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901B1 -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901B1
KR102367901B1 KR1020210115790A KR20210115790A KR102367901B1 KR 102367901 B1 KR102367901 B1 KR 102367901B1 KR 1020210115790 A KR1020210115790 A KR 1020210115790A KR 20210115790 A KR20210115790 A KR 20210115790A KR 102367901 B1 KR102367901 B1 KR 10236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housing
shock
pressure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피
김민규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피, 김민규, 김정규 filed Critical (주)씨아이피
Priority to KR102021011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an obtura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7/045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an obtura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the member being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 및 내부가 중공상태이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하부하우징 일측면과 연결되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Valve apparatus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정량펌프 후단부에 설치되는 밸브장치로 밸브 내부에 충격흡수부와 압력조절부를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하나의 밸브장치로 맥동으로 인한 누액 및 파손 문제, 정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밸브는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관로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되며 밸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및 다이어프램을 이용해 유로의 개방 여부를 제어한다.
특히, 다이어프램형 밸브는 압력의 변동에 따라 챔버실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이 정밀하게 조절되며, 실링 부분의 압력을 분산시키고 다이어프램의 모양변화를 막아 다이어프램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때, 관로 내의 역압이 발생하여 유체가 역류하게 되면, 관로에 설치되는 유량계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관리 시스템 상에서 사용 유량을 체크하지 못하게 됨에 따른 유수율 및 누수율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관로 내에서의 역류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한편, 관로내에서 발생하는 맥동으로 인한 유체의 누액 및 관로의 파손 등에 대한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종래의 역류 내지는 역압방지용 밸브들은 저마다 역압을 방지하고 배출하기 위한 수단들을 내장하고는 있으나 그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밸브의 조립이나 제작이 매우 어려워 제작비용이 높을 뿐 아니라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발생하는 맥동을 상쇄시키고, 역류나 역압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밸브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나 제작이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밸브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1589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정량펌프에 충격흡수부와 압력조절부가 구비된 밸브장치를 설치하여 관로 내 발생되는 맥동을 상쇄 시킬 뿐만 아니라, 관로 내의 역압 발생을 방지하여 파손 문제 및 정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는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 및 내부가 중공상태이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하부하우징 일측면과 연결되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부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홀; 하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 하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하부공간을 형성하고, 상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 하측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3결합부재 및 하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판; 상기 충격흡수판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충격흡수판으로부터 받은 강한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층으로 전달받은 충격을 마지막으로 상쇄하여 밸브장치의 내부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복귀시키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단면이 물결무늬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굴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층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1흡수층; 상기 제1흡수층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된 제2흡수층 및 상기 제2흡수층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된 제3흡수층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에 위치할수록 강도가 증가하고, 탄성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층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충격흡수층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기 충격흡수층을 구분할 수 있도록 사이에 형성된 경계판; 상기 스프링 상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제1머리부 및 상기 제1머리부 상면에 상기 상부홀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에 제1나사홈과 외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제1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다이얼 및 상기 상부공간의 상면에 상기 제1다이얼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상부홀 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면이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제1나사홈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이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텐션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압력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조절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공간에 위치하되, 전면이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후면에 형성된 패킹부; 상기 패킹부 후면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한쌍의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 후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제2머리부 및 상기 제2머리부 후면에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후면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제2나사홈과 외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면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 후면에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일측 방향의 길이가 타측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비대칭부 및 상기 비대칭부 후면에 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잠금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의 압력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압력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조절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공간에 위치하되, 전면이 상기 이동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실린더;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압력조절오링; 상기 실린더 후면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한쌍의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 후면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후면을 관통하여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형성된 제2나사홈 및 외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는 스토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전단이 내측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헤드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의 전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실린더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는 충격흡수부와 압력조절부가 구비되어 하나의 장치로 관로 내 발생되는 맥동을 상쇄 시킬 뿐만 아니라, 관로 내의 역압 발생을 방지하여 파손 문제 및 정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하부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한 예시도.
도 6 의 (a), (b)는 도 1의 충격흡수부의 충격흡수판을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7의 (a), (b)는 도 1의 충격흡수부의 충격흡수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압력조절부의 압력조절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압력조절부의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한 예시도.
