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704Y1 - 탁상용 액자 - Google Patents

탁상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704Y1
KR200337704Y1 KR20-2003-0028110U KR20030028110U KR200337704Y1 KR 200337704 Y1 KR200337704 Y1 KR 200337704Y1 KR 20030028110 U KR20030028110 U KR 20030028110U KR 200337704 Y1 KR200337704 Y1 KR 200337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frame
picture
desktop
micro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용
Original Assignee
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용 filed Critical 최성용
Priority to KR20-2003-0028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전시창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전시창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사진이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사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후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탁상용 액자에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할 때 사진 속 인물의 음성을 함께 들을 수 있어 사진을 보다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탁상용 액자 {Desktop picture frame}
본 고안은 탁상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저장 및 재생장치가 구비된 탁상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전시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크게 벽걸이형과 탁상용으로 구분된다. 이 중 탁상용 액자는 책상이나 선반 등에 쉽게 장식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또는 여행 중에도 휴대하며 가족 또는 연인의 사진이나 그림을 전시 및 감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가족이나 연인 등의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할 때 사진 속 인물의 음성을 함께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진을 보다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가 구비된 탁상용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시창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전시창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사진이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사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후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탁상용 액자에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소정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칩과, 상기 마이크로 칩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마이크로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전시창의 일부분 또는 상기 프레임에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액자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액자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액자에 구비되는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프레임 2: 전시창
3: 덮개 4: 나사
10: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 11: 마이크
12: 스위치부 l2a: 메인 스위치
12b: 모드 스위치 l2c: 시작 버튼
13: 스피커 14: 마이크로 칩
14a: 데이터 저장부 l4b: 프로세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액자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정한 두께로 제작된 프레임(1)의 내측에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전시창(2)이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1)은 사각형이나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전시창(2)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는 두 개의 프레임(1 및 21)이 접이식으로 연결된 형태의 탁상용 액자가 도시되었지만,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다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전시창(2)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사진(도시안됨)이 내재된 상태에서 사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의 후면에는 도 3과 같이 덮개(3)가 장착된다.
상기 덮개(3)는 나사(4) 등에 의해 프레임(1)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과 사진 사이에는 사진을 보호하기 위해 유리판넬(도시안됨)을 개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탁상용 액자의 상기 전시창(2)의 일부분 또는 사진이 내재된 프레임(1)과 연결된 다른 프레임(21)에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10)를 구비시킨다.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10)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11), 상기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4a) 및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소정의 프로세서(14b)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칩(14), 상기 마이크로 칩(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12), 상기 마이크로 칩(14)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스피커(13)가 상기 프레임(21)의 전시창(2) 내에 판넬 형태로 내장되고, 상기 마이크(11)와 다수의 스위치(12a 내지 12c)를 포함하는 스위치부(12)가 상기 프레임(21)에 내장된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10)의 마이크로 칩(14)은 1분 이상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장시간동안 데이터를 변질되지 않게 저장할 수 있어 항상 원음을 재생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다시 음성을 저장하면 기존의 데이터가 소거되면서 새로운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계속적인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하다.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는 예를 들어, 교류(AC) 전압을 직류(DC) 전압으로 출력하는 아답터, AA 또는 AAA 사이즈의 건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와 크기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단추형의 건전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부(12)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메인 스위치(12a), 음성저장 및 재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12b), 음성 녹음의 시작 및 종료 또는 음성 재생의 시작 및 종료를 위한 시작 버튼(12c)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탁상용 액자는 상기 프레임(1)에 원하는 사람의 사진을 내재시킨 후 원하는 사람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스위치부(12)의 메인 스위치(12a)를 온(On)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 모드 스위치(12b)를 "녹음"으로 선택하고 시작버튼(12c)을 누르며 마이크(11)를 통해 음성을 녹음한다.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된 음성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마이크로 칩(14)의 레이터 저장부(14a)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상기 모드 스위치(12b)를 "재생"으로 변환한다.
사진이 내재된 본 고안의 탁상용 액자를 책상이나 선반에 장식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12)의 모드 스위치(12b)를 "재생"으로 선택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시작 버튼(12c)을 누르면 재생이 시작되는데, 상기 데이터 저장부(14a)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상기 프로세서(14b)를 통해 처리된 후 상기 스피커(13)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음성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시작버튼(12c)을 일회 더 누르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음성을 듣고 싶으면 상기 스위치부(12)의 모드 스위치 (12b)가 "재생"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시작 버튼(12c)을 한번 누르면 음성이 재생되고, 한번 더 누르면 음성 출력이 정지된다.
본 실시 예는 스위치부(12)의 작동으로 음성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프레임(1) 등에 센서(도시안됨)를 설치하여 액자로부터 소정 거리에 사람이 근접하면 음성이 재생되도록 구성하거나, 소정 시간마다 음성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족이나 연인 등의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할 때 사진 속 인물의 음성을 함께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진을 보다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전시창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전시창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사진이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사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후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탁상용 액자에 있어서,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가 상기 전시창의 일부분 또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된 다른 프레임에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장치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소정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칩과,
    상기 마이크로 칩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마이크로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메인 스위치와,
    상기 음성 저장 및 재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와,
    상기 음성 녹음의 시작 및 종료 또는 상기 음성 재생의 시작 및 종료를 위한 시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공급은 아답터 또는 건전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사진 사이에 사진을 보호하기 위해 개재된 유리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KR20-2003-0028110U 2003-09-01 2003-09-01 탁상용 액자 KR200337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10U KR200337704Y1 (ko) 2003-09-01 2003-09-01 탁상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10U KR200337704Y1 (ko) 2003-09-01 2003-09-01 탁상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704Y1 true KR200337704Y1 (ko) 2004-01-13

Family

ID=4942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110U KR200337704Y1 (ko) 2003-09-01 2003-09-01 탁상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7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401B1 (en)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ssociated audio message
US5504836A (en) Picture frame with associated audio message
TWI254212B (en) Electronic book data delivery apparatus, electronic book device
US6185851B1 (en) Picture frame with associated audio messages
US2013031118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4104232A (ja) 祭壇装置
KR200337704Y1 (ko) 탁상용 액자
CN106791897A (zh) 基于视频播放平台的直播互动方法及装置
JP2004514183A (ja) 表示装置
JPH06133838A (ja) フォト/絵画用フレーム
KR100742979B1 (ko) 청각보조기
RU136209U1 (ru) Система видеоувеличения, включающая электронный ручной видеоувеличитель
JPH10225349A (ja) 音声装置内蔵の額縁
JP2004145349A (ja) 製品提示設備
KR20020034758A (ko) 멀티미디어 방명록 저장장치
KR102006604B1 (ko) 소리인식을 통한 합성영상의 자동녹화 장치
JPH0530885U (ja) 音声発生装置付きパネル
KR200216425Y1 (ko) 다기능 스탠드형 액자
JP3062177U (ja) 写真スタンド
JP2006122388A (ja) 鏡台
JPH03259487A (ja) 可搬型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イヤ
JP3081677U (ja) ヘッドフォン装置
KR200317245Y1 (ko) On-Off 스위치가 있는 녹음 가능한 소리나는 액자
KR200242009Y1 (ko) 액자
KR20030012271A (ko) 플래쉬파일을 이용한 휴대용 애니메이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