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796Y1 -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796Y1
KR200336796Y1 KR20-2003-0028979U KR20030028979U KR200336796Y1 KR 200336796 Y1 KR200336796 Y1 KR 200336796Y1 KR 20030028979 U KR20030028979 U KR 20030028979U KR 200336796 Y1 KR200336796 Y1 KR 200336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bridge
elastic bar
isola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구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엘
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엘, 박영선 filed Critical (주)디에스엘
Priority to KR20-2003-0028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탄성바아(424)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는 조임유닛(425)간의 결합관계를 매개로, 탄성바아(424)가 압축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거나, 조임유닛(425)이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서히 이동되면서 구조물(500)의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면진기구(420)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420)를 교량받침(200)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판(202)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나, 상판(202)의 미끄럼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불필요하게 되어, 교량받침(200)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Damper and bridge bearing that equip it}
본 고안은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량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110)나 교각(120)등의 지지체(100 ; 도 3 참조)에 교량받침(210,221,222,223,224)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교량받침(210,221,222,223,224)에 교량(300)을 얹어올려서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상기 교량(300)은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나,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신축되는데,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의 길이변화는 미흡하지만, 교축방향으로의 길이변화는 상당히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교량(300)의 중심부분은 고정형 교량받침(210)으로 지지하고, 교량(300)의 양측 부분은 가동형 교량받침(221,222,223,224)으로 지지하여, 교량(300)이 고정형 교량받침(210)에 의해 지지체(100 ; 도 1의 경우 "120")에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교량(300)의 양측 부분이 가동형 교량받침(221,222,223,224)에 얹혀져서 교축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길이변화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지진으로 인해서 교량(300)에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가해지게 되면, 교량(300)이 지지체(100 ; 110,12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전복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일예로, 교축방향으로의 500ton의 횡력이 교량(300)에 가해지게 되면, 교량(300)의 중심부분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형 교량받침(210)에 500ton의 횡력이 모두 가해지게 되므로, 이로인한 충격으로 인해서 고정형 교량받침(210)이 파손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정형 교량받침(210)이 교량(300)에 가해지는 교축방향으로의 횡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지만, 이렇게 하면 고정형 교량받침(210)이 대형화될 수 밖에 없고, 고정형 교량받침(210)이 대형화되면 이를 지지하는 교대(110)나 교각(120)도 필요이상으로 대형화 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시공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교량받침(221,222,223,224)이 설치되는 지지체(100 ; 110,120)에 별도의 면진수단(400)를 설치하여, 교량(300)에 가해진 교축방향으로의 횡력이 고정형 교량받침(210)과 면진수단(400)으로 분산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ton의 횡력이 교축방향으로교량(300)에 가해지게 되면, 1개의 고정형 교량받침(210)과, 4개의 면진수단(400)으로 횡력이 분산되어, 이들 고정형 교량받침(210)과 면진수단(400)에는 분산된 100ton의 횡력만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면진수단(400)으로는, 교량(300)에 가해진 외력을 지지하면서, 이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을 적용할 수 있지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진 댐퍼식 면진기구(410)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댐퍼식 면진기구(410)는, 실린더(411)에 피스톤(412)이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실린더(411)를 관통하며 삽입되어진 피스톤로드(413)가 피스톤(412)에 고정되되, 외부로 노출된 힌지연결부(413a)의 반대쪽 선단이 피스톤로드(413)의 축방향을 따라서 피스톤(41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가이드바아(413b)를 이루고, 가이드바아 수용부(411b)의 가이드홈(411b')에 가이드바아(413b)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구조를 이룬다.
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실린더(411)의 힌지연결부(411a)가 지지체(100 ; 110,120)에 힌지고정되고, 피스톤로드(413)의 힌지연결부(413a)가 교량(300)에 힌지고정된 상태에서,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변화 등으로 인해 피스톤로드(413)가 서서히 당겨지거나 눌려지게 되면, 피스톤(412)에 충진되어진 압력매질(유체, 혹은 기체)이 피스톤(412)의 구멍(412a)을 통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유동되어, 별다른 큰 저항없이 피스톤(412)이 자연스럽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면서 길이변화를 수용한다.