도 13의 (a), (b)는 도 10의 압력조절부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는 (a), (b)는 도 10의 압력조절부의 실린더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부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하부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6 의 (a), (b)는 도 1의 충격흡수부의 충격흡수판을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의 (a), (b)는 도 1의 충격흡수부의 충격흡수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압력조절부의 압력조절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압력조절부의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는 하우징부(10), 충격흡수부(20), 이동부(30) 및 압력조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밸브장치(1)는 일측에 압력계(P)가 구비되어, 밸브장치(1) 내부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압력 확인을 통해 밸브장치(1) 내부 구성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부(10)는 서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11)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부공간(11a)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홀(112), 제1결합부재(110) 및 제1결합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홀(112)은 상부하우징(11) 상면에 관통되게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재(110)는 하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홈(113)은 제1결합부재(110) 하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홈 형태일 수 있다.
하부하우징(12)은 상부하우징(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하우징(11)과 결합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하부공간(12a)을 형성하고, 제2결합부재(120), 제3결합부재(121) 및 유입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재(120)는 하부하우징(12)의 상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 형태로, 제1결합홈(113)에 삽입되어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재(120)는 제1결합홈(11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홈(113)의 형태와 크기에 맞춰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4와 같이, 제1결합홈(113)의 내측면이 연속지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2결합부재(120)의 외측면이 상기 제1결합홈(113)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결합부재(120)가 제1결합홈(113)에 삽입될 경우 외측면이 제1결합홈(113)의 내측면에 맞물려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부(10)는 제1결합홈(113)과 제2결합부재(120)의 결합을 통해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수단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3결합부재(121)는 하부하우징(12) 하측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홀(122)은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충격흡수부(20)는 상부공간(11a)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것으로, 유입홀(122)을 통해 유입된 유체로 인해 발생되는 맥동을 충격흡수부(20)에 전달함으로써 상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20)는 충격흡수판(21), 충격흡수층(22) 및 충격흡수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충격흡수판(21)은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굴곡부(210) 및 결합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판(21)은 테프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로 인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내화학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굴곡부(2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단면이 물결무늬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굴곡부(210)는 도 6의 (a)와 같이 단면이 물결무늬로 형성됨으로써 유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많은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상측에 위치하는 충격흡수층(22)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충격전달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결합돌기(211)는 굴곡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굴곡부(210)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110)와 제2결합부재(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돌기(211)는 하면이 제2결합부재(120)의 상면과 접촉하여 위치하고, 상면이 제1결합홈(113)의 상측 내면과 접촉하여 위치함으로써,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 사이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홈(113)과 제2결합부재(120)는 결합돌기(211)와 접촉하는 부분에 결합돌기(211)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해당 홈에 결합돌기(211)가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이 결합할 때 결합돌기(211)로 인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충격흡수판(21)은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 사이에 끼어 고정됨으로써, 유입홀(122)로 유입된 유체가 굴곡부(210) 전면에 접촉되어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결합돌기(211)로 인한 틈이 생기지 않아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충격흡수층(22)은 충격흡수판(21) 상측에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흡수판(21)으로부터 전달 받은 강한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층(2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충격흡수층(22)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제1흡수층(22a), 제2흡수층(22b) 및 제3흡수층(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수층(22a)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수층(22b)은 제1흡수층(22a)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흡수층(22a)보다 탄성이 약하며 강도가 높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흡수층(22c)은 제2흡수층(22b)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가 높은 강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흡수층(22c)은 탄성이 없는 강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충격흡수층(22)의 형태 유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즉, 충격흡수층(22)은 외측에 위치할수록 강도는 증가하고 탄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제3흡수층(22c)이 고정되어 형태를 유지하고, 제3흡수층(22c) 내측에 위치하는 제1흡수층(22a)과 제2흡수층(22b)이 충격흡수판(21)으로부터 전달 받은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충격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층(22)은 제1흡수층(22a) 및 제2흡수층(22b)이 서로 다른 강도와 탄성을 가짐에 따라 충격흡수판(21)으로부터 전달 받은 충격의 강도가 약할 경우 제1흡수층(22a)이 충격에 대응할 수 있고, 충격의 강도가 강할 경우 제1흡수층(22a)과 제2흡수층(22b)이 동시에 충격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흡수층(22)은 충격의 강도에 따라 각각의 흡수판이 다르게 대응함으로써, 다양한 강도의 충격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충격흡수층(22)은 도 7의 (b)와 같이 측면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층(22)은 에어백 또는 EPDM, 합성고무 등과 같은 연질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이 있고 강도가 있는 소재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충격흡수층(22)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충격흡수판(21)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에 대응하여 수축 및 복원성을 높일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23)는 충격흡수층(22)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되, 충격흡수층(22)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을 마지막으로 상쇄하여 밸브장치(1) 내부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스프링(231), 경계판(230), 제1다이얼(232) 및 텐션조절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프링(231)은 충격흡수층(22) 상측에 위치하여 충격흡수층(22)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을 흡수하여 스프링(231)의 장력으로 밸브장치(1) 내부를 설정된 초기 압력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경계판(230)은 스프링(231)과 충격흡수층(22) 사이에 형성된 원판으로, 충격흡수층(22)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이 스프링(231) 전체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다이얼(232)은 밸브장치(1)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1다이얼(232)로 설정된 초기 압력에 따라 스프링(231)으로 하여금 해당 압력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다이얼(232)은 제1머리부(2320) 및 제1몸체부(2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머리부(2320)는 스프링(231) 상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몸체부(2321)는 제1머리부 상면에 상부홀(112)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2321)는 상면에 제1나사홈(23210)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1나사산(23211)이 형성될 수 있다.
