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361Y1 -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361Y1
KR200337361Y1 KR20-2003-0029732U KR20030029732U KR200337361Y1 KR 200337361 Y1 KR200337361 Y1 KR 200337361Y1 KR 20030029732 U KR20030029732 U KR 20030029732U KR 200337361 Y1 KR200337361 Y1 KR 200337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ssembly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섭
Original Assignee
임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섭 filed Critical 임관섭
Priority to KR20-2003-0029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를 허물지 않고도 기존의 수도라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수도전 어셈블리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하여 수도전 어셈블리와 배관라인의 연결부 및 이에 연결되는 연수기 및 정수기 등에도 수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수도용 수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라인에 연결 설치되며 수도전 어셈블리(1)의 폐쇄시 발생되는 수격을 방지하도록 된 수격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에 내부의 수로(17)와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수로(17)와 연통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에어챔버(21)에 설치되는 피스톤(25)과, 이 피스톤(25)을 상기 수로(17)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2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기존에 설치된 상수도에도 건물의 벽체를 허물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수격의 근원지인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수격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도용 수격방지장치{Water hammer relief apparatus}
본 고안은 수도용 수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를 허물지 않고도 기존의 수도라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수도전 어셈블리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하여 수도전 어셈블리와 배관라인의 연결부 및 이에 연결되는 연수기 및 정수기에도 수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수도용 수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는 배관라인에 연결된 수도전 어셈블리를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도전 어셈블리는 여러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형태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수도전 어셈블리(1)는 밸브하우징(10)과, 이 밸브하우징(10)과 벽체에 매입된 배관라인(30)을 연결하는 냉온수 유입관(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하우징(10)에는 평상시 도 2의 수로(17)를 개폐하는 메인밸브체(11)가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 유입관(15)에는 밸브하우징(10)을 유지 보수할 때 수로(17)를 폐쇄하는 보조밸브체(18)가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상수도는 수도전 어셈블리(1)를 개방하였다가 신속히 폐쇄하면, 유속이 급격히 변화됨에 따라 배관라인(30) 내부에 수격이라고 하는 충격파가 발생되어 배관라인(30)의 연결부위 등을 손상시기커나, 상수도에 연결된 정수기 또는 연수기 등의 설비에 충격파를 전달하여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원터치방식으로 개폐되는 수도전 어셈블리(1)의 사용이 늘어감에 따라 이러한 수격에 의한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급폐수에 따른 수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배관라인(30)의 중간에 수격방지장치(3)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수격방지장치(3)는 배관라인(3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5)과, 이 피스톤(25)을 탄지하는 탄성수단(29)로 이루어져서, 수격에 의해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되면, 상기 피스톤(25)이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압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상수도는 수도전 어셈블리(1)만이 벽체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이 수도전 어셈블리(1)에 연결된 배관라인(30)은 건물의 벽체에 매입 설치됨에 따라, 배관라인(30)에 연결되는 수격방지장치(5) 역시 배관라인(30)과 함께 벽체에 매입 설치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상수도에 수격방지장치(5)를 설치하려면, 벽체를 헐어내고 이 부분의 배관라인(30)에 조인터 등을 통해 연결 설치할 수밖에 없어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공비가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상수도 사용자는 수격에 의한 소음이나, 배관라인(30)의 누수 등을 알면서도 수격방지장치(5)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격방지장치(5)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수격이 발생되는 수도전어셈블리(1)로부터 상당거리 이격된 배관라인(30)상에 연결 설치되기 때문에, 수도전 어셈블리(1)를 급폐수하면 급격한 유속의 변화에 의해 수격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수격은 이 수도전 어셈블리(1)와 배관라인(30)의 연결부를 거쳐서 수격방지장치(5)까지 전달된 후에야 비로서 충격파가 흡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수격방지장치(5)에 의해서는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과, 수도전 어셈블리(1)와 배관라인(30)의 연결부 등은 여전히 수격의 충격파에 노출되어 쉽게 손상되고 누수의 우려가 상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도라인에 설치되는 정수기와 연수기는 통상 수도전 어셈블리(1)와 배관라인(3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발생된 충격파가 배관라인(30)에 설치된 수격방지장치(5)에 의해 흡수되기 전에 연결된 연수기와 정수기에 전달되어 설비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그대로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벽체를 허물지 않고도 기존의 수도전 어셈블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수도전 어셈블리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수도전 어셈블리와 배관라인의 연결부 및 이에 연결된 연수기 및 정수기 등에도 수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수도용 수격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격방지장치가 설치된 상수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격방지장치가 설치된 상수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도전 어셈블리 3 : 수격방지장치
10 : 밸브하우징 20 : 실린더
21 : 에어챔버 25 : 피스톤
29 : 탄성수단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라인에 연결 설치되며 수도전 어셈블리(1)의 폐쇄시 발생되는 수격을 방지하도록 된 수격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에 내부의 수로(17)와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수로(17)와 연통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에어챔버(21)에 설치되는 피스톤(25)과, 이 피스톤(25)을 상기 수로(17)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수격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수격방지장치가 설치된 상수도의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수격방지장치(3)는 상수도의 수도전 어셈블리(1)에 직접 설치되어서, 건물의 벽체를 허물지 않고도 기존의 상수도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수격의 근원지인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수격방지장치(3)는 그 내부에 수도전 어셈블리(1)의 수로(17)와 연통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에어챔버(21)에 설치되는 피스톤(25)과, 이 피스톤(25)을 상기 수로(17)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는 내부의 수로(17)를 개폐하는 메인밸브체(11)가 구비된 밸브하우징(10)과, 이 밸브하우징(10)과 벽체에 매입된 배관라인(30)을 연결하며 일측에는 도 2의 보조밸브체(18)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나사공(16)이 형성된 냉온수 유입관(15)으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실린더(20)는 수도전 어셈블리(1)의 나사공(16)으로부터 도 2의 보조밸브체(18)를 분리해내고 교체 설치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수도전 어셈블리(1)의 수로(17)와 연통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다. 또한, 이 실린더(20)의 둘레부에는 랜치 등의 공구를 용이하게 물릴 수 있도록 육각 머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의 나사공(16)과 실린더(20)의 결합부 사이에는 패킹(23)이 끼워져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수도전 어셈블리(1)로부터 분리해낸 도 2의 보조밸브체(18)는 밸브하우징(10)을 유지 보수할 때에만 내부의 수로(17)를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수격방지장치(3)를 설치하여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하우징(10)을 유지 보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수격방지장치(3)를 분리해내고 다시 보조밸브체(18)를 결합하면 보조밸브체(18)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5)은 실린더(20)의 에어챔버(21)에 설치되어 탄성수단(29)에 의해 수도전 어셈블리(1)의 수로(17) 쪽으로 탄지되는 것으로, 수도전 어셈블리(1) 내부의 수압과 탄성수단(29)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진되면서 수도전 어셈블리(1) 내부의 수압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피스톤(25)의 둘레부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킹링(26)이 끼워진다.
