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330Y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330Y1
KR200336330Y1 KR20-2003-0030722U KR20030030722U KR200336330Y1 KR 200336330 Y1 KR200336330 Y1 KR 200336330Y1 KR 20030030722 U KR20030030722 U KR 20030030722U KR 200336330 Y1 KR200336330 Y1 KR 200336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link
hous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학
Original Assignee
김태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학 filed Critical 김태학
Priority to KR20-2003-0030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절첩되는 좌석부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우천시 우수의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내측 중앙부위에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저면에 바퀴가 갖추어진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에 입설된 포스트의 안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하부 관체들이 적어도 2단으로 절첩되는 이동관부; 적어도 2절 이상으로 구성되어 절첩되며 상기 이동관부에 방사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 링크로 구성되며, 이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와 하부 관체를 연결하여 이동관부의 이동시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 절첩하는 연결간으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링크들 상면에 깔려지는 시트;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a folding baby carriage}
본 고안은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된 좌석부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절첩식 유모차는 좌석부를 접어 하우징에 수납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상면에 물건을 올려 놓고, 이동할 수 있는 카트 역할을 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유모차는 양측 또는 전후방측 프레임의 저면에 바퀴를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들 사이에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즉 좌석부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근래에는 그 모양과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에 시판되는 유모차의 경우 보관 또는 취급이 편리하도록 절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바, 양측 또는 전후방측 프레임을 힌지식으로 조립하여 이들을 접어 전체 부피를 줄이는 구조이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06633호의 접철형 유모차 경우, 유모차의 A형으로된좌측차대와 우측차대의 배면에 관절부가 구비된 연결로드와 X자형으로 교차된 연결로드를 연결하여 좌측차대와 우측차대를 펴거나 접게된 것에 있어서, 전륜이 유동가능하게 부착된 전륜프레임과, 후륜이 부착된 후륜프레임의 상단부를 ㄱ자형의 지지판에 지축으로 각각 유착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핸들로드를 전륜 프레임과 일직선이 되게 상기 지지판에 지축으로 연결하여 좌우측 지지대를 각각 대칭으로 구성하여 후륜 프레임과 핸들로드를 전륜 프레임측으로 접게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들은 프레임 차체가 접어지는 방식으로 유모차를 접었을 때 바퀴가 인접하게 되고, 따라서 유모차를 프레임을 잡고 이동시키기가 불편하며, 또한, 절첩후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절첩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접어진 상태에서의 유모차는 별다른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오히려 짐이되는 문제가 있으며, 우천시 프레임이 녹슬어 절첩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절첩되는 좌석부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고, 우천시 우수의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석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끼워짐에 따라, 그 하우징의 상면을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할 수도 있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과 좌석부의 형태를 다변화시켜 다양한 디자인창출을 가능하고,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측 중앙부위에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저면에 바퀴가 갖추어진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에 입설된 포스트의 안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하부 관체들이 적어도 2단으로 절첩되는 이동관부; 적어도 2절 이상으로 구성되어 절첩되며 상기 이동관부에 방사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 링크로 구성되며, 이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와 하부 관체를 연결하여 이동관부의 이동시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 절첩하는 연결간으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링크들 상면에 깔려지는 시트;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일예를 나타낸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5a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좌석부가 절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모차 20 : 하우징
21 : 수납공간 30 : 이동관부
31 : 이동관체 32 : 상부관체
40 : 좌석부 41 : 링크 바
42 : 지지링크 44 : 연결간
45 : 받침간 50 : 손잡이
51 : 지지봉 60 : 바퀴