텐션조절부재(233)는 상부공간(11a)의 상면에 제1다이얼(232)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홀(112)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면이 제1나사산(23211)과 결합하여 제1나사홈(23210)이 회전함에 따라 제1나사산이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충격흡수부재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밸브장치(1)의 초기 압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제1나사홈(23210)을 통해 제1다이얼(232)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1다이얼(232)이 텐션조절부재(23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다이얼(232)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231)은 압축하게 되고,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231)은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231)은 제1다이얼(232)로 인해 상측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초기 압력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유입홀(122)로 유체가 유입되면 충격흡수판(21), 충격흡수층(22)으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스프링(231)에 전달되게 되고, 스프링은 상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1)는 충격흡수부(20)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충격을 상쇄시킴으로써, 밸브장치(1) 내부에 역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악영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3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3결합부재(121)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유입홀(122)로 유입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관(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관(31)은 이동부(30)의 형태와 동일하게 'ㄱ'자 형태로 꺾인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관(31)은 유체가 하부하우징(12)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부(31a) 및 상기 유입부(31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배출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는 일단이 제3결합부재(12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일단의 외주면이 제3결합부재(121)의 내주면에 형성된 굴곡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40)는 이동부(30)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이동관(31)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을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압력조절부(40)와 이동관(31) 내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외측 굴곡된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관(31)도 굴곡된 부분이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부분이 압력조절부(4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조절부(40)는 압력조절하우징(41), 다이어프램(42), 패킹부(43), 스프링부(44) 및 제2다이얼(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력조절하우징(41)은 도 8과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이 이동부(30)와 연결되어 내부공간인 압력조절공간(410)에 압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42)은 압력조절공간(4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이동관(31)과 접촉되게 위치하여, 내부 압력에 따라 이동관(31)을 개폐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잠금부(420), 비대칭부(421) 및 지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어프램(42)은 비대칭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부(31a)와 배출부(31b)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유입부(31a)로 유입되는 유체를 효율적으로 배출부(31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잠금부(420)는 이동관(31) 내부와 접촉하여 이동관(31)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끝단이 편평한 화살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부(420)는 볼형태로 형성된 플랜지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관(31)을 개폐할 수 있는 부재는 모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비대칭부(421)는 잠금부(420) 후면에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일측 방향의 길이가 타측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23)는 비대칭부(421) 후면에 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잠금부(420)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42)은 비대칭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다이어프램(42)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이동관(31)을 개폐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동관(31)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고 완전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패킹부(43)는 다이어프램(42) 후면에 형성되어 다이어프램(42)에 가해지는 압력이 후단으로 완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부(44)는 패킹부(43) 후면에 형성되어, 패킹부(43)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이후 스프링 거동을 통해 팽창되어 다이어프램(42)이 이동관(31)을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44)는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텐션이 강한 스프링이 위치하고, 외측에 내측보다 텐션이 약한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이에, 스프링부(44)는 압력이 가해진 후에도 신속하게 팽창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다이얼(45)은 