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648Y1 - 원통형 심타 접지봉 - Google Patents

원통형 심타 접지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648Y1
KR200335648Y1 KR20-2003-0028070U KR20030028070U KR200335648Y1 KR 200335648 Y1 KR200335648 Y1 KR 200335648Y1 KR 20030028070 U KR20030028070 U KR 20030028070U KR 200335648 Y1 KR200335648 Y1 KR 200335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ed
coupling
ground ro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삼
Original Assignee
김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삼 filed Critical 김홍삼
Priority to KR20-2003-0028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벽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구를 구비하는 제 1 파이프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제 1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끝단이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1 돌출볼트와, 제 1 파이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1 배출구멍을 밀폐시키도록 제 1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1 밀폐너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단부와; 제 1 파이프의 상단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단부와; 하단 끝단이 밀폐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끝단이 제 1 파이프의 하단 끝단에 결합되며 측벽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구를 구비하는 제 2 파이프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제 2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끝단이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2 돌출볼트와, 제 2 파이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 배출구멍을 밀폐시키도록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 밀폐너트를 포함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심타 접지봉 { cylindrical ground pipe buried deeply }
본 고안은 전력계통내부에서 야기되는 지락사고 또는 낙뢰와 같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의 전류를 효과적으로 대지로 분산시킴으로서 통신기기나 레이더기기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가 역섬락에 의하여 파손됨을 방지하는 접지장치의 접지봉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된 엄청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낙뢰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접지장치를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전류를 신속하게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여야한다. 이때, 지구는 거대한 용량의 콘덴서와 같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전류가 충전된다 하여도 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위상승과 같은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한다.
접지는 일반적으로 접지극을 대지에 매설하는 것으로서, 접지극에 가해지는 전류는 외부에서 발생한 낙뢰와 같은 써지와 전력계통 및 전기기기의 고장에 의한 고장전류 및 3상불평형에 의한 불평형전류 등이 있다. 이러한 전류는 접지극을 통해 대지로 신속히 방사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접지장치는 낙뢰피해가 우려되는 건축물 및 철골구조물에 접지극을 경동연선으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며, 특히 건물의 최상단부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이 피뢰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지면에 접지 시키는 구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때, 매설된 동선의 단부에는 메쉬접지망이나 방사상 접지망 또는 단순한 동으로된 접지봉이 연결되어 넓은 지역으로 분포됨으로써, 대지로의 방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최근에는 접지극으로 인가된 고압의 전류가 보다 효과적으로 신속히대지로 방전될 수 있도록 접지봉에 도전성 전해질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접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해질 투입과 조절이 가능한 접지봉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전해질 투입이 가능한 종래 접지봉의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지봉은, 측면에 다수의 배출공(12)이 천공되어있으며 하측 하단은 바닥판(14)으로 막혀진 동파이프(10)와, 동파이프(10)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덮개(20)로 구성되어있다.
동파이프(10)를 접지용 동관으로 선정한 이유는, 내부로 전해질 역할을 담당하는 소금과 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배출공(12)은 직경 3 ~ 4 mm의 크기로 형성되어 동파이프(10)의 내부로 인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의 역할을 하고, 동파이프(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개(20)는 동파이프(1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동파이프(10) 내부로 전해질의 추가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파이프(10)의 측면에는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경동연선(30)이 결합되며, 외부 전류는 경동연선(30)을 통하여 동파이프(10)로 전달된다.
도 1b는 종래 접지봉의 설치 단면도이다.
접지봉을 대지에 설치할 때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40)에 동파이프(10)을 세워서 묻을 수 있는 깊이의 구덩이 형상의 접지봉 삽입구(42)를 굴착한 후, 접지봉 삽입구(42)에 동파이프(10)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 삽입한다.
동파이프(1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동파이프(10) 주변의 접지봉 삽입구(42)를 토양과 접지저감재를 50 : 50으로 혼합한 접지저감토양(50)으로 메우고, 동파이프(10) 내부에 전해질(60)을 충진시킨 후 동파이프(10)의 상단 개구부를 덮개(20)로 덮는다.