70 : 덮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유모차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유모차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 유모차에 적용되는 좌석부 지지링크의 요부 확대도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유모차(10)는 좌석부(40)가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하우징(20)의 내측에 수납되는 형식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좌석부(40)가 1단,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자동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유모차(10)는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관부(30)와, 상기 이동관부(30)의 이동에 따라 접어지거나펼쳐지는 좌석부(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20)은 합성수지재를 압출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원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사각, 다각 또는 동물이나, 각종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재질 또한 금속, 비철금속, 목재 등 다양한 재질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중앙에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21)의 상부측에 경사면(22)이 갖추어져 후술하는 좌석부(40)의 절첩을 안내한다. 상기 수납공간(21)의 내측 저면에는 베이스 프레임(23)이 설치되며, 이 베이스 프레임(23)에는 포스트(24)가 세워져 이 포스토(24)를 따라 상기 이동관부(3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관부(30)는 상기 포스트(24)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이동관체(31)와, 이 이동관체(31)의 상부 외면으로 끼워져 이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부 관체(3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관체(31)는 외측면 상,하부측 각각에 연결판(31a)(31b)이 돌출되어 여기에 좌석부(40)의 링크 바(41) 또는 받침간(45)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관체(31)는 베이스 프레임(23)상에 설치된 탄성부재(33)에 탄력지지되며, 이동관체(31)의 상부 연결판(31b)에는 스프링(34)이 설치되어 다시 상부 관체(32)가 탄력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체(33)(34)들은 관체(31)(32)들을 탄력지지하여 좌석부(40)가 펼쳐졌을 때 그 상태가 유지하고, 접혀진 좌석부(40)가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며,아울러 이동 중 또는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켜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상기 스프링(34)과, 탄성부재(33)는 보통의 유아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탄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관체(31)(32)들은 스토퍼(80)에 의해 걸림과 해지가 이루어지며 상하 이동하는데, 좌석부(4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이동관체(31)와 포스트(23)에 갖추어진 스토퍼(80)에 걸려 고정되고, 상부 관체(32)는 이동관체(31)에 갖추어진 스토퍼(80)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 걸림을 해지하면 탄성체 즉 탄성부재(33)와 스프링(44)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며 좌석부(40)가 펼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80)는 돌기 즉 내측이 탄력지지된 돌기 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이동관체(30)와 포스트(23)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에 봉을 관통시켜 고정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 수납공간(22)의 상부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탄편을 두어 관체(31)(32)들이 걸리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좌석부(40)는 도면과 같이 지지링크(42)들과, 상기 이동관부(31)와 연결되어 이 관부(30)의 이동에 따라 지지링크(42)를 밀거나 당겨 절첩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간(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40)는 도면과 같이 2가지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도 1에 나타낸 좌석부(40)는 지지링크(42)의 전면에 받침간(45)이 설치되어 좌석부(40)를 펼쳤을 때 안정적으로 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고, 도 7은 받침간(45)이 없는 상태에서 연결간(44)이 지지링크(42)에 직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좌석부(40)의 상부측에는 햇빛을 가리는 햇빛 가리개(80)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안전 밸트(90)가 갖추어져 승차감 및 안정한 승차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들 햇빛 가리개(80)와 안전밸트(90)는 선택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좌석부(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링크 바(41)로 구성되어 접어지는 지지링크(42) 다수개를 상부 관체(32)에 연결하고, 이 링크(42)와 받침간(45)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받침간(45)에 이동관체(31)와 연결된 연결간(44)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링크(42)는 2개 이상의 링크 바(41)가 핀(11)으로 결합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링크 바(41) 중 하나의 링크 바(41a)는 상부 관체(32)의 외면에 구비된 플랜지(3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받침간(45)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장공(43)에 연결되며, 또 다른 링크 바(41b)는 일단이 상기한 내측 링크 바(41a)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장공(4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은 받침간(45)의 상단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들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부 관체(32)의 외면에 방사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링크(42)는 적어도 5개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유모차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서는 그 이하의 갯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링크(42)를 상부 관체(32)의 전,후방 각각에 2개씩만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시트를 걸쳐놓고 유아가 앉은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유아는 정방으로 바라보고시트(50)의 좌우측으로 다리를 내려뜨리는 형식으로 앉게된다.