반면, 진동발생 등으로 인해서 교축방향으로의 수평력이 교량(300)에 가해지게 되면, 이에 고정된 피스톤로드(413)가 급격하게 당겨지거나 눌려지게 되지만, 실린더(411)에 충진된 압력매질이 이에 상응하게 빠르게 압축되면서, 진동으로 인한 교축방향으로의 수평력이 안전하게 완충·지지되므로, 피스톤로드(413)의 급격한 신축변화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식 면진기구(410)는, 작동이 우수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압력매질의 누출방지를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들이 매우 정밀하게 가공·조립되어야 하므로, 제조가 매우 어렵고 제품비용이 상당히 비싸다는 단점으로 인해서 보다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시공의 편이성을 위해서 면진수단(400)을 갖춘 교량받침(200)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지만(도시안됨), 이 역시 댐퍼식 면진기구(410)를 면진수단(400)으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교량받침(200)의 제품비용이 상당히 비싸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을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받침을 매개로 교량이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교량받침과 면진수단를 매개로 교량이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면진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면진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면진기구를 갖춘 교량받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a에 도시된 면진기구를 갖춘 교량받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면진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면진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면진기구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면진기구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110,120 ; 지지체, 200,210,221,222,223,224 ; 교량받침,
201 ; 하판, 202 ; 상판,
202a ; 앵커, 202b ; 스토퍼,
202c ; 고정돌출부, 203',203" ; 탄성패드,
203a ; 탄성판, 203b ; 금속판,
203c ; 위치고정부재, 203d ; 미끄럼판,
203e ; 실린더블럭, 203f ; 탄성재,
203g ; 피스톤, 203h ; 미끄럼판,
203i ; 피복재, 300 ; 교량,
400 ; 면진수단, 420 ; 면진기구,
421,422 ; 지지부, 421a ; 힌지연결부,
423 ; 가이드바아, 424 ; 탄성바아,
425 ; 조임유닛, 425a ; 조임부,
425aa,425ab ; 조임부재, 425ac,425ad ; 클램프,
425b ;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 425b' ; 가이드홈,
425b" ; 플랜지, 425c ; 힌지연결부,
425d ; 연결바아, 426 ; 보조가이드바아,
500 ; 구조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 양쪽 선단이 제1·2지지부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바아 ; 끼워진 가이드바아를 감싸며 제1·2지지부사이에 배치되는 중공바아형태의 탄성바아 ; 탄성바아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탄성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420)는,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421,422)와 ; 양쪽 선단이 제1·2지지부(421,422)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바아(423) ; 끼워진 가이드바아(423)를 감싸며 제1·2지지부(421,422)사이에 배치되는 중공바아형태의 탄성바아(424) ;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유닛(425)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조물(500)이 지지체(1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421)와 제2지지부(422)가 지지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임유닛(425)이 구조물(500)에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구조물(500)에 외력이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면, 가해진 외력에 의해서 조임유닛(425)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본 실시예의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진발생시와 같이 구조물(500)이 급격하게 이동되면, 탄성바아(424)와, 이를 감싸조이고 있는 조임유닛(425)간의 간섭으로 인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아(424)가 압축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반면, 온도변화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구조물(500)에 외력이 서서히 가해지는 경우에는, 조임유닛(425)이 이에 상응하게 탄성바아(424)를 서서히 가압하므로, 조임유닛(425)에 인접한 탄성바아(424) 부분이 서서히 압축되면서 조임유닛(425)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유닛(425)이 탄성바아(424) 또는 가이드바아(423)를 따라서 서서히 미끌어져 이동하게 되어("P1"에서 "P2" 위치로, 혹은 "P1"에서 "P3" 위치로), 구조물(500)의 위치변화를 수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420)는, 탄성바아(424)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는 조임유닛(425)간의 결합관계를 매개로, 탄성바아(424)가 압축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거나, 조임유닛(425)이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서히 