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496Y1 -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496Y1
KR200335496Y1 KR20-2003-0029346U KR20030029346U KR200335496Y1 KR 200335496 Y1 KR200335496 Y1 KR 200335496Y1 KR 20030029346 U KR20030029346 U KR 20030029346U KR 200335496 Y1 KR200335496 Y1 KR 200335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efabricated fence
diaphragm
fitted
guid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 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초지 filed Critical (주) 초지
Priority to KR20-2003-0029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fitted in grooves of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각종 건축물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펜스가 개시되어 있다. 지면상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포스트부재(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설치공(14)이 형성된다. 차단부재(20)는 양단이 각각의 안내홈(12)에 끼워져서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된다. 포스트캡부재(30)는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포스트캡부재(30)의 하부면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32)에는 포스트부재(10)의 설치공(14)에 끼움결합된 고정핀(18)의 노출상부가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펜스는 설치 장소에 따라 차단부재의 수와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서 주위환경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펜스{PREFABRICATED FENCE}
본 고안은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을 각각 형성하고 양단이 이 안내홈에 끼워지도록 포스트부재들 사이에 차단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차단부재를 다양하게 변형시켜서 주위환경에 적합한 외관미를 가질 수 있는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건축물, 학교, 공원 등에 경계를 표시하거나 외부인의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전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도 동시에 행하고 있어 주변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펜스는 크게 포스트, 수평부재, 수직부재로 나누어지며, 주로 기후변화에 적합한 금속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펜스의 시공방법은 각 포스트에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연결판을 덧댄 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먼저,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작업의 불편함과 현장의 기후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위의 상태가 부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용접부위가 부식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연결하는 방법은 외부로 볼트와 너트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외관미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중 작업자가 돌출부위에 긁혀 상처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 이외에,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들은 공통적으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펜스가 손상되었을 때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부재를 포스트부재의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시공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차단부재를 다양하게 변형시켜서 주위환경에 적합한 외관미를 가질 수 있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스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포스트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각 면에 대하여 안내홈이 직각으로 형성된 포스트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각 면에 대하여 안내홈이 일정 경사각도로 형성된 포스트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펜스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포스트부재 12 : 안내홈
14 : 설치공 16 : 삽입공
18 : 고정핀 20 : 차단부재
21,28 : 돌출부 22 : 바닥부재
24 : 중간부재 26 : 상부부재
30 : 포스트캡부재 32 : 결합공
34 : 삽입홈 40 : 하부부재
50 : 투명부재 60 : 수평봉부재
70 : 격판부재 72 : 설치홈
74 : 관통공 76 : 결합돌기
78 : 결합홈 80 : 패킹부재
90 : 장식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지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부재;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서 상기 포스트부재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포스트부재들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펜스를 제공한다.
상기 차단부재는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서 하부면이 지면과 닿도록 설치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설치되는 중간부재; 및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서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캡부재의 하부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포스트부재의 설치공에 끼움결합된 고정핀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포스트캡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과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이 각각 형성되고,상기 격판부재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패킹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펜스는 지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에 차단부재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포스트부재들 사이에 차단부재를 설치한다. 또한, 차단부재의 수와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서 주위환경에 적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펜스(100)는 한쌍의 포스트부재(10), 이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 그리고 차단부재(20)가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를 포함한다.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의 포스트부재(10)는 콘크리트 타설 등을 통해서 하단부가 지면 아래에 매설되어 지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포스트부재(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2)이 각각 형성된다.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서 안내홈(12)들 사이에는 설치공(14)이 일정깊이의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도 3a 및 3b에는 포스트부재(10)에 형성되는 안내홈(12)의 형태가 도시되어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12)은 포스트부재(10)의 4개 외부면에 대하여 사각형의 형태로 안쪽으로 움푹들어가게 각각 형성된다. 이때, 안내홈(12)은 포스트부재(10)의 4개면중 마주보는 2개의 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재(10)의 4개 외부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안쪽으로 움푹들어가게 각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안내홈(12)은 포스트부재(10)의 4개면중 마주보는 2개의 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2)은 비스듬한 경계를 구획할 때 사용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단부재(20)는 막대형상의 바닥부재(22), 판형상의 중간부재(24), 그리고 막대형상을 갖는 상부부재(26)를 포함한다.
바닥부재(22)는 직립한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때 바닥부재(22)의 양단부는 안내홈(12)에 각각 끼워맞추어진다. 이를 위해서, 바닥부재(22)의 양단에는 안내홈(12)에 대응하는 돌출부(21)가 형성된다. 직립한 포스트부재(10)들의 안내홈(12)에 끼워질때, 바닥부재(22)는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서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면이 지면과 닿게 배치된다.
판형상의 중간부재(24)는 판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포스트부재(10)들의 안내홈(12)에 끼워져서 배치된다. 이때, 중간부재(24)는 포스트부재(10)들의 안내홈(12) 사이에 바닥부재(22)가 끼워진후 중간부재(24)의 측면이 안내홈(1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바닥부재(22) 위로 배치된다.
