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359Y1 -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 Google Patents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359Y1
KR200336359Y1 KR20-2003-0025572U KR20030025572U KR200336359Y1 KR 200336359 Y1 KR200336359 Y1 KR 200336359Y1 KR 20030025572 U KR20030025572 U KR 20030025572U KR 200336359 Y1 KR200336359 Y1 KR 200336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rame
transparent glass
block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성
Original Assignee
(주) 미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도랜드 filed Critical (주) 미도랜드
Priority to KR20-2003-0025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4Polyep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유리에 의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야간에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발광할 수 있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은, 바닥 및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저면에 설치 돌기(4)들이 제공되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채워지며, 2∼6mm의 크기를 가지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로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포함한다.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는 중량비에 있어서 70∼90%의 폐유리 알갱이들이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10∼30%의 결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에 채워진 후에 상기 프레임(2)과 함께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상기 프레임(2)과 일체로 된다.

Description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Block using waste transparent glasses}
본 고안은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 및 벽면에 부착되었을 때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측벽 마감용 타일, 실내 바닥 마감 블록, 보도블록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들은 시멘트, 골재, 철근 및 물과 같은 충전재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여러 충전재가 혼합되어 제조함으로써, 제조 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장식을 위한 표면 처리, 예를 들면 보도블록의 표면에 무늬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공 설치된 보도블록의 표면에 페인트칠과 같은 채색 작업이 요구되는 등 그 제조가 번거롭고, 또한, 보도블록의 표면에 채색된 페인트는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재작업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패널, 벽, 보도블럭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채색유리 벽돌이나 평유리벽돌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깨지기 쉽고, 온도변화에 의한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고, 또한, 유리 자체로 만들어진 보도 블럭은 우천시 배수가 불량하여 통행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한편, 실내의 바닥 장식재로 사용되는 대리석은 고가이며, 흔히 벽면 마감에 사용되는 타일은 파손되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2002-003006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일정 두께로 압축 성형된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일정 패턴으로 분쇄유리가 부착된 무늬층을 구비하는 장식 블록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식 블록은 블록 몸체와 무늬층의 2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그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완성되었을 때 분쇄된 유리들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유리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으며, 유리들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가 단순히 접착 기능만을 가지기 때문에 블록들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유리에 의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에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발광할 수 있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배면 및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야간에 발광하는 발광 구조물을 구비하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블록 2 : 프레임
3 : 폐 투명 유리 혼합체 3a : 폐 투명 유리 알갱이
4 : 설치 돌기 5 : 설치판
6 : 앵커 볼트 7 : 결합공
8 : 태양 전지판 9 : 발광 다이오드
10 : 축전지 11 : 리브
12 : 덮개 13 : 개구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바닥 및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저면에 설치돌기들이 제공되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채워지며, 2∼6mm의 크기를 가지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로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는 중량비에 있어서 70∼90%의 폐유리 알갱이들이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10∼30%의 결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채워진 후에 상기 프레임과 함께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은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 전지판과, 상기 태양 전지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를 축전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 전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축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축전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들로의 전원 공급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도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의 두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배면 및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은 다양한 사이즈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이 소정 형상을 가지는 용기체로 형성되는 한편 만들어지는 프레임(2)과, 프레임(2)에 채워지고 2∼6mm의 크기를 가지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로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포함한다.
프레임(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및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저면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설치 돌기(4)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설치 돌기(4)들은 블록(1)이 바닥 또는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또는 블록(1)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설치 돌기(4)들이 앵커 볼트(6)에 의해 블록(1)이 설치되는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설치판(5)에 형성된 결합공(7)에 결합됨으로써, 블록(1)은 바닥 또는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의 넓이에 있어서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내부의 깊이가 적어도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용기체로 만들어지는 프레임(2)에 채워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는 중량비에 있어서 70∼90%의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이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10∼30%의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결합된다.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에 의해 상기된 바와 같이 단일체로 만들어지는 한편, 프레임(2)에 채워진 후에 상부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처리된 후에, 프레임(2)과 함께 오븐에서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약 60℃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프레임(2)과 일체로 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특히,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의 입도가 2∼6mm를 가지고 또한 이러한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이 결합제에 의해 적절히 혼합됨으로써, 블록(1)이 보도블록과 같이 바닥재로 사용될 때, 폐 투명 유리 혼합체(3)의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서 공극이 확대되어 빗물 등이 투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에 의하면, 폐 투명 유리 혼합체(2)가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에 의해 결합되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만들어진 블록(1)은 소정의 색상을 가지며, 또한 폐 투명 유리 혼합체(2)가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2) 내에서 프레임(2)과 단일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유리 알갱이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블록(1)은 다양한 색상의 것들이 적절하게 배치됨으로써 바닥 또는 벽면에 소정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프레임(2) 내에서 폐 투명 유리 혼합체(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에 제공되는 발광 수단은태양열에 의하여 전기를 만들기 위한 태양 전지판(8)이 프레임(2) 내에 위치된다. 태양 전지판(8)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바닥에 형성된 리브(11)에 의해 지지되며, 태양 전지판(8) 하부의 리브(11)들 사이의 공간에는 태양 전지판(8)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지(10)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축전지(10)들은 태양 전지판(8)이 프레임(2) 내에 배치된 후에, 태양 전지판(8)에 접속된 전선에 연결되도록 프레임(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3)를 통해 태양 전지판(8)의 하부 공간에 배치된다. 축전지(10)들이 상기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판(8)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면, 프레임(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3)는 덮개(12)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태양 전지판(8)은 리브(11) 대신에 폐 투명 유리 혼합체(3)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폐 투명 유리 혼합체(3)가 축전지(10)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프레임(2) 내에 채워진 후에 태양 전지판(8)이 폐 투명 유리 혼합체(3) 상에 배치된다.
축전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9)들이 태양 전지판(8)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9)들은 태양 전지판(8) 상에 배치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으로 점등되고, 조도 센서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축전지(10)로부터 발광 다이오드(9)들에 전원 공급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9)들은 프레임(2)의 크기에 따라서, 즉 블록(1)의 크기에 따라서 그 수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이 프레임(2) 내에 배치되었을 때, 발광 다이오드(9)들 상부의 프레임(12) 내에 2∼6mm의 크기를 가지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로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가 제공된다.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들이 투광성이 양호하도록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의 태양광이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통해 태양 전지판(8)으로 투광되는 한편, 태양 전지판(8) 상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9)들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통해 외부로 조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이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통해 태양 전지판(8)으로 투광되는 한편, 태양 전지판(8) 상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9)들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통해 외부로 조명할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9)의 상부에 제공되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의 두께(t)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이 제공되는 블록(1)에 사용되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의 양을 조절하여 투수성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수단과 폐 투명 유리 혼합체(3)가 제공되는 프레임(2)의 깊이는 블록(1)의 콤팩트화를 위하여 2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발광 수단이 제공되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은 발광 다이오드(9)들이 주간에 축전된 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주위가 어두어진 야간에 점등되므로, 발광 다이오드(9)의 조명이 단색의 색상을 가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13)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므로, 에를 들어 회사 로고, 거리 표시등과 같이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도록 다수의 블록(1)들이 색상별로 배치되고, 야간에 블록(1)들의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조명이 그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강조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위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를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1)은 상부면에 약 1 내지 2㎜의 두께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층을 형성하여서 매끄럽게 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후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에 의하면, 프레임 내에 폐 투명 유리 알갱이와 투명 염료로 염색된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결합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가 프레임 내에서 경화됨으로써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또한 프레임에 의해 유리 알갱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된 유리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발광 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각각의 블록이 소정 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조명에 의하여 주위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바닥 및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저면에 설치 돌기(4)들이 제공되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채워지며, 2∼6mm의 크기를 가지는 폐 투명 유리 알갱이(3a)로 만들어지는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를 포함하며;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3)는 중량비에 있어서 70∼90%의 폐유리 알갱이들이 투명 염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된 10∼30%의 결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에 채워진 후에 상기 프레임(2)과 함께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상기 프레임(2)과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 내에서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프레임(2)에 제공되는 태양 전지판(8)과, 상기 태양 전지판(8)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를 축전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 전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축전지(10)와, 상기 태양 전지판(8) 상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9)들과,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축전지(10)로부터 발광 다이오드(9)들로의 전원 공급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폐 투명 유리 혼합체의 두께는 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KR20-2003-0025572U 2003-08-08 2003-08-08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KR200336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72U KR200336359Y1 (ko) 2003-08-08 2003-08-08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72U KR200336359Y1 (ko) 2003-08-08 2003-08-08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359Y1 true KR200336359Y1 (ko) 2003-12-24