이동되면서 구조물(500)의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실린더(411)에 충진되어진 유동체인 압력매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각 구성요소들을 정밀하게 가공하고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면진기구(420)를 갖춘 교량받침(2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지지체(100 ; 110,120)에 고정되는 하판(201)과, 하판(201)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교량(300)에 고정되는 상판(202), 하판(201)과 상판(202)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202)으로부터의 하중을 하판(201)으로 전달하는 패드(203) 및, 상판(202)으로부터의 수평력을 지지하면서 이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면진수단(400)으로 교량받침(200)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면진수단(400)으로는, 하판(201) 또는 상판(202)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421,422)와 ; 양쪽 선단이 제1·2지지부(421,422)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바아(423) ; 끼워진 가이드바아(423)를 감싸며 제1·2지지부(421,422)사이에 배치되는 중공바아형태의 탄성바아(424) ;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지지부(421,422)와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상판(202) 또는 하판(201)에 구비되어,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유닛(425)으로 이루어진 면진기구(420)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면진기구(420)가 교량받침(200)에 자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물로 제작되어진 면진기구(41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필요없고,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의 면진기구(420)를 이용하므로 교량받침(200)의 제품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또한 하판(201)과 상판(202)이 면진기구(420)를 매개로 상호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판(202)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나, 상판(202)의 미끄럼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불필요하게 되어, 교량받침(200)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는, 교량(300)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디스크형 패드(203')를 갖춘 교량받침(200)에 면진기구(420)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디스크형 패드(203')는, 하판(201)에 얹혀져 고정되는 탄성판(203a)과, 탄성판(203a)에 얹혀져 지지되는 금속판(203b), 금속판(203b)의 저면에 고정되어서 탄성판(203a)을 관통하며 하판(201)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부재(203c) 및, 금속판(203b)의 윗면에 얹혀져 고정되는 미끄럼판(203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판(203a)은 통상 폴리우레탄과 같은 우레탄계 합성고무로 제조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미끄럼판(203d)은 통상 테플론 재질로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01a"는 교대(110)나 교각(120) 등의 지지체(100)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이고, 미설명부호 "202a"는 교량(300)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 미설명부호 "202b"는 상판(202)이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 스토퍼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받침(2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중포트형 탄성패드(203")를 갖춘 교량받침(200)에 면진기구(420)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다중포트형 탄성패드(203")는, 한 쌍의 실린더홈이 형성되어 하판(201)에 얹혀져 고정되는 실린더블럭(203e)과 ; 실린더블럭(203e)의 실린더홈에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03g) ; 실린더블럭(203e)의 실린더홈과 피스톤(203g) 사이에 충진되는 탄성재(203f) ; 실린더블럭(203e)의 윗면에 얹혀져 고정되는 미끄럼판(203h) 및; 실린더블럭(203e)의 외면을 감싸는 피복재(203i)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조임유닛(425)이 비교적 크게 탄성바아(424)의 외면을 감싸되, 탄성바아(424)와 조임유닛(425)간의 접촉면이 탄성바아(424)를 감싸고 있는 조임유닛(425)의 일부분을 차지할 경우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아(424)와 접하지 않는 조임유닛(425)의 내경을 양쪽 출구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조임유닛(425)에 끼워진 탄성바아(424)와 가이드바아(423)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 5a에 도시된 면진기구(420)나, 도 6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교량받침(200)의 면진기구(420)는, 임의의 구조물(500)로부터 조임유닛(425)이 돌출되어진 상태를 이루므로, 모멘트가 발생되어 조임유닛(425)과 구조물(500 ; 201)간의 연결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야기되지만, 도 8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적용하면 이러한 문제는 손쉽게 해소된다.
