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70Y1 - 음식물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70Y1
KR200335270Y1 KR20-2003-0029645U KR20030029645U KR200335270Y1 KR 200335270 Y1 KR200335270 Y1 KR 200335270Y1 KR 20030029645 U KR20030029645 U KR 20030029645U KR 200335270 Y1 KR200335270 Y1 KR 200335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food
bind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량
Original Assignee
이재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량 filed Critical 이재량
Priority to KR20-2003-0029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아 보관하는 합성수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의 형성시 발생되는 우그러짐을 방지하도록 용기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 결착부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착이 되는 음식물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며, 플라스틱 사출로서 제조되며 하부에 음식물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열려진 부분을 밀폐시키는 뚜겅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2)의 측면 상부 둘레에 보강테두리(8)를 형성하되, 상기 보강테두리(8)를 외부로 돌출시켜 하측에 결착홈(11)을 형성하여서 길게 결착부(10)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1)에 형성된 잠금날개(3)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부(4)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4)의 내측 일부에 다수개의 결착돌기(5)를 직각으로 형성하며, 상기 뚜겅(1)의 둘레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13)의 안쪽 둘레에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지지부(12)를 절곡부(13)의 길이보다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밀폐용기 {An air-tight receptacle for food and drink}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아 보관하는 합성수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가 형성될 때 발생되는 우그러짐을 방지하도록 용기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보강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에 결착부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착이 되는 음식물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의 구조는 하부의 용기와 상부의 뚜껑이 서로 밀폐되도록 결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착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사출 성형되어 완성되는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정확한 치수로 제조를 하더라도 용기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우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럴 경우 종래의 용기에서 볼 수 있는 용기의 테두리 부분의 일부에 형성된 결착돌기와 뚜껑에 형성된 날개부의 결착홈이 맞지 않아 제대로 결합하기 힘든 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밀폐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뚜껑부분의 잠금날개에 형성되는 사각구멍은 고정턱이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흠이 생기고 간결 깨끗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된 음식물 밀폐용기의 하부 용기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보강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테두리를 외측으로 연장하여 생기는 결착홈으로 결착부를 형성하여 뚜껑과의 결착뿐만 아니라 용기의 테두리 상부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밀착이 되도록 하며, 기존에 금형사출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여 깨끗하고 깔끔하게 처리된 밀폐용기를 제공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로서 제조되며 하부에 음식물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열려진 부분을 밀폐시키는 뚜겅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면 상부 둘레에 보강테두리를 형성하되, 상기 보강테두리를 외부로 돌출시켜 하측에 결착홈을 형성하여서 길게 결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 일부에 다수개의 결착돌기를 직각으로 형성하며, 뚜겅의 둘레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의 안쪽 둘레에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지지부를 절곡부의 길이보다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밀폐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밀폐용기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밀폐용기의 용기부를 하면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밀폐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뚜껑 2 : 용기
3 : 잠금날개 4 : 돌출부
5 : 결착돌기 6 : 패킹
7 : 불투명부 8 : 보강테두리
9 : 불투명부 10 : 결착부
11 : 결착홈 12 : 내측지지부