상기 받침간(45)의 하단은 이동관체(31)의 상부 연결판(31a)에 핀(11)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링크(42)의 외측 링크 바(41b)의 외단과 결합되는 한편, 중앙부위와 하부측 각각에 상기한 장공(43)이 형성되어 중앙 부위의 장공(43)에는 상기 내측 링크 바(41a)가 연결되어 절첩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간(44)은 하단이 이동관체(31)의 하부측 연결판(31a)과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받침간(45)의 하부측에 형성된 장공(43.)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받침간(45)의 상단부에는 90° 각도로 세워져 좌석부(40)의 벽체를 구성하여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벽체 링크(46))가 연결되고, 이 벽체 링크(46)와 받침간(45) 사이에 벽체 링크(46)를 지지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보조 링크(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링크(42)의 상면에 씌워지는 시트(50)는 면직물, 마직물,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가죽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절첩시 좌석부와 같이 접어지거나 펼쳐져야 함으로, 얇은 두께의 부드러운 재질로 하여야 하며, 이 상면에 쿠션이 깔아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60)는 하우징(20)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는 것으로, 이 또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바퀴 본체(61)는 유모차(10)의 하우징(20)과 힌지(64) 결합되어 회동하고, 로울러(63)가 고정되는 슬라이더(62)는 본체(61)의 내측으로 끼워지며출몰하는 구성으로, 이들 선택적으로 회동시키거나 출몰시키며, 경사면에서 밀거나 끌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높낮이 조절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0)는 출몰식으로 접이식 지지봉(51)과, 이 지지봉(51)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5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51)의 하단은 하우징(20)의 축수부(12)에 회전축(53)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50)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즉 회전축(53)이 관통되는 축수부(12)에 등간격으로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하여 단계별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지지봉(51) 역시 단계별로 빠지거나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첨부된 도 6은 이러한 손잡이(5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하우징의 내측에 별도의 회전체를 구비하여 이 회전체를 중심으로 손잡이(50)가 360°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50)는 이동시 어떠한 위치에서나, 유모차(10)를 밀거나 끌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체(54)는 하우징(20)의 함몰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저면에 갖추어진 베어링(55)이 하우징(20)을 따라 구르면 이동하는 구조이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실예이고, 다른 형태 예를 들면 하우징(20) 외면을 감싸는 띠 형태의 회전체(54)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석부(40)를 구성하는 지지링크(42)의 링크 바(41)와 받침간(45) 그리고, 연결간(44)의 각각은 도 3과 같이 인장스프링(48)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인장스프링(48)은 좌석부(40)를 펼치거나 접을 때 그 탄성력으로 밀거나 당기는 구조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은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덮는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유모차(10)는 좌석부(40)를 접어 하우징(20)의 내측 수납공간(21)에 수납하고, 이를 빼내 사용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5a,b는 좌석부(40)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접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좌석부(40)를 접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벽체 링크(46)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부관체(32)를 누르게된다. 상부관체(32)가 눌려지면 그 하부측의 스프링이 압축되고, 스토퍼(80)에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그 압지력에 의해 이동관체(31)가 하강한다.
이동관체(31)가 하강하면 먼저 연결간(44)이 하강하며 그 상단이 장공(43)을 따라 이동하며, 받침간(45)을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받침간(45)은 경사면(22)을 따라 이동하며 점차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와 연결된 지지링크(42) 즉 내,외측 링크 바(42a, b)는 핀(11)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접어지며, 수납공간(22)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이들을 지지하고 있는 인장스프링(48)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순간적으로 링크를 밀어 접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강제로 이동하는 이동관체(31)는 포스트(23)에 갖추어진 스토퍼(80)에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끼워진 좌석부(40)는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수납공간(22)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위치함에 따라 펼쳐지지 않고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22)의 상면에 덮개(70)를 덮어 물건을 올려 놓고 이동시키거나, 또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수납된 좌석부(40)를 펼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관체(31)(32)가 걸려 있는 스토퍼(80)를 해지는 것으로 펼쳐지게 한다. 즉 스토퍼(80)의 걸림이 해지되면 스프링(34)과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하여 관체(31)(32)들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연결간(44)은 장공(43)을 따라 이동하며, 받침간(45)을 외부로 밀어낸다.
외부 밀려나는 받침간(45)이 일정한 각도를 벗어나면 인장스프링(48)을 연결간(44)을 당겨 이 연결간(44)을 장공(43)의 끝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받침간(45)이 펼쳐지는 구성이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 유모차(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좌석부(4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즉, 좌석부(40)를 지지링크(42)와 연결간(44)으로 구성하되, 상술한 좌석부(40)와는 달리 연결간(44)이 받침간(45)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지지링크(42)이 직접 연결되어, 이 지지링크(42)를 밀거나 당겨 절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측 수납공간에 좌석부를 접어 수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의 상면에 덮개를 덮어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카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좌석부의 모양 및 형상을 다변화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고, 손잡이의 조절이 자유로워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우천시 좌석부가 녹슬 우려가 없으며,하우징의 내측에 수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다.