도 8a에 의하면, 상기 제2지지부(422)의 외측으로 보조가이드바아(426)가 돌출구비되는 한편, 상기 조임유닛(425)은,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부(425a)와 ; 보조가이드바아(426)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에 따른 면진기구(420)의 사용예와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421)의 힌지연결부(421a)가 지지체(100)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조임유닛(425)의 힌지연결부(425c)가 교량(300)에 힌지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교량(300)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상응하게 조임유닛(425)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온도변화등의 이유로 인해서 교량(300)이 서서히 이동하는 경우에는, 조임유닛(425)의 조임부(425a)에 인접한 탄성바아(424)부분이 순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자연스럽게 조임부(425a)로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유닛(425)이 "P1"의 위치에서 "P2"의 위치로, 혹은 "P1"의 위치에서 "P3"의 위치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반면, 지진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교량(300)이 급격하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탄성바아(424)와 조임부(425a)간의 간섭으로 인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아(424)가 압축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의 전달경로가 동일선상으로 이루어지고, 조임부(425a)의 둘레면을 통해서 고르게 외력이 전달되므로, 조임부(425)의 모멘트에 의한 파손이 가능한 한 억제된다.
도 8a에 도시된 면진기구(420)의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을 손쉽게 제조하거나 조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도 10a 내지 도 10c는 이중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의하면, 상기 조임유닛(425)의 조임부(425a)는,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 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반원형 고리형태의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와 ;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어,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상호 소정 간격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어진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가 상호 근접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클램프(425ac,425ad)로 이루어져서, 조임부(425a)를 이루는 한 쌍의 클램프(425ac,425ad)와,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의 플랜지(425b")가 연결바아(425d)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면진기구(420)의 조립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가이드바아(423)의 한쪽 선단에 제1지지부(421)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탄성바아(424)가 가이드바아(423)에 끼워져서 제1지지부(421)에 탄성바아(424)의 한쪽 선단이 밀착된다. 이후, 제2지지부(422)를 가이드바아(423)에 고정하여 탄성바아(424)의 다른 한쪽 선단이 제2지지부(422)에밀착되도록 하며, 제2지지부(42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진 가이드바아(423)의 다른 한쪽 선단부는 보조가이드바아(426)에 해당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를 탄성바아(424)의 외면에 밀착시켜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를 중심으로 한 쌍의 클램프(425ac,425ad)를 마주보게 배치시킨 후, 연결바아(425d)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한 쌍의 클램프(425ac,425ad)가 서로 근접되거나 맞대어지도록 조이면, 클램프(425ac,425ad)의 경사면과 조임부재(425aa,425ab)의 경사면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조임부재(425aa,425ab)가 서로 근접되거나 맞대어지게 되므로,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가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소정압력으로 압축하면서 조이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바아(425d)의 자유단을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의 플랜지(425")에 고정하면 면진기구(420)의 조립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각 구성요소들간의 조립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탄성바아(424)가 가이드바아(423)에 끼워져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면진기구(42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도 8a 혹은 도 10a에 도시된 면진기구(420)의 경우, 제1지지부(421)와 조임유닛(425)에 힌지연결부(421a, 425c)가 구비되어 각각 지지체(100)와구조물(500)에 힌지고정되지만, 구조물(500)이 단순하게 직선 왕복이동되는 경우에는 제1지지부(421)와 조임유닛(425)을 지지체(100)와 구조물(500)에 회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바아(423)와 접촉되는 조임유닛(425)의 접촉면은, 조임유닛(425)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조임유닛(425)의 양쪽 내경 출구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축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시 탄성바아(423)외 외주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임유닛(425)의 접촉면을 매끄럽게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탄성바아(424)는, 적절한 강성과 탄발력을 갖춘 합성수지나 합성고무로 제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우레탄계 합성고무의 것을 사용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예로,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420)는 교량받침(200)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건축물이나 선박 등의 면진기, 혹은 엔진이나 동력전달체 등을 갖춘 기계장비의 면진기 등으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바아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는 조임유닛간의 결합관계를 매개로, 탄성바아가 압축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거나, 조임유닛이 탄성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서히 이동되면서 구조물의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면진기구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면진기구를 교량받침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판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나, 상판의 미끄럼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불필요하게 되어, 교량받침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421,422)와 ;
