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83Y1 -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83Y1
KR200335383Y1 KR20-2003-0029826U KR20030029826U KR200335383Y1 KR 200335383 Y1 KR200335383 Y1 KR 200335383Y1 KR 20030029826 U KR20030029826 U KR 20030029826U KR 200335383 Y1 KR200335383 Y1 KR 200335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blower motor
noise
zener diod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동
김성회
김상덕
이대호
이경학
윤충은
박정주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9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H02H7/2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for controlled semi-conductors which are not included in a specific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7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는, 구동장치를 이용한 블로워모터의 작동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신호입력전압 및 각 모터의 고유한 전기적 특성과 PCB 패턴의 임피던스 특성으로부터 여기(exiting)되는 불안정한 노이즈 전압에 대해 모스에프이디(MOSFET)의 파손위험을 감소시키며, 잡음제거에 의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장치 내에 모스에프이티(MOSFET)의 게이트 입력단에 제너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제너다이오드 전류가 고려된 3개의 저항을 통한 임피던스 매칭을 통하여 제어신호의 안정 및 과도전류에 의한 모스에프이티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잡음제거를 통한 구동장치의 안정성 및 성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Apparatus driving blow-moto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제어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높은 신호입력 전압 및 모터와 구동회로의 패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전압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량 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온이나 저온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켜 온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온도제어를 위한 공기 유입은 블로워 팬(FAN)에 의해 수행되며, 이 팬(FAN)은 블로워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한 자동차용 블로워 모터 구동장치의 회로도로서, 신호인력단과 모스에프이티(17) 게이트단 사이에 제너다이오드(15) 및 제1저항(14)이 형성되고, 상기 블로워모터(12)와 모스에프이티(17) 드레인단 사이에 콘덴서(13)와 제2저항(16)이 연이어 접속되되 상기 콘덴서(13)와 제2저항(16) 사이는 상기 제1저항(14)과 모스에프이티(17) 게이트단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블로워모터는 배터리 전원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모스에프이티에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모터에 걸리는 전압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모터에 걸리는 전압의 조절을 위한 게이트 입력단의 전압신호 생성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비정상적인 입력신호 전압 및 모터와 패턴의 노이즈에 의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 FET)의 파손 및 성능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높은 입력신호 전압 및 노이즈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모스에프이티의 게이트단에 대하여 허용되는 전압범위에 머물도록 하면서 콘덴서 및 제너다이오드에 흐르는 미세 전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저항 등의 임피던스 매칭을 통한 잡음소거를 통해 안정된 구동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한 자동차용 블로워모터의 구동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한 자동차용 블로워모터의 구동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배터리 32 : 블로워모터
33 : 콘덴서 34 : 제1저항
35 : 제너다이오드 36 : 제2저항
37 : 모스에프이티 38 : 제3저항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는,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블로워모터를 제어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로의 신호입력단에 형성된 제1저항(34)과, 상기 제1저항(34)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모스에프이티(37)의 게이트단에 접속된 제3저항(38)과, 볼르워모터(32)와 모스에프이티(37)의 드레인단사이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저항(34)과 제3저항(38)사이에 접속된 콘덴서(33)와, 상기 콘덴서(33)에 접속된 제2저항(36)과, 상기 제3저항(38)과 콘덴서(33)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35)로 구성되어 상기 신호입력단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상전압 및 블로워모터(3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대해 모스에프이티(37)의 파손방지 및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1저항(34)은 0.001Ω ~ 10㏀에서 설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저항(34)과 제2저항(36)의 합이 1Ω ~ 150㏀에서 설정되고, 상기 제1저항(34)과 제3저항(38)의 합이 1Ω ~ 10㏀에서 설정됨이 바람직하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한 자동차용 블로워모터의 구동장치의 회로도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출력값 제어가 용이한 모스에프이티(37)를 적용한다.
이것은 종래의 파워트랜지스터에 비해 모스에프이티가 원하는 출력값을 얻기 위한 입력값의 설정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그만큼 블로워모터의 정밀제어가 용이해짐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모스에프이티는 파워트랜지스터에 비해 과열현상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고, 전류제어가 아닌 전압제어방식이므로 그 제어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31)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용 블로워모터(32)는 게이트에 영향을 주고 있는 3개의 저항(34,36,38)과 콘덴서(33) 및 제너다이오드(35)의 영향으로 결합되는 전압의 합에 의해 제어가 수행된다.