또한, 이상에서는 수도전 어셈블리(1)로부터 도 2의 보조밸브체(18)를 분리해낸 후 상기 수격방지장치(3)를 교체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수도전 어셈블리(1)에 수로(17)와 연통되는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에 수격방지장치(3)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수도전 어셈블리(1)를 급폐수함에 따라 수압이 급격히 증가되려 하더라도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에는 수격방지장치(3)가 설치되어서 이 수격방지장치(3)의 피스톤(25)이 증가되는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수압의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수격의 근원지인 수도전 어셈블리(1) 자체 내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격에 의한 소음과 배관라인(30)의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라인에 연결된 정수기나 연수기 등의 부대 설비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수격방지장치(3)는 기존의 상수도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건물의 벽체 외부로 노출된 수도전 어셈블리(1)에 설치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건물의 벽체를 허물 필요가 없어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수격방지장치(3)는 종래 도 2의 수격방지장치(5)와는 달리 수격의 근원지인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수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수도전 어셈블리(1)와 배관라인(30)의 연결부 및 이에 연결되는 정수기 및 연수기 등에도 수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수격방지장치(3)는 기존의 상수도에도 벽체 외부로 노출된 수도전 어셈블리(1)에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가 현저히 절감된다. 또한, 급폐수의 근원지인 수도전 어셈블리(1)에서 급격한 압력증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수도전 어셈블리(1)와 배관라인(30)의 연결부 및 이에 연결되는 연수기 및 정수기 등의 부대설비에도 수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수도라인에 연결 설치되며 수도전 어셈블리(1)의 폐쇄시 발생되는 수격을 방지하도록 된 수격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도전 어셈블리(1)에 내부의 수로(17)와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수로(17)와 연통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에어챔버(21)에 설치되는 피스톤(25)과, 이 피스톤(25)을 상기 수로(17)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KR20-2003-0029732U 2003-09-19 2003-09-19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KR200337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32U KR200337361Y1 (ko) 2003-09-19 2003-09-19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32U KR200337361Y1 (ko) 2003-09-19 2003-09-19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361Y1 true KR200337361Y1 (ko) 2004-01-03

Family

ID=4934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32U KR200337361Y1 (ko) 2003-09-19 2003-09-19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3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89B1 (ko) 2010-10-22 2013-01-25 대림통상 주식회사 워터해머 방지장치를 구비한 지수꼭지
KR102367901B1 (ko) * 2021-08-31 2022-02-25 (주)씨아이피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89B1 (ko) 2010-10-22 2013-01-25 대림통상 주식회사 워터해머 방지장치를 구비한 지수꼭지
KR102367901B1 (ko) * 2021-08-31 2022-02-25 (주)씨아이피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777B1 (en) Wall-type shower faucet influent load control fixture
US7337802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KR200337361Y1 (ko)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MX2007010263A (es) Valvula vacuorreguladora de doble seguridad de drenaje automatico.
US4564040A (en) Faucet and liquid supply tube therefor
CA2419028A1 (en) Toilet flange assembly
GB2448461A (en) Valve in particular radiator valve and use of a valve of this type
WO2013085159A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200456770Y1 (ko) 수격방지를 위한 체결부와 출수홀이 구비된 볼밸브형 수전금구
JP4415169B2 (ja) 弁座を有する水抜栓の弁構造
KR200257282Y1 (ko) 수격방지용 수도밸브
JP2000179713A (ja) バルブ装置
KR200356467Y1 (ko) 수격 방지 장치
KR970003923Y1 (ko) 탕수혼합수전의 물 충격 완화기
KR200319361Y1 (ko) 중간 밸브
KR200180746Y1 (ko) 수격 흡수기
KR200257283Y1 (ko) 수격방지용 수도밸브 조절대
KR20080024441A (ko) 수도용 지수전
KR200309152Y1 (ko) 앵글 신축 볼밸브
CN215522405U (zh) 一种集成排水管
KR200262876Y1 (ko) 감압밸브가 구비된 앵글밸브
KR200326124Y1 (ko) 수직배관의 첵크밸브의 디스크구조
KR200291865Y1 (ko) 수도미터 보호통용 역류방지밸브
JP2007247195A (ja) 水栓
KR200251363Y1 (ko) 감압 기능을 갖는 앵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