또, 본 고안의 유모차는 좌석부가 탄성체에 탄력지지되어 있어 이동시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이 탄성체가 완충시킴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0)

  1. 내측 중앙부위에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저면에 바퀴가 갖추어진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에 입설된 포스트의 안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하부 관체들이 적어도 2단으로 절첩되는 이동관부;
    적어도 2절 이상으로 구성되어 절첩되며 상기 이동관부에 방사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 링크로 구성되며, 이 링크와 하부 관체를 연결하여 이동관부의 이동시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 절첩하는 연결간으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링크들 상면에 깔려지는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2. 내측 중앙부위에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저면에 바퀴가 갖추어진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에 입설된 포스트의 안내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하부 관체들이 적어도 2단으로 절첩되는 이동관부;
    적어도 2절 이상 링크 바로 이루어져 절첩되며 상기 이동관부에 방사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 링크로 구성되며, 이 지지링크의 링크 바와 하부 관체를 연결하여 이동관부의 이동시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 절첩하는 받침간을 구비하되, 상기 받침간은 이동관부의 하부측에 연결된 연결간에 의해 절첩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링크들 상면에 깔려지는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중앙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되, 이 수납공간의 상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좌석부의 절첩시 지지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수납공간의 저부에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으로 포스트가 세워진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부는 포스트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이동관체와 이 이동관체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관체로 구성하되, 상기 이동관체의 상,하부측에 연결판이 갖추어져 받침간과 연결간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부 관체에는 플랜지가 갖추어져 지지링크가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링크 바가 핀으로 연결되어 절첩되며, 이중 내측 링크 바는 상부 관체에 연결되고, 외측 링크 바는 받침간과 연결되어 받침간의 절첩에 따라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의 일단은 이동관체의 상부 연결간에 연결되고, 이 받침간의 상하부측 각각에 장공을 형성하되, 이 상부측 장공에는 지지링크가 연결되고, 하부측 장공에는 연결간이 연결되어 절첩시 지지링크와 연결간이 이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와 연결간 또는 받침간의 연결부위에는 인장스프링이 갖추어져 이들 탄력지지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끌거나 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는 하우징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지지봉과, 이 지지봉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적어도 2단 이상이 관삽되는 봉재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바퀴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인입, 인출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에 로울러가 설치되어 이동시 이들을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드 시키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 유모차.
KR20-2003-0030722U 2003-09-29 2003-09-29 절첩식 유모차 KR200336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22U KR200336330Y1 (ko) 2003-09-29 2003-09-29 절첩식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22U KR200336330Y1 (ko) 2003-09-29 2003-09-29 절첩식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330Y1 true KR200336330Y1 (ko) 2003-12-18

Family

ID=4942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722U KR200336330Y1 (ko) 2003-09-29 2003-09-29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895U1 (ru) * 2020-11-17 2021-03-12 Задорожный Артем Анатол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ляски от эм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895U1 (ru) * 2020-11-17 2021-03-12 Задорожный Артем Анатол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ляски от эм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85380B (zh) 儿童推车
US9056621B1 (en) Folding trolley
KR101491427B1 (ko) 캐노피를 갖는 폴딩 왜건
CN102009681B (zh) 婴儿推车的可变换装置
US6434768B2 (en) Collapsible play yard
US5197394A (en) Garden umbrella
KR20180030532A (ko) 접이식 왜건
US20080073880A1 (en) Collapsible and portable wheeled dolly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by students or others in the transport of items
RU2329910C2 (ru) Скл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GB2330074A (en) Convertible play pen/play mat
CN109070922A (zh) 可转换婴儿车
US20190135323A1 (en) Convertible Stroller
EP1842760B1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EP2098663A2 (en) Movable temporary shelter having a collapsible frame and a expandable canopy
KR20230054824A (ko) 접이식 유모차 왜건
US6755435B2 (en) Sports utility stroller
KR200181900Y1 (ko) 카트 장착 골프백
KR200336330Y1 (ko) 절첩식 유모차
JP3145621U (ja) 伸縮自在式キャリーバッグ
JP3148302U (ja) 伸縮自在式キャリーバッグ
KR200492687Y1 (ko) 소방관 휴대용 캐리어 가방
KR200488592Y1 (ko) 카트
CN101415596A (zh) 婴儿推车的可变换装置
US20120270469A1 (en) Folding Rotating Umbrella
AU2021105445A4 (en) Collapsible infant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