자동차용 블로워모터(32)의 작동에서 구동장치 외부의 제어기로부터 비정상적인 입력신호전압에 의해 게이트단에 그 영향이 가해져서 모스에프이티(37)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모터 특성 및 패턴 특성으로부터 발생되는 잡음에 의해 역시 모스에프이티(37)의 파손을 발생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드레인단의 잡음은 이 지점으로부터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외부제어기에 영향을 주어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입력신호에 대한 제너다이오드(35)의삽입 및 콘덴서(33)와 3개의 저항(34,36,38)을 통한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일반적인 자동차용 모터 및 구동회로 패턴으로부터 발생되는 잡음 전압에 대해 모스에프이티(37)를 보호한다. 이때, 상기 제너다이오드(35)는 신호 입력단에서 들어오는 과도한 제어전압 및 모터에서 나오는 노이즈를 정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 하는 실용신안의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척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는, 구동장치 내에 모스에프이티(MOSFET)의 게이트 입력단에 제너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제너다이오드 전류가 고려된 3개의 저항을 통한 임피던스 매칭을 통하여 제어신호의 안정 및 과도전류에 의한 모스에프이티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잡음제거를 통한 구동장치의 안정성 및 성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모스에프이티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블로워모터를 제어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로의 신호입력단에 형성된 제1저항(34);
    상기 제1저항(34)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모스에프이티(37)의 게이트단에 접속된 제3저항(38);
    볼르워모터(32)와 모스에프이티(37)의 드레인단사이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저항(34)과 제3저항(38)사이에 접속된 콘덴서(33);
    상기 콘덴서(33)에 접속된 제2저항(36);
    상기 제3저항(38)과 콘덴서(33)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35);
    로 구성되어 상기 신호입력단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상전압 및 블로워모터(3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대해 모스에프이티(37)의 파손방지 및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34)은 0.001Ω ~ 10㏀에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34)과 제2저항(36)의 합이 1Ω ~ 150㏀에서 설정되고, 상기 제1저항(34)과 제3저항(38)의 합이 1Ω ~ 10㏀에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KR20-2003-0029826U 2003-09-20 2003-09-20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KR200335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26U KR200335383Y1 (ko) 2003-09-20 2003-09-20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26U KR200335383Y1 (ko) 2003-09-20 2003-09-20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83Y1 true KR200335383Y1 (ko) 2003-12-06

Family

ID=4942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826U KR200335383Y1 (ko) 2003-09-20 2003-09-20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096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JP4529666B2 (ja) 負荷駆動装置及び負荷駆動制御方法
US8310296B2 (en) Driving transistor control circuit
JPS63255509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とこの種の冷却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06127455A (ja) 半導体素子制御装置
JP2007082374A (ja) 電源逆接続保護回路
US7271559B2 (en) Method and switching apparatus for recording the current in an electrical device
US20120215431A1 (en) Semiconductor device providing a current control function and a self shut down function
US20060165392A1 (en) Semiconductor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7060896A (ja) 電流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7323836B2 (en) Fan motor speed control circuit and voltage-regulating module thereof
US6812658B2 (en) Drive unit
JP2008067593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スイッチ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
JP4277912B2 (ja) 負荷駆動装置及び負荷駆動方法
KR200335383Y1 (ko) 자동차용 블로워모터 구동장치
KR100995485B1 (ko) 전기 드라이브의 과전류 검출 방법
JP6011454B2 (ja) 負荷駆動回路
KR200335384Y1 (ko) 자동차용 블로워 모터 구동장치
JP5583285B2 (ja) スタータ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EP0606746B1 (en) A circuit for increasing the breakdown voltage of a bipolar transistor
JP2003198277A (ja) Mosトランジスタ出力回路
JP4012524B2 (ja) 逆循環保護回路
JP3818230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3897235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20040046385A (ko) 차량의 블로어 팬모타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