동파이프(10)의 내부에 충진된 전해질(60)은 동파이프(1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하여 주변의 토양으로 흘러들어 가서 접지저감토양(50)은 전도성이 향상된다. 전도성이 향상된 접지저감토양(50)은 원래의 토양이 가지고 있는 고유저항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게되므로, 고압전류가 동파이프(10)와 접지저감토양(50)을 통하여 대지로 방전되는 접지효과는 극대화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접지봉을 사용하면, 지하수층 또는 동굴층이 존재하는 지점에 접지봉을 설치하는 경우 전해질(60)이 지하수에 혼합되어 유실되거나 동굴층으로 유입되므로 토양(40)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하수층 또는 동굴층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위치에만 배출공(12)을 형성하는 경우, 토양의 특성에 따라 동파이프(10)를 주문 제작해야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파이프(10)에 덮개(20)를 장시간 결합시켜 놓는 경우 동파이프(10)와 덮개(20)간에 산화작용이 발생하여 고착되므로, 전해질 재충진을 위해 동파이프(10)의 내부를 개방하고자 덮개(20)를 분리시킬 때에는 덮개(20)를 파손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동파이프(10)에 인가된 고압의 전류가 대지로 전달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동파이프(10)의 외측벽에 뾰족한 돌기 형상의 돌철을 형성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돌철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제조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번거로워진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공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덮개의 고착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별도의 제조공정을 추가하지 아니하고 돌철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접지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전해질 투입이 가능한 종래 접지봉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접지봉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돌출볼트와 밀폐너트의 결합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대지에 매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지하수가 흐르는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매설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사용하여 실시한 낙뢰 모의실험의 결과 데이터이다.
도 5b는 종래의 접지봉을 사용하여 실시한 낙뢰 모의실험의 결과 데이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단부 110 : 제 1 파이프
112 : 제 1 결합구 120 : 제 1 돌출볼트
122 : 제 1 배출구멍 124 : 제 1 수나사산
126 : 스패너 결합턱 130 : 제 1 밀폐너트
140 : 제 1 커플링 142 : 제 1 결합나사
150 : 제 2 커플링 152 : 제 2 결합나사
200 : 상단부 210 : 하단 덮개
212 : 하단 체결돌기 214 : 하단 삽입홀
220 : 상단 덮개 222 : 상단 체결돌기
224 : 상단 삽입홀 230 : 결합핀
300 : 하단부 310 : 제 2 파이프
312 : 제 2 결합구 314 : 하단 배출공
320 : 제 2 돌출볼트 330 : 제 2 밀폐너트
400 : 토양 410 : 접지봉 삽입구
500 : 접지저감토양 600 : 경동연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은,
측벽면에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구가 형성되는 제 1 파이프와, 제 1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제 1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1 돌출볼트와, 제 1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1 밀폐너트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단부와; 제 1 파이프의 상단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단부와; 일측 끝단이 밀폐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제 1 파이프에 결합되고 측벽면에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구를 구비하는 제 2 파이프와, 제 2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제 2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2 돌출볼트와, 제 2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 밀폐너트를 포함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배출구멍은 제 1 돌출볼트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돌출볼트는 제 1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끝단이 결합구에 결합된다.