스프링부(44) 후면에 위치하여 압력조절하우징(41) 내부의 초기 압력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제2머리부(450) 및 제2몸체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머리부(450)는 스프링부(44) 후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스프링부(44) 후단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몸체부(451)는 제2머리부(450) 후면에 압력조절하우징(41) 후면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제2나사홈(4511)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2나사산(4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하우징(41)은 제2몸체부(451)가 관통하는 부분, 즉 후단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나사산(4510)과 나사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부(40)는 압력조절하우징(41)의 초기 압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제2나사홈(4511)을 통해 제2다이얼(45)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2다이얼(45)이 압력조절하우징(41) 후단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다이얼(45)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부(44)는 압축하게 되고,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부(44)는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44)는 제2다이얼(45)로 인해 후측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초기 압력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유입부(31a)로 유체가 유입되면 다이어프램(42)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이동관(31)이 개방되되, 스프링부(44)는 후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측방향으로 수축하게 되고, 유체가 배출된 후 다시 팽창하여 다이어프램(42)이 전측으로 이동하여 이동관(31)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1)는 유체를 배출함에 있어서 압력조절부(40)를 통해 유체 누출 문제를 방지하여 정량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13의 (a), (b)는 도 10의 압력조절부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4는 (a), (b)는 도 10의 압력조절부의 실린더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에서 압력조절부(40)는 압력조절하우징(41), 실린더(47), 압력조절오링(48), 스프링부(44) 및 제2다이얼(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47) 및 압력조절오링(48)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47) 및 압력조절오링(48)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동부(30)는 유입부(31a) 방향으로 타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에 압력조절하우징(4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관(31)은 'ㅜ'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 내지 14를 참조하면, 실린더(47)는 전단이 유입부(31a) 타측 끝단에 삽입되어 이동관(31) 내부에 위치하고, 후단이 압력조절하우징(41)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31)을 개폐하는 것으로, 몸체부(470), 스토퍼(471), 실린더헤드(472) 및 실린더오링(47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70)는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면을 따라 걸림턱(470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71)는 몸체부(470)의 후면에 형성되되, 몸체부(4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단이 스프링부(44)와 연결되어, 몸체부(4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스프링부(44)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스프링부(44)는 스토퍼(471)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이후 스프링 거동을 통해 팽창되어 실린더(47)가 이동관(31)을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헤드(472)는 몸체부(470) 전면에 형성되되 전단이 내측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부(31a)로 유입된 유체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때, 실린더헤드(472)는 몸체부(470) 보다 직경이 다소 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헤드(472)는 전단이 내측으로 굴곡됨에 따라 유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유체가 유입될 때 유체가 실린더헤드(472) 전면과 접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이동관(31)을 개폐하는 효과가 있다.
실린더오링(473)은 몸체부(470)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걸림턱(4700) 전측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오링(473)은 도 13과 같이 도넛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4700) 전측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연속된 사선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4700) 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오링(473)은 이동관(31)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유입부(31a)로 유입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린더오링(473)은 실린더헤드(47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오링(473)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47)는 유입부(31a)로 유체가 유입되기 전에 도 11과 같이 유입부(31a) 타측에 삽입되어 이동관(31)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고, 유입부(31a)로 유체가 유입되면 도 12와 같이 실린더(47)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이동관(31)이 개방되되, 스프링부(44)는 후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측방향으로 수축하게 된다. 이후, 유체가 배출된 후에는 스프링부(44)가 다시 팽창하여 실린더(47)가 전측으로 이동하여 이동관(31)을 폐쇄하도록 한다.
