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880Y1 - 콘크리트 파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880Y1
KR200337880Y1 KR20-2003-0030289U KR20030030289U KR200337880Y1 KR 200337880 Y1 KR200337880 Y1 KR 200337880Y1 KR 20030030289 U KR20030030289 U KR 20030030289U KR 200337880 Y1 KR200337880 Y1 KR 200337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pile
cylindrical
protrusion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삼성디와이
주식회사 삼성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삼성디와이, 주식회사 삼성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20-2003-0030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심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파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 내부에 구비된 철근 배근부; 및 상기 철근 배근부를 감싸면서 원통형 몸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파일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재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지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요되는 단위 면적당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입을 위해 요구되는 관입홀의 굴착 깊이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한 시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관입홀 형성을 위한 작업시간과 그에 따른 소음 문제 등이 감소됨은 물론 소요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상의 경제적인 비용 감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Concrete Pil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재를 띠형태로 구비시킴으로써, 파일 시공시 지지력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반공사시 요구되는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수직으로 시공하고 있다. 종래의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의 외주면에는 특별한 부재가 형성됨이 없이 매끄러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파일이 관입되더라도, 주변 지반과 관입된 종래의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의 사이의 마찰 지지력 형성이 미비하여 소정 조건의 지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 이상의 콘크리트 파일을 시공하여 한다.
종래의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10)의 코어부는 원심력을 이용한 제조과정상 중공부(16)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의 외주면에는 특별한 마찰이나 지반과의 결속력 향상을 위한 특별한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매끈한 상태의 외주면으로 구비되어 있다. 통상 지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 내부에 수직으로 소정 깊이까지 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공과정에서, 관입홀의 수나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는 작업비용이나 작업에서 발생되는 필연적인 소음 정도, 그리고 작업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은 자명하다. 일반적으로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가 많을수록 지반 지지력은 향상되지만, 경제성이나 작업공해 등의 문제를 고려하면 무조건적으로 많은 수의 콘크리트 파일을 관입시키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지반 공사에서 요청되는 정도 또는 그 정도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지반 지지력을 적은 수의 콘크리트 파일로서 확보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파일의 지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관련 분야에서 지속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반 지지력 확보를 위해 소요되는 관입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비용, 경제성 향상, 작업환경의 개선 등을 이루고자 함에 있으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 파일 외주면에 소정의 돌출부를 더 구비하여 지반 지지력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파일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1실시예의 부분절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2실시예의 부분절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원통형의 콘크리트 파일
22...돌출부(도우넛형)
24...콘크리트 파일 몸체의 길이방향의 철근배근
25...콘크리트 파일 몸체 외주면을 감싸는 철근 배근
26...코어 중공부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한 콘크리트 파일은, 코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파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 내부에 구비된 철근 배근부; 및 상기 철근 배근부를 감싸면서 원통형 몸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파일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재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재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의 외주면을 도우넛 형태로 감싸는 돌출띠로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띠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의 외주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2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면 더욱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재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돌출띠로서 구비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를 구성하는 도우넛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원통형 콘크리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돌출띠는 그 내부에 철근배근이 구비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재로 감싸여져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1실시예의 부분절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20)은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심 코어부는 중공부(26)로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파일 제작을 위한 몰드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중심 코어부는 중공부(26)가 형성되고, 원통형 콘크피트 파일(20)의 몸체를 콘크리트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파일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에서 부분절개된 상태를 도시하였음은 물론 그 단면도를 측부에 배치하였다. 상기 부분절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코어 중공부(26)를 감싸고 있는 콘크리트 파일(20)의 원통형 몸체 내부에는 길이 방향의 철근 배근(24)과 원통형 몸체를 도우넛 형으로 감싸는 철근 배근(25)이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철근배근(24, 25)은 요구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그 사용된 철근의 굵기나 배근 밀집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철근 배근(24, 25)을 감싸면서 콘크리트재(27)가 중심 코어의 중공부(26)를 감싸도록 제조되어 있으며, 통상 원심력을 이용하여, 철근 배근(24, 25)이 구비된 몰드 구조체를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재를 타설하면 중심 코어에 중공부(26)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구조의 콘크리트 파일(20)이 제조된다. 이때, 원통형 콘크리트 파일(2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도우넛형 돌출부(22)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도우넛형 돌출부(22)는 지반 지지 공사시, 지반에 형성된 수직형 관입홀에 콘크리트 파일(20)이 관입된 이후, 주변 지반과의 마찰력 및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부재로서 기능하여,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도 1 참조)을 시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한 정도로 지반 지지력이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로써, 동일한 지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동일 면적당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입을 위해 요구되는 관입홀의 굴착 깊이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한 시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관입홀 형성을 위한 작업시간과 그에 따른 소음 문제 등이 감소됨은 물론 관입홀 수의 감소에 따른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상의 경제적인 비용 감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지반에 형성된 수직형 관입홀은 콘크리트 파일(20)의 외주면에 구비된도우넛형 돌출부(22)로 인해 돌출부의 마디와 마디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공간부에는 지반 토압에 의해 충분한 정도로 충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2실시예의 부분절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체적인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도 2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즉, 원통형의 콘크리트 파일(30), 그 중심 코어의 중공부(36), 상기 중공부(36)를 감싸면서 콘크리트 파일(30)의 원통형 몸체 내부를 감싸고 있는 길이 방향의 철근배근(34)과 콘크리트 파일(30)의 원통형 몸체를 감싸는 철근 배근(35)이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다만, 돌출부(32)에 띠철근과 같은 철근 배근이 더 구비되도록 한 점에서 도 2의 콘크리트 파일과 구조상의 차이가 있다. 이는 도 2와 같이 철근배근이 없는 돌출부(도 2의 22)가 관입시 관입홀의 입구나 관입홀의 내주면과 부딪히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기술적 개량을 부가한 것이며, 지반 자체가 연약한 곳에서는 도 2의 콘크리트 파일 구조로서도 충분한 본 고안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지반 강도가 크거나, 자갈이나 암반 구조물과 같은 지반 강도가 큰 물질층을 관입홀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돌출부(32)에 철근 배근을 더 구비시켜 작업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돌출부(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체적인 원통형의 콘크리트 파일(4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지반 지지력 강화를 위한 돌출부(42)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도우넛 형으로 감싸면서 형성된 돌출부(도 2의 22, 도 3의 32)와는 달리 나선형으로 콘크리트 파일(4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구조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기 나선형 돌출부(42)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철근 배근이 없는 상태 또는 철근 배근을 한 상태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도우넛 형태의 돌출부(도 2의 22, 도 3의 32)나 나선형의 돌출부(도 4의 42)로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지반과의 마찰력 증대 및 지반과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파일 외주면에 형성시키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할 것임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지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동일 면적당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입을 위해 요구되는 관입홀의 굴착 깊이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한 시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관입홀 형성을 위한 작업시간과 그에 따른 소음 문제 등이 감소됨은 물론 관입홀 수의 감소에 따른 관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상의 경제적인 비용 감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Claims (5)