또한, 제 1 밀폐너트는 제 1 파이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1 배출구멍을 밀폐시키도록 제 1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제 2 밀폐너트 역시 제 2 파이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 배출구멍을 밀폐시키도록 제 2 돌출볼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는 상호 호환이 용이하도록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는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한쪽 파이프의 끝단에는 제 1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파이프의 끝단에는 암나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파이프 및 제 2 파이프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곤란한 경우, 중단부는 일측 끝단이 제 1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제 1 결합나사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1 커플링과, 일측 끝단이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제 1 결합나사와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 2 결합나사가 형성되는 제 2 커플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상단부는, 제 1 파이프 상단에 결합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하단 삽입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단 체결돌기가 외측면에 구비되는하단덮개와, 하단덮개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덮개의 상단면을 덮었을 때 하단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단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단 체결돌기가 외측면에 구비되는 상단덮개와, 상단 삽입홀과 하단 삽입홀에 삽입되어 하단덮개와 상단덮개를 체결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 파이프의 내부로 충진되는 전해질이 하향으로도 인출될 수 있도록, 제 2 파이프의 하단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하단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 결합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중단부(100)와, 중단부(100)의 상단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단부(200)와, 상단 끝단이 중단부(100)의 하단 끝단에 결합되는 하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단부(100)는, 금속 재질로서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측벽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4개의 제 1 결합구(112)가 형성되는 제 1 파이프(110)와, 일측 끝단이 제 1 파이프(110)의 하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수나사 형상의 제 1 결합나사(142)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1 커플링(140)과, 일측 끝단이 제 1 파이프(110) 및 제 2 파이프(310)의 상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제 1 결합나사(142)와 나사결합이가능한 암나사 형상의 제 2 결합나사(152)가 형성되는 제 2 커플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파이프(110)는 제 1 커플링(140)의 상단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지만, 제 1 파이프(110)와 제 1 커플링(140)간의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리벳 결합방법이나 나사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이프(110)와 제 1 커플링(140)간의 밀폐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용접 또는 본드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결합방식의 변경은 제 2 파이프(310)와 제 2 커플링(150)간의 결합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 1 커플링(140)과 제 2 커플링(150)은 제 1 결합나사(142)와 제 2 결합나사(152)가 나사결합을 이룸으로써 결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결합나사(142)는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나사(152)는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반대로 제 2 결합나사(152)가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결합나사(142)가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커플링(140)과 제 2 커플링(15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 1 결합구(112)에는, 중심축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배출구멍(122)이 구비되는 기둥형상의 제 1 돌출볼트(120)가 제 1 파이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제 1 파이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볼트(120)의 끝단에는 제 1 배출구멍(122)이 밀폐되도록 제 1 밀폐너트(130)가 결합된다. 제 1 돌출볼트(120)는 제 1 파이프(110)의 내부로 충진되는 전해질의 출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접지봉으로 인가되는 전류가 대지로 접지되는 접지부 역할을 하게된다.
제 1 돌출볼트(120) 및 제 1 밀폐너트(130)의 결합구조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각 제 1 결합구(112)간의 사이각이 90°가 되도록 하나의 제 1 파이프(110)에 4개의 제 1 결합구(112)가 형성되고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결합구(112)의 개수와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상단부(200)는 크게 나누어 제 1 파이프(110) 상단에 결합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덮개(210)와 하단덮개(210)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덮개(220)로 구분된다.
하단덮개(210)와 상단덮개(220)의 외측면에는, 내부에 하단 삽입홀(214)이 형성되는 한 쌍의 하단 체결돌기(212)와 내부에 상단 삽입홀(224)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단 체결돌기(222)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 삽입홀(224)과 하단 삽입홀(214)에 삽입되어 하단덮개(210)와 상단덮개(220)를 체결시키는 결합핀(230)이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단 체결돌기(222)와 하단 체결돌기(212)는, 결합핀(23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 삽입홀(224)과 하단 삽입홀(214)이 일치되는 위치에 결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30)을 이용하여 상단덮개(220)를 하단덮개(210)에 결합시키게되면, 상단덮개(220)와 하단덮개(210)는 상호 접촉되는 면적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종래의 접지봉 덮개에 비하여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단덮개(220)와 하단덮개(210)가 장기간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더라도 산화로 인한 고착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전해질 재충진 작업이 용이해진다.