압력조절오링(48)은 이동부(30)와 압력조절하우징(41)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실린더(47)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은 몸체부(470)는 통과하고 스토퍼(471)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몸체부(470)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압력조절오링(48)은 유입부(31a)로 유입된 유체가 압력조절부(40)로 누출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밸브장치
10: 하우징부
11: 상부하우징
11a: 상부공간
110: 제1결합부재
112: 상부홀
113: 제1결합홈
12: 하부하우징
12a: 하부공간
120: 제2결합부재
1200: 제2굴곡
121: 제3결합부재
122: 유입홀
20: 충격흡수부
21: 충격흡수판
210: 굴곡부
211: 결합돌기
22: 충격흡수층
22a: 제1흡수층
22b: 제2흡수층
22c: 제3흡수층
23: 충격흡수부재
230: 경계판
231: 스프링
232: 제1다이얼
2320: 제1머리부
2321: 제1몸체부
23210: 제1나사홈
23211: 제1나사산
233: 텐션조절부재
30: 이동부
31: 이동관
31a: 유입부
31b: 배출부
40: 압력조절부
41: 압력조절하우징
410: 압력조절공간
42: 다이어프램
420: 잠금부
421: 배출부
423: 지지부
43: 패킹부
44: 스프링부
45: 제2다이얼
450: 제2머리부
451: 제2몸체부
4510: 제2나사산
4511: 제2나사홈
47: 실린더
470: 몸체부
4700: 걸림턱
471: 스토퍼
472: 실린더헤드
473: 실린더오링
48: 압력조절오링
P: 압력계

Claims (12)

  1.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 및 내부가 중공상태이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하부하우징 일측면과 연결되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부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홀;
    하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 하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하부공간을 형성하고,
    상측 양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
    하측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3결합부재 및
    하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판;
    상기 충격흡수판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충격흡수판으로부터 받은 강한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층으로 전달받은 충격을 마지막으로 상쇄하여 밸브장치의 내부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복귀시키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단면이 물결무늬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굴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1흡수층;
    상기 제1흡수층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된 제2흡수층 및
    상기 제2흡수층을 감싸며 원통 형태로 형성된 제3흡수층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에 위치할수록 강도가 증가하고, 탄성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충격흡수층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기 충격흡수층을 구분할 수 있도록 사이에 형성된 경계판;
    상기 스프링 상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제1머리부 및 상기 제1머리부 상면에 상기 상부홀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에 제1나사홈과 외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제1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다이얼 및
    상기 상부공간의 상면에 상기 제1다이얼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상부홀 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면이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제1나사홈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이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텐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9.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 및 내부가 중공상태이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하부하우징 일측면과 연결되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압력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조절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공간에 위치하되, 전면이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후면에 형성된 패킹부;
    상기 패킹부 후면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한쌍의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 후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제2머리부 및 상기 제2머리부 후면에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후면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제2나사홈과 외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면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 후면에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일측 방향의 길이가 타측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비대칭부 및
    상기 비대칭부 후면에 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잠금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11.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 및 내부가 중공상태이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하부하우징 일측면과 연결되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관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접촉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압력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조절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공간에 위치하되, 전면이 상기 이동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이동관을 개폐하는 실린더;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압력조절오링;
    상기 실린더 후면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한쌍의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 후면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조절하우징 후면을 관통하여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형성된 제2나사홈 및 외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는 스토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전단이 내측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헤드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의 전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실린더오링을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KR1020210115790A 2021-08-31 2021-08-31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KR10236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90A KR102367901B1 (ko) 2021-08-31 2021-08-31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90A KR102367901B1 (ko) 2021-08-31 2021-08-31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901B1 true KR102367901B1 (ko) 2022-02-25

Family

ID=8049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90A KR102367901B1 (ko) 2021-08-31 2021-08-31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858U (ko) * 1994-04-18 1995-11-22 최득희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의 충격흡수장치
KR200337361Y1 (ko) * 2003-09-19 2004-01-03 임관섭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858U (ko) * 1994-04-18 1995-11-22 최득희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의 충격흡수장치
KR200337361Y1 (ko) * 2003-09-19 2004-01-03 임관섭 수도용 수격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552B2 (en) Valve
US20090145497A1 (en) Check valve
JP5189403B2 (ja) 逆流防止装置
CN101776166B (zh) 关于控制通过同心通路的流的方法、装置和/或系统
JP2003161375A (ja) バルブ
KR100809184B1 (ko) 다이아프램 제어 밸브
KR101987149B1 (ko) 차량용 밸브장치
JP2002505401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系
KR102367901B1 (ko) 충격흡수기능을 포함하는 밸브장치
US9360133B2 (en) Cushioned check valve
US7334603B2 (en) Check valve
US5573033A (en) Non-drip valve
US11674609B2 (en)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with telescoping bias assembly and reversible valve member
EP1462051B1 (de) Brause, insbesondere Geschirrwaschbrause
JP7384357B2 (ja) 減圧弁およびその並列配管構造
US10525183B2 (en) Check valve assembly, medical functional device and a blood treatment apparatus
US20200049277A1 (en) Cushioned Relief Valve
JP6191825B2 (ja) 定圧自動開閉弁
JPH02225802A (ja) アキュムレータ
JP3976142B2 (ja) 逆止弁
KR101978226B1 (ko) 시퀀스 밸브의 유체충격 완화장치
KR200144071Y1 (ko) 수격 방지기
KR101718332B1 (ko) 가스파이프 라인용 안티 서지 밸브
KR101234687B1 (ko) 자동 압력평형 조절 기구
US20180347715A1 (en) Pressure-balanc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