    양쪽 선단이 제1·2지지부(421,422)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바아(423) ;
    끼워진 가이드바아(423)를 감싸며 제1·2지지부(421,422)사이에 배치되는 중공바아형태의 탄성바아(424) ;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유닛(4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쪽 지지부(422)의 외측으로 보조가이드바아(426)가 돌출구비되는 한편, 상기 조임유닛(425)은,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부(425a)와 ; 보조가이드바아(426)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유닛(425)의 조임부(425a)와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가 별물로 제작되어, 연결바아(425d)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유닛(425)의 조임부(425a)는,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 조이면서,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반원형 고리형태의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와 ;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어,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상호 소정 간격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어진 한 쌍의 조임부재(425aa,425ab)가 상호 근접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클램프(425ac,425d)로 이루어져서, 조임부(425a)를 이루는 한 쌍의 클램프(425ac,425ad)와, 보조가이드바아 수용부(425b)의 플랜지(425b")가 연결바아(425d)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
  5. 지지체(100 ; 110,120)에 고정되는 하판(201)과, 하판(201)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교량(300)에 고정되는 상판(202), 하판(201)과 상판(202)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202)으로부터의 하중을 하판(201)으로 전달하는 패드(203) 및, 상판(202)으로부터의 수평력을 지지하면서 이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면진수단(400)를 갖춘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면진수단(400)은, 하판(201) 또는 상판(202)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421,422)와 ; 양쪽 선단이 제1·2지지부(421,422)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바아(423) ; 끼워진 가이드바아(423)를 감싸며 제1·2지지부(421,422)사이에 배치되는 중공바아형태의 탄성바아(424) ; 탄성바아(424)의 외주면을 감싸조이면서, 지지부(421,422)와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상판(202) 또는 하판(201)에 구비되어, 탄성바아(4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지지부(421,422)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임유닛(425)으로 이루어진 면진기구(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기구를 갖춘 교량받침.
KR20-2003-0028979U 2003-09-09 2003-09-09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KR200336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79U KR200336796Y1 (ko) 2003-09-09 2003-09-09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79U KR200336796Y1 (ko) 2003-09-09 2003-09-09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970A Division KR100624839B1 (ko) 2003-09-09 2003-09-09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796Y1 true KR200336796Y1 (ko) 2004-01-03

Family

ID=4942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979U KR200336796Y1 (ko) 2003-09-09 2003-09-09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806A (en) Liquid-filled elastomeric bushings
KR100427848B1 (ko)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US10773316B2 (en) Fixing device for securing thin-walled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astic member for use in the fixing device
US4984777A (en) Flexible bearing with a disk spring having an S-shaped spring constant curve
KR101273641B1 (ko) 케이블 진동 감쇠 장치 및 감쇠 방법
KR200336796Y1 (ko)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KR100624839B1 (ko) 위치변화를 수용하는 면진기구와, 이를 갖춘 교량받침
WO2012132788A1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US5401008A (en) Controllable motor bearing
JP2000081068A (ja) ばね脚部
KR20180023798A (ko) 탄소재를 이용한 경량 유압 실린더
JP2894497B2 (ja) 防振装置
CN110332403B (zh) 一种膨胀节
US20120061890A1 (en) Hydraulic body mount
JPH0156282B2 (ko)
KR200372064Y1 (ko)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IL153852A (en) Hydraulic tapping device
KR100624840B1 (ko) 면진기구를 갖춘 교량받침
KR101051439B1 (ko) 면진성능이 향상된 납 면진 받침장치
KR200336795Y1 (ko) 면진기구를 갖춘 교량받침
KR101970172B1 (ko) 배관용 내진 슬립 조인트
US6464042B2 (en) Strut for coupling linear drive to elevator car or counterweight
KR20020061590A (ko) 유체 제어를 위한 밸브
JP4256278B2 (ja) ラバーブッシュ
JPS6114038A (ja) 床下構造形式の鍛造プ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