하단부(300)는, 하단 끝단이 밀폐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끝단이 제 1 파이프(110)의 하단 끝단에 결합되며 측벽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구(312)를 구비하는 제 2 파이프(310)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제 2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파이프(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끝단이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2 돌출볼트(320)와, 제 2 파이프(3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 배출구멍을 밀폐시키도록 제 2 돌출볼트(320)에 결합되는 제 2 밀폐너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대지에 매설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인입되고 하단부에서 전류의 방사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파이프(310)의 하단부(300)는 끝단이 좁아지는 모양의 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파이프(310)의 내부에 충진된 전해질이 제 2 파이프(310)의 하향으로도 인출될 수 있도록, 제 2 파이프(310)의 하단부(30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단 배출공(314)이 추가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부(200)와 하단부(300) 사이에 두 개의 중단부(100)를 연결시키고 있지만, 접지 시켜야 할 전류의 크기나 접지저항요구 설계치 선정에 의해 증감되는 접지봉의 매설 깊이에 따라 결합되는 중단부(1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b는 돌출볼트와 밀폐너트의 결합형상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돌출볼트(1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배출구멍(122)이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제 1 수나사산(124)이 구비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제 1 결합구(112)에, 다른 일측 끝단은 제 1 밀폐너트(13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 1 수나사산(124)과 대응되는 부위의 제 1 밀폐너트(130)에는 제 1 수나사산(124)과 결합 가능한 구조의 제 1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돌출볼트(120)의 가운데 부위에는 나사결합 시 스패너와 같은 결합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각형 단면을 갖는 스패너 결합턱(126)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돌출볼트(120)는, 제 1 밀폐너트(130)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기 위하여 제 1 밀폐너트(130)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 나사산이 반드시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제 1 결합구(112)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는 나사산 형성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볼트(120)의 양 끝단에 동일한 규격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측과 제 1 밀폐너트(130)에 결합되는 측을 구분해야 하는 결합 방향성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므로,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고 제품의 생산에도 여러 가지 편리한 점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 2 돌출볼트(320)와 제 2 밀폐너트(330)의 결합형상 및 결합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제 1 돌출볼트(120)와 제 1 밀폐너트(130)의 결합형상 및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대지에 매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대지에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매설할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400)에 접지봉을 묻을 수 있는 깊이의 접지봉 삽입구(410)를 파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덮개가 지표면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접지봉 삽입구(410)에 접지봉을 인입시킨 후, 중단부(100)의 일측에 외부 전류를 인가하는 경동연선(30)을 연결시킨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을 매설할 위치에 지하수층이 없는 경우에는 제 1 밀폐너트(130)를 분리시킨 후 접지봉을 접지봉 삽입구(410)에 인입시킨다.
접지봉의 인입이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 주변의 접지봉 삽입구(410)를 접지저감토양(500)으로 메우고, 상단 덮개를 개방시켜 제 1 파이프(110) 및 제 2 파이프(310)의 내부로 전해질을 충진시킨 후, 제 1 파이프(110) 및 제 2 파이프(310)의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인입되지 아니하도록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덮개(220)를 결합시킨다.
제 1 파이프(110) 및 제 2 파이프(310)의 내부에 충진된 전해질은 제 1 배출구멍(122) 및 제 2 배출구멍을 통하여 주변의 접지저감토양(500)으로 흘러들어 가서 접지저감토양(500)의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전도성이 향상된 접지저감토양은 원래의 토양이 가지고 있는 고유저항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게되므로, 고압전류가 접지저감토양(500)을 통하여 대지로 방전되는 접지효과는 극대화된다.
도 4는 지하수가 흐르는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매설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을 매설하고자 하는 지점에 지하수층(600)이 있는 경우, 지하수층(600)과 만나는 부위의 제 1 돌출볼트(120)는 제 1 밀폐너트(130)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제 1 파이프(110) 내부에 충진된 전해질은 지하수층(600)에 의해 소실되지 아니하고 전량이 접지저감토양(500)으로 투입되므로, 전해질로 인하여 향상되는 접지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사용하여 실시한 낙뢰 모의실험의 결과 데이터이고, 도 5b는 종래의 접지봉을 사용하여 실시한 낙뢰 모의실험의 결과 데이터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그래프는 경동연선으로 접지봉을 접지시킨 방화기지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시켰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지봉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세로축은 접지봉에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실험이 진행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그래프를 보면, 종래의 접지봉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사용하였을 때 접지봉에 전압이 잔존하는 시간이 짧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사용하는 경우 접지봉으로 인가되는 고압의 전류가 보다 빠르게 대지로 접지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이 종래의 접지봉과 비교하여 성능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통형 심타 접지봉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배출공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접지봉을 매설할 토양의 특성에 관계없이 접지봉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덮개의 고착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별도의 제조공정을 추가하지 아니하고 돌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측벽면에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구(112)가 형성되는 제 1 파이프(110)와, 제 1 배출구멍(12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제 1 결합구(112)에 결합되는 제 1 돌출볼트(120)와, 상기 제 1 돌출볼트(1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1 밀폐너트(130)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단부(100)와;