  1. 중심 코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 콘크리트 몸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파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 몸체 내부에 구비된 철근 배근부; 및
    상기 철근 배근부를 감싸면서 원통형 콘크리트 몸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파일 외주면에 일체로 돌출부가 형성된 콘크리트재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재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의 외주면을 도우넛 형태로 감싸는 돌출띠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띠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2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재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돌출띠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띠는 그 내부에 철근배근이 구비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재로 감싸여져 상기 원통형 콘크리트 외형부에 일체로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KR20-2003-0030289U 2003-09-25 2003-09-25 콘크리트 파일 KR200337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289U KR200337880Y1 (ko) 2003-09-25 2003-09-25 콘크리트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289U KR200337880Y1 (ko) 2003-09-25 2003-09-25 콘크리트 파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481A Division KR20050030276A (ko) 2003-09-25 2003-09-25 콘크리트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880Y1 true KR200337880Y1 (ko) 2004-01-07

Family

ID=4934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289U KR200337880Y1 (ko) 2003-09-25 2003-09-25 콘크리트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8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31B1 (ko) * 2014-12-02 2016-03-07 우종열 탑다운 공법용 기초 파일 및 기둥 부재의 구조
WO2018128301A1 (ko) 2017-01-03 2018-07-12 코웨이 주식회사 상하 좌우 회전식 로봇 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31B1 (ko) * 2014-12-02 2016-03-07 우종열 탑다운 공법용 기초 파일 및 기둥 부재의 구조
WO2018128301A1 (ko) 2017-01-03 2018-07-12 코웨이 주식회사 상하 좌우 회전식 로봇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880Y1 (ko) 콘크리트 파일
KR20050030276A (ko) 콘크리트 파일
JP2003003465A (ja) テーパー基礎杭
KR101775844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1636225B1 (ko) 횡강성 보강형 내부 철근콘크리트 icp 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331218B1 (ko) 주면마찰력 및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이형 phc 파일
KR102319143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101226236B1 (ko) 중공형 phc 말뚝
JP5204692B2 (ja) プレボーリングh形鋼杭
JP4555976B2 (ja) コンクリート製の既製杭
KR100823087B1 (ko) 토목 및 건물 기초용 매입말뚝 및 매입말뚝 제작용 거푸집
JP3967494B2 (ja) 沈設体の沈設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沈設体
KR102171787B1 (ko) 고강도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KR200392177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932952B1 (ko) 다양한 선단부를 갖는 말뚝부재
KR200410419Y1 (ko) 옹벽블럭용 보강부재어셈블리
KR200459646Y1 (ko)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구조물
KR102283588B1 (ko) 절곡연결부를 구비한 차수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3622363B2 (ja) 杭頭処理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杭頭処理材
KR200344121Y1 (ko) 앵커 블록
KR102264594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KR20190070607A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US11988013B2 (en) Wal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140003333U (ko) 해양구조물 지지용 기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