상부부재(26)는 바닥부재(22)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직립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위치한다. 바닥부재(22)와 마찬가지로, 상부부재(26)의 양단부는 안내홈(12)에 각각 끼워맞추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단부재(22)의 양단에는 안내홈(12)에 대응하는 돌출부(28)가 형성된다. 직립한 포스트부재들(10)의 안내홈(12)에 끼워질때, 상부부재(22)는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서 최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의 하부면에 결합공(32)이 형성된다. 결합공(32)은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설치공(14)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포스트캡부재(30)가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경우,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설치공(14) 내로 별개의 고정핀(18)이 삽입되고, 계속해서 고정핀(18)의 노출된 상부가 포스트캡부재(30)의 결합공(32)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포스트캡부재(30)는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 형상이 깔끔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서와는 달리, 차단부재(20)는 바닥부재(22), 중간부재(24), 상부부재(26)로 분할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부재(2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투명 재료 또는 투명 재료로 형성하여 담장 역할과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지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포스트부재(10)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한 후에 적당한 깊이로 구덩이를 판다. 그 다음 포스트부재(10)의 하단부를 구덩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안내홈(12)이 서로 마주보도록 포스트부재(10)들을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구덩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포스트부재(1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부재(10)들이 지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고정되면 바닥부재(22)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1)를 각각의 안내홈(12)에 끼워 바닥부재(22)의 하부면이 지면과 닿게 설치한다. 그 다음 바닥부재(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중간부재(24)의 넓은 면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중간부재(24)의 양단을 각각의 안내홈(12)에 끼워 설치한다. 그리고 중간부재(2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부재(26)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8)를 각각의 안내홈(12)에 끼워 설치한다. 이때, 상부부재(26)의 상단면은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렇게,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차단부재(20)가 설치되면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14)에 고정핀(18)을 끼움결합한 다음 고정핀(18)의 노출된 상부가 포스트캡부재(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공(32)에 끼워지도록 하여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포스트캡부재(3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포스트캡부재(3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부부재(26)의 돌출부(28)가 포스트캡부재(30)의 하부면에 걸려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차단부재(20)를 설치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량의 펜스(1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부의 충격으로 차단부재(20)가 파손되어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설치된 포스트캡부재(30)를 분리한 상태에서 파손된 차단부재(20)를 안내홈(12)을 따라 상방으로 빼낸 후 새로운 차단부재(20)를 안내홈(12)에 끼워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보수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하부부재(40), 이 하부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투명부재(50)를 포함한다.
하부부재(4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양각 문양이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양각 문양은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삼각뿔형으로 형성된 것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양각 문양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투명부재(5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틀(52)안에 투명창(54)이 결합된다. 틀(52)의 상단부는 원호형, 유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명창(54)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부재(40)와 투명부재(50)의 양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34)이 각각 형성된다.
즉,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를 분리하지 않고도 하부부재(40)와 투명부재(50)의 양단을 삽입홈(34)으로 삽입하여 안내홈(12)에 설치할 수 있으며, 안내홈(12)에 설치된 투명부재(50)와 하부부재(40)를 삽입홈(34)을 통하여 상측으로 빼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불투명한 하부부재(40)와 투명부재(50)로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써, 투시면적을 조절하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하부부재(40), 이 하부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홈(12)에 설치되는 수평봉부재(60)를 포함한다.
하부부재(40)는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의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안내홈(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16)이 관통되어 각각 형성된다.
수평봉부재(60)의 양단은 안내홈(12)에 형성된 삽입공(16)으로 삽입되어 하부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봉부재(60)는 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수평봉부재(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하부부재(40)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평봉부재(60)를 설치하여 가시성 확보는 물론 딱딱한 담장의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된 하부부재(40)를 제거하고, 다수개의 수평봉부재(60)를 설치하여 담장 역할과 가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는 본 고안에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펜스의 결합상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각각의 안내홈(1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를 포함한다.
격판부재(70)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72)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74)이 형성된다.
설치홈(72)에는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격판부재(70)들 간의 유동방지와 간격유지를 위해 패킹부재(80)가 설치된다. 패킹부재(80)는 탄성체로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패킹부재(80)가 도시되어 있다.
즉, 격판부재(70)가 안내홈(12)에 적층되도록 설치될 경우에 설치홈(72)에 설치된 패킹부재(80)가 격판부재(70)의 무게에 눌려 수축되면서 설치홈(72)과 맞물리게 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간격이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관통공(74)은 원형, 다각형, 하트형, 별형상, 구름형상, 태양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격판부재(70)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의 관통공(74)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담장 형상으로 관통공(74)을 통해 일부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격판부재(70)가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파손된 격판부재(70)만 빼내어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에 따른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안내홈(1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 이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투명부재(50)를 포함한다.
격판부재(70)는 전면이 원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포스트부재(10)의 안내홈(12)에 적층되도록 설치된다.
투명부재(5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틀(52)안에 투명창(54)이 결합된다. 틀(52)의 상단부는 반구형, 유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명창(54)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격판부재(70)와 투명부재(50)의 양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34)이 각각 형성된다.