    상기 제 1 파이프(110)의 상단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단부(200)와;
    일측 끝단이 밀폐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상기 제 1 파이프(110)에 결합되고 측벽면에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구(312)를 구비하는 제 2 파이프(310)와, 제 2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기 제 2 결합구(312)에 결합되는 제 2 돌출볼트(320)와, 상기 제 2 돌출볼트(3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 밀폐너트(330)를 포함하는 하단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110)와 상기 제 2 파이프(310)는,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단부(100)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파이프(110)의 하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제 1 결합나사(142)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1커플링(140)과,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파이프(110)와 상기 제 2 파이프(310)의 상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에는 상기 제 1 결합나사(142)와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제 2 결합나사(152)가 형성되는 제 2 커플링(15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200)는,
    상기 제 1 파이프(110) 상단에 결합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하단 삽입홀(214)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단 체결돌기(212)가 외측면에 구비되는 하단덮개(210)와;
    상기 하단덮개(210)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덮개(210)의 상단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단 삽입홀(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단 삽입홀(224)이 형성되는 상단 체결돌기(222)가 외측면에 구비되는 상단덮개(220)와;
    상기 상단 삽입홀(224)과 상기 하단 삽입홀(214)에 삽입되어, 상기 하단덮개(210)와 상기 상단덮개(220)를 체결시키는 결합핀(2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310)는,
    하단부(30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하단 배출공(3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볼트(120)는,
    상기 제 1 밀폐너트(130)와 결합되는 부위에 제 1 수나사산(12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폐너트(130)는,
    상기 제 1 수나사산(124)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 1 수나사산(124)과 결합 가능한 구조의 제 1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볼트(320)는,
    상기 제 2 밀폐너트(330)와 결합되는 부위에 제 2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밀폐너트(330)는,
    상기 제 2 수나사산(124)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 2 수나사산(124)과 결합 가능한 구조의 제 2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20-2003-0028070U 2003-09-01 2003-09-01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200335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70U KR200335648Y1 (ko) 2003-09-01 2003-09-01 원통형 심타 접지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70U KR200335648Y1 (ko) 2003-09-01 2003-09-01 원통형 심타 접지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867A Division KR100558334B1 (ko) 2003-09-01 2003-09-01 원통형 심타 접지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648Y1 true KR200335648Y1 (ko) 2003-12-11

Family

ID=4942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070U KR200335648Y1 (ko) 2003-09-01 2003-09-01 원통형 심타 접지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70B1 (ko) 2013-03-12 2013-05-16 김경연 탄소 접지봉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70B1 (ko) 2013-03-12 2013-05-16 김경연 탄소 접지봉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250405U (zh) 一种保护接地装置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1811B1 (ko) 8각요철 탄소성형 분산 방사침 접지봉
KR100558334B1 (ko) 원통형 심타 접지봉
CN206815933U (zh) 一种多功能接地输电水泥杆
KR101034191B1 (ko) 맨홀 접지구조
CN111555051A (zh) 一种低压配电用石墨基接地极、接地装置及其施工方法
US5836124A (en) Foundation tube for use as a foundation for masts, posts, pillars, etc.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KR101029710B1 (ko) 전해질충진 고방사 탄소접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335648Y1 (ko) 원통형 심타 접지봉
KR101012564B1 (ko)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200448141Y1 (ko) 성형된 접지 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KR100956991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CN207409670U (zh) 机动快速接地装置
KR200264074Y1 (ko) 성형된 접지 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KR100663246B1 (ko) 나선형 외관을 갖는 접지봉
CN205543270U (zh) 一种便于深入土壤内的离子接地极
KR200257071Y1 (ko)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CN207199854U (zh) 一种电气试验用接地装置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CN105428834B (zh) 一种防盗组合型铜包钢接地极及其安装方法
KR200288758Y1 (ko) 접지용 전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