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999Y1 -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999Y1
KR200336999Y1 KR2019980027642U KR19980027642U KR200336999Y1 KR 200336999 Y1 KR200336999 Y1 KR 200336999Y1 KR 2019980027642 U KR2019980027642 U KR 2019980027642U KR 19980027642 U KR19980027642 U KR 19980027642U KR 200336999 Y1 KR200336999 Y1 KR 200336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air conditioner
type air
window type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339U (ko
Inventor
창 기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9980027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99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의 토출구 하부로 삽입되어 덕트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콘트롤박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의 상하단부에 처짐방지턱을 설치한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의 조작을 위한 부품을 보호하고 토출구측 하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10)에 있어서, 콘트롤박스(10)의 전면으로 절곡되어 지는 상,하부패널(11,12)에 각각 내부로 절곡되어지는 처짐방지턱(13)을 형성하고 이 처짐방지턱(13)에 측면패널(14)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의 패널에 처짐방지턱을 구성하므로서 간단하게 덕트의 하중으로 인한 콘트롤박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용접작업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A control box of window type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의 조작을 위한 콘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컨의 토출구 하부로 삽입되어 덕트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콘트롤박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의 상하단부에 처짐방지턱을 설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그 용량에 따라 구분되어진다.
상기의 에어컨 중 일반적으로 창문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이 압축기(20)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30)와, 이 응축기(30)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 없음)와, 이 팽창밸브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시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증발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기(20)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증발기(40)로 냉매사이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의 구성은 베이스판(50) 위에 조립되는 실내,외측 차단벽체(51,52)와, 이 실내,외측 차단벽체(51,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판(50)에 조립된 모터 브라켓에 고정되는 구동모터(60)와, 이 구동모터(60)의 구동축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실내,외측 차단벽체(51,52)에 설치되는 송풍팬(62) 및 냉각팬(61)과, 실내측 차단벽체(51)에 조립되어 냉매사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도시 없음)와, 실내측 차단벽체(52)의 전방에 위치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70)와 흡입된 공기를 증발기(40)에서 열교환하여 송풍팬(62)에 의해 덕트(81)로 유도된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부(80) 및 각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판(50)에 조립되어지는 상부 케이스(도시 없음)로 구성되어 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에어컨 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는 실내차단벽체(51)와 실외차단벽체(52)에 의해 실내공간부와 실외공간부로 구획되고, 실내차단벽체(51)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부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0)가 설치되며, 이 후방의 실외공간부로는 상기 압축기(2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30)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3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외주연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도시 없음)이 형성되어지며, 실외공간부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90)가 형성되고, 응축기(3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도시 없음)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0)는 토출구(80)의 하부로 장착되어지고, 장착된 콘트롤박스(10)의 상부로는 덕트와 같은 구성품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콘트롤박스는 도 4의 (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으로 각각 절곡부(15)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면과 전면으로는 열려지고 후면과 타측면은 닫혀진 상태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내부로는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0)의 측면패널(14)과 상,하부패널(11,12)이 용접되어 고정되어진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트롤박스의 구조에 있어서는 콘트롤박스(10)의 상단으로 덕트등의 구성품이 올려져 콘트롤박스(10)에 하중을 가하고 있으나, 측면패널(14)과 상,하부패널(11,12)을 용접한 구조에 있어서는 용접부의 탈락이 쉽게 일어나고, 이것에 의해 콘트롤박스(10)의 변형으로 분해시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콘트롤박스(10)의 내부 부품에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에서 콘트롤박스의 지지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트롤박스의 상하부 패널에 처짐방지턱을 형성하고 이 처짐방지턱에 측면패널을 지지하도록 하여 콘트롤박스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컨의 조작을 위한 부품을 보호하고 토출구측 하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에 있어서, 콘트롤박스의 전면으로 절곡되어 지는 상,하부패널에 각각 내부로 절곡되어지는 처짐방지턱을 형성하고, 이 처짐방지턱에 측면패널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에 장착되는 콘트롤 박스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의 평 단면도
도 3은 창문형 에어컨에 장착되는 콘트롤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창문형 에어컨에 장착되는 콘트롤 박스로서,
(a)는 분해 사시도
(b)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콘트롤박스 11 : 상부패널
12 : 하부패널 13 : 처짐방지턱
14 : 측면패널 15 : 절곡부
이하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에 설치되는 처짐방지용 콘트롤박스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의 구성도로서, (a)는 사시도이다. 콘트롤박스(10)는 에어컨의 토출구측 하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단으로는 덕트가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면으로는, 상하부의 패널(11,12)이 각각 절곡되고 이 절곡부(15)에 측면패널(14)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으로는 일측면은 열려지고 타측면은 닫혀진 상태이다. 또한 후면 역시 닫혀진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트롤박스(10)에서 처짐방지턱()은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패널(11,12)에는 각각 내부로 절곡되어진 처짐방지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처짐방지턱(13)에는 측면패널(14)이 장착되어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컨의 조작을 위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콘트롤박스(10)의 전면으로 상,하부패널(11,12)에는 각각 처짐방지턱(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처짐방지턱(13)에는 측면패널(14)이 장착되어 진다.
따라서 에어컨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콘트롤박스(10)에 덕트가 위치되어도 처짐방지턱(13)으로 인하여 덕트의 하중으로 인한 콘트롤박스(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의 패널에 처짐방지턱을 구성하므로서 간단하게 덕트의 하중으로 인한 콘트롤박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용접작업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에어컨의 조작을 위한 부품을 보호하고 토출구측 하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10)에 있어서, 콘트롤박스(10)의 전면으로 절곡되어 지는 상,하부패널(11,12)에 각각 내부로 절곡되어지는 처짐방지턱(13)을 형성하고 이 처짐방지턱(13)에 측면패널(14)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KR2019980027642U 1998-12-30 1998-12-30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KR200336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42U KR200336999Y1 (ko) 1998-12-30 1998-12-30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42U KR200336999Y1 (ko) 1998-12-30 1998-12-30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39U KR20000014339U (ko) 2000-07-25
KR200336999Y1 true KR200336999Y1 (ko) 2004-02-14

Family

ID=4934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642U KR200336999Y1 (ko) 1998-12-30 1998-12-30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39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6999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JP6808098B1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00084402A (ko) 공기조화기
KR20040078938A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포밍구조
KR100829133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냉기누설 방지구조
KR20020015916A (ko) 에어 컨디셔너
JP7224523B2 (ja) 室内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29251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82303B1 (ko) 에어컨 실외기
KR10045405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20000021351U (ko) 창문형 에어컨에서의 이물질 차단장치
KR20000014285U (ko)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010002266U (ko) 창문형 에어컨의 이동장치_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20000014289U (ko) 창문형 에어컨의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20000014319U (ko) 창문형 에어컨의 로고 장착구
KR20000014320U (ko) 창문형 에어컨의 플랩 조립체
KR200190467Y1 (ko) 공기조화기용실외기
WO2020183607A1 (ja) 室内機
KR20000009893U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부 로스 방지판
WO2020170363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10037825A (ko) 소음저감 창문형 에어컨
KR20040054298A (ko) 환기겸용 공기조화기
KR012431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232360Y1 (ko) 패키지에어콘용증발기의응축수맺힘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