즉,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설치된 포스트캡부재(30)를 분리하지 않고도 격판부재(70)와 투명부재(50)의 양단을 삽입홈(34)으로 삽입하여 안내홈(12)에 설치할 수 있으며, 안내홈(12)에 설치된 투명부재(50)와 격판부재(70)를 삽입홈(34)을 통하여 상측으로 빼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투명부재(50)와 다수개의 격판부재(70)로 분할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투시면적을 조절하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에 따른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안내홈(1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 이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홈(12)에 설치되는 수평봉부재(60), 그리고 수평봉부재(60)에 설치되는 장식부재(90)를 포함한다.
격판부재(70)는 양단이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안내홈(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16)이 관통되어 각각 형성된다.
수평봉부재(60)의 양단은 안내홈(12)에 형성된 삽입공(16)에 삽입되어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봉부재(60)는 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수평봉부재(60)가 도시되어 있다.
장식부재(90)는 구형상, 하트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등 어린이들이 친근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수평봉부재(60)에 다수개가끼워져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 설치하여 가시성 확보는 물론 딱딱한 이미지를 탈피하여 주위환경에 어울리는 외관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실시 예에 따른 펜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안내홈(1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를 포함한다.
격판부재(70)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76)와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78)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돌기(76)와 결합홈(78)은 삼각형, 반구형, 파형,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격판부재(70)에 형성된 결합돌기(76)와 결합홈(78)은 격판부재(70)가 안내홈(12)에 설치되면서 서로 끼워맞추어진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차단부재(20)는 밀폐형 담장으로 가시성은 확보할 수 없으나 외부로 부터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펜스는 포스트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안내홈에 차단부재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시공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차단부재의 수와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2)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설치공(14)이 형성되어 지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부재(10);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상기 포스트부재(10)들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0); 및
    상기 포스트부재(10)들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2)은 상기 포스트부재(10)의 4개 외부면에 대하여 안쪽으로 움푹들어가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2)은 상기 포스트부재(10)의 4개 외부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각도로 안쪽으로 움푹들어가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1)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하부면이 지면과 닿도록 설치되는 바닥부재(22);
    상기 바닥부재(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12)에 설치되는 중간부재(24); 및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8)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상기 중간부재(2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22), 상기 중간부재(24) 및 상기 상부부재(26)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캡부재(30)의 하부면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에는 상기 포스트부재(10)의 설치공에 끼움결합된 고정핀(18)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포스트캡부재(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3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하부부재(40); 및
    상기 하부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투명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40)의 전면에는 양각 문양이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안내홈(12)에 설치되는 하부부재(40); 및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공(16)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봉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안내홈(12)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70)의 상면과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7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판부재(70)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설치홈(72)에 패킹부재(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7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안내홈(12)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 및
    상기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홈(12)에 설치된투명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70)의 전면은 원호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안내홈(12)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 및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공(16)에 삽입되어 상기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봉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봉부재(60)에는 다수개의 장식부재(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다수개의 격판부재(70)를 구비하며, 상기 격판부재(70)의 상면과 저면에는 결합돌기(76)와 결합홈(78)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금속, 목재, 직물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펜스.
  19.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설치공(14)이 형성되어 지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부재(10);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1)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하부면이 지면과 닿게 설치되는 바닥부재(22);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부재(22)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설치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72)이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부재(70);
    상기 설치홈(72)에는 상기 격판부재(70)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패킹부재(80);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8)가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상기 격판부재(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부재(26);
    양단이 각각의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서 상기 상부부재(26)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투명부재(50); 및
    하부면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3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부재(10)의 설치공(14)에 끼움결합된 고정핀(18)이 상기 결합공(3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포스트부재(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포스트캡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KR20-2003-0029346U 2003-09-16 2003-09-16 조립식 펜스 KR200335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46U KR200335496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46U KR200335496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펜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074A Division KR20050027714A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496Y1 true KR200335496Y1 (ko) 2003-12-06

Family

ID=4934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346U KR200335496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4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7B1 (ko) * 2009-03-03 2010-03-18 (주)세종이엠에스 목재 울타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7B1 (ko) * 2009-03-03 2010-03-18 (주)세종이엠에스 목재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US4225120A (en) Multi-section fence
US5803438A (en) Plastic fencing
KR10050940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335496Y1 (ko) 조립식 펜스
KR20050027714A (ko) 조립식 펜스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JPH11141196A (ja) 木製フェンス
CN2222205Y (zh) 金属网柱式安全护栏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JPH0842199A (ja) 土木建築用付属構造物
KR200301016Y1 (ko) 천막
CN211691816U (zh) 一种建筑施工用围挡
CN219733001U (zh) 一种装配式篱笆墙结构
KR200400542Y1 (ko) 울타리 지주의 결합구조
JP2578585Y2 (ja) 合成樹脂製フェンス
KR101266186B1 (ko) 차광막 구조물
KR20210001580U (ko) 파고라
JP3541762B2 (ja) フェンス
KR200272631Y1 (ko) 다각 텐트의 설치가 용이한 프레임 연결구
JP6786863B2 (ja) 防風装置
KR200284974Y1 (ko) 펜스
KR20220131092A (ko) 곡면 경계판 구조체
JP4681838B2 (ja) サイン装置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