Family

ID=493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572U KR200336359Y1 (ko) 2003-08-08 2003-08-08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3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50B1 (ko) * 2004-06-29 2006-05-12 (주) 미도랜드 파쇄 유리를 이용한 조명 블록
KR102668264B1 (ko) * 2023-04-07 2024-05-22 주식회사 푸르다산림조경 데크의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50B1 (ko) * 2004-06-29 2006-05-12 (주) 미도랜드 파쇄 유리를 이용한 조명 블록
KR102668264B1 (ko) * 2023-04-07 2024-05-22 주식회사 푸르다산림조경 데크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578B2 (en) Luminescent paving stone in the form of an artificial stone or natural stone
US20020191391A1 (en) Exterior lighting systems
WO2018184416A1 (zh) 一种带有长余辉发光材料的太阳能道钉灯
KR200336359Y1 (ko) 폐 투명 유리를 이용한 블록
CN111663464A (zh) 一种透光混凝土基led主动发光交通标线及其施工方法
RU147409U1 (ru) Светящаяся стро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100934620B1 (ko)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KR101445710B1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72921B1 (ko)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KR200399118Y1 (ko) Led모듈이 내장되는 실내외 장식재
KR200400438Y1 (ko)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RU195715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0579050B1 (ko) 파쇄 유리를 이용한 조명 블록
CN207714177U (zh) 一种双仰角复合配置道钉
KR1012256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12153A (ko) Led모듈이 내장되는 실내외 장식재 및 시공방법
RU2818382C2 (ru) Светодиод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20090099598A (ko) 조명등의 바닥 시공 방법
RU2769025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20110000509U (ko) 휀스용 조명장치
RU194904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1217740B1 (ko) 상부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 반사가 가능한 도로블록
JP2002167943A (ja) 災害対策用蓄光壁床材
KR100562746B1 (ko) 폐유리를 이용한 포장 방법
JP2512894Y2 (ja) 発光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