 상기 제1슬라브(10)를 관통하여 상기 하나의 제2벽체(200)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2벽체(200) 동시에 결합하는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이 상기 하나의 제2벽체(200)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2벽체(200)에 삽입되는 길이(UL, LL)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체(200)는 상기 제2벽체(200)의 뼈대를 형성하는 제2벽체철근(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체철근(28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벽체수평근(281) 및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벽체수직근(2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은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은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가 2열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2열의 제2벽체수직근(28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벽체수평근(281)은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제2슬라브와 나란한 방향으로 K-K' 를 따라 절단된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은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가 2열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2열의 제2벽체수직근(28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벽체수평근(281)은 상기 제2벽체수직근(282)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은 상기 제2벽체수평근(281)의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체(200)와 상기 제2슬라브(100) 사이의 안전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은 복수 개가 다발 내지 그룹(group)을 형성하여 하나의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트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세트는 상기 제2벽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b)는 4개의 슬라브-벽체 연결철근(18a, 18b, 18c, 18d)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세트중 인접한 세트의 간격은 상기 세트 내에서 인접한 슬라브-벽체 연결철근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슬라브
11: 슬라브 앵커홀
15: 슬라브 앵커장치 20: 제1벽체
21: 벽체 앵커홀 25: 벽체 앵커장치
28: 제1벽체철근 50: 제1기초
100: 제2슬라브 200: 제2벽체
300: 증타벽체 500: 제2기초

Claims (11)

  1. 제1슬라브, 상기 제1슬라브를 지지하는 제1벽체, 및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제1기초를 포함하는 기존 구조물의 증축을 위해 상기 기존 구조물에 연결되는 증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브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슬라브;
    상기 제1기초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기초;
    상기 제1슬라브 또는 상기 제2슬라브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1기초 또는 상기 제2기초와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벽체;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슬라브 및 상기 제2슬라브를 연결하는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 및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2슬라브 및 상기 제1벽체를 연결하는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 및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기준강도는 40 MPa 이상이고,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가 상기 제1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길고,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벽체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벽체는: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벽체 앵커홀; 및
    상기 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슬라브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벽체 앵커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브는:
    상기 벽체 앵커장치를 상기 벽체 앵커홀에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경화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슬라브 앵커홀; 및
    상기 슬라브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슬라브 앵커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앵커홀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삽입길이는 상기 제2슬라브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브-슬라브 연결철근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기초 및 상기 제2벽체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기초-벽체 연결철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벽체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길이는 상기 제1기초에 삽입되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기초는: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기초-벽체 앵커홀; 및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벽체 연결철근과 결합하는 기초-벽체 앵커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벽체 앵커장치는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에 에폭시 레진이 채워진 후 상기 에폭시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기초-벽체 앵커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기초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기초; 및
    상기 제1기초 및 상기 제2기초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기초-기초 연결철근;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기초의 두께는 상기 제1기초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제1기초는: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기초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기초를 향해 형성되는 기초-기초 앵커홀; 및
    상기 기초-기초 앵커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과 연결되는 기초-기초 앵커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기준강도는 40MPa 이상이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상기 제2기초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1기초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벽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슬라브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슬라브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벽체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슬라브-벽체 연결철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철근은 기 설정된 개수로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상기 세트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벽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세트에서 인접한 상기 슬라브-벽체 연결철근 사이의 간격은 인접한 상기 세트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증축 구조물은,
    상기 제1벽체로부터 기설정된 증타길이 만큼 증타하여 증타벽체; 및
    상기 제1벽체 및 상기 증타벽체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증타수평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타수평근의 기준강도는 4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단부보강근의 간격은 상기 제1벽체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벽체를 지지하는 제1벽체철근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은 상기 제2기초의 내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제2기초철근과 연결되고,
    상기 제2기초철근은 제2기초상부철근 및 제2기초하부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은 높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기초상부철근 및 상기 제2기초하부철근이 상기 기초-기초 연결철근의 간격과 동일하게 나란한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168815A 2022-12-06 2022-12-06 증축 구조물 KR10263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15A KR102632253B1 (ko) 2022-12-06 2022-12-06 증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15A KR102632253B1 (ko) 2022-12-06 2022-12-06 증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253B1 true KR102632253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815A KR102632253B1 (ko) 2022-12-06 2022-12-06 증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164A (ja) * 1998-11-12 2000-05-26 Misawa Homes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躯体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躯体の増築方法
KR20090026684A (ko) 2007-09-10 2009-03-13 박대원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방법
KR20110003019A (ko) * 2009-07-03 2011-01-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모델링 구조물 및 리모델링 공법
KR20130030962A (ko) 2011-09-20 2013-03-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축물의 리모델링시 증축 시공방법
KR101859573B1 (ko) * 2018-01-15 2018-05-21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증축 시공 방법
KR20220019346A (ko) * 2020-08-10 2022-02-17 (주)한국건설공법 기존 지하 외벽의 보강을 통한 신설 건물의 지하 증축 및 역타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164A (ja) * 1998-11-12 2000-05-26 Misawa Homes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躯体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躯体の増築方法
KR20090026684A (ko) 2007-09-10 2009-03-13 박대원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방법
KR20110003019A (ko) * 2009-07-03 2011-01-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모델링 구조물 및 리모델링 공법
KR20130030962A (ko) 2011-09-20 2013-03-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축물의 리모델링시 증축 시공방법
KR101859573B1 (ko) * 2018-01-15 2018-05-21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증축 시공 방법
KR20220019346A (ko) * 2020-08-10 2022-02-17 (주)한국건설공법 기존 지하 외벽의 보강을 통한 신설 건물의 지하 증축 및 역타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3795B1 (en)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U2017301103B2 (en) Pre-cast concrete formwork,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111337B1 (ko) 중앙에 기둥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WO2009156586A1 (en) Method for forming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JP2011094335A (ja) 床スラブの構築方法
KR102050046B1 (ko) 장부이음을 갖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KR102107066B1 (ko)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방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2153857B1 (ko) Pc패널 연결용 커플러
KR102632253B1 (ko) 증축 구조물
KR102132674B1 (ko) 내진 시공이 적용된 비내력벽 시스템
EP2241690A2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KR102632262B1 (ko) 증축 구조물 및 그 증축 방법
JP2007277856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DK2644794T3 (en) SYSTEM OF FORCING BLOCKS, STRUCTURE CONSTRUCTED THEREOF AND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EP1012415B1 (en) Arrangement at wall support
JP201712895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方法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2268986B1 (ko)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EP2241692B1 (en) House module, assembly and house of a number of house modu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e
KR200423643Y1 (ko) 플레이트를 이용한 i-슬래브 접합구조
KR100687133B1 (ko) 슬림 피시 슬래브 데크를 이용한 i-슬래브
JPH1113189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これを用いた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