13 : 절곡부 14 : 사각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밀폐용기는 대부분 플라스틱 사출로서 제조되며 그 형태는 하부에 음식물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열려진 부분을 밀폐시키는 뚜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2)의 측면 상부 둘레에 보강테두리(8)를 형성하되, 상기 보강테두리(8)를 각각의 면에서 외부로 돌출시켜 하측에 결착홈(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착홈(11)이 형성된 결착부(10)는 단면 형상이 ㄱ자 형으로 이러한 결착부(10)가휘기 쉬운 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운데의 휨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1)에 형성된 잠금날개(3)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부(4)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4)의 내측 일부에 다수개의 결착돌기(5)를 직각으로 형성한다. 상기 잠금날개(3)는 사각형 형상의 용기일 경우 4개가 각각의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날개(3)의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부(4)는 잠금날개(3)의 내측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결착하기 위하여 접었을 경우 상기 돌출부(4)와 뚜껑의 상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돌기(5)는 상기 뚜껑을 향하여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뚜껑(1)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패킹(6)이 삽입되어 용기의 상단부와 밀착하여 밀폐력을 높인다. 용기(2)의 상단 내측 둘레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뚜껑(1)에 내측지지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1)의 외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13)와 상기 내측지지부(12)의 사이에 전술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지지부(12)는 상기 절곡부(13)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렇게 길게 형성된 내측지지부(12)가 용기(2)의 상단 내측 둘레를 지지하여 용기가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함으로 결착력과 밀폐력이 증대된다.
그리고 절곡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 내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1)의 잠금날개(3)에는 사각홀(14)이 형성된다. 상기 사각홀(14)은 전술한 결착돌기(5)를 용이하게 금형사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착돌기(5)에 접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한다. 그 크기는 상기 결착돌기(5)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한다. 종래의 용기에서 형성되는 사각구멍은 걸림턱이 삽입되어 구멍에 걸리도록 하는 고정 구조이지만 본 고안에서의 사각홀(14)은 사출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금형 부품이 간소화되고 제작공정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러한 사각홀(14)이 없이 금형을 만들면 금형사출이 매우 어렵고 깔끔하고 깨끗하게 처리되기 힘들다.
그리고 기존의 방식대로 사각구명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하게 되면 기존 턱부분이 걸린만큼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흠이 생기고 간결, 깨끗하지 못하다.
상기 용기의 측면 상부의 대부분의 면에 결착부(10)를 형성하므로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의 결착돌기(5)가 쉽게 결착부(10)에 결착되므로 용기의 변형이나 뚜껑에 형성되는 결착돌기(5)의 제조 오차에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결착부를 형성하므로 용기의 형상이 직사각형, 사각형, 삼각형 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각형과 원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기(2)의 하면과 벽면에 불투명부(9)를 형성하고, 뚜껑(1)의 일부를 불투명부(7)로 형성한다. 대부분 음식물을 보관하는 밀폐용기 이므로 될 수 있으면 직사광선이나 내용물을 쉽게 알아 볼 수 없게 만드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용기 상부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보강테두리를 형성한상태에서 상기 보강테두리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결착부를 형성하므로 용기 테두리 상부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결착부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잠금날개의 결착돌기가 형성되는 위치의 오차에 관계없이 잘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뚜껑에 형성된 내측지지부는 용기의 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주기 때문에 결착력과 밀폐력이 증대되며, 뚜겅의 절곡부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용기의 내측벽면을 가이드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뚜껑에 형성되는 사각홀은 금형사출을 간편하게 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사출된 제품이 깨끗하고 깔끔하게 처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제작공정이 간소화되고 경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4)

  1. 플라스틱 사출로서 제조되며 하부에 음식물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열려진 부분을 밀폐시키는 뚜겅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2)의 측면 상부 둘레에 보강테두리(8)를 형성하되, 상기 보강테두리(8)를 외부로 돌출시켜 하측에 결착홈(11)을 형성하여서 길게 결착부(10)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1)에 형성된 잠금날개(3)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부(4)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4)의 내측 일부에 다수개의 결착돌기(5)를 직각으로 형성하며, 뚜겅(1)의 둘레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13)의 안쪽 둘레에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지지부(12)를 절곡부(13)의 길이보다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의 하면과 벽면에 불투명부(9)를 형성하고, 뚜껑(1)의 일부를 불투명부(7)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밀폐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와 뚜껑(1)이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밀폐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와 뚜껑(1)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밀폐용기.
KR20-2003-0029645U 2003-09-18 2003-09-18 음식물 밀폐용기 KR200335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45U KR200335270Y1 (ko) 2003-09-18 2003-09-18 음식물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45U KR200335270Y1 (ko) 2003-09-18 2003-09-18 음식물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70Y1 true KR200335270Y1 (ko) 2003-12-06

Family

ID=4942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645U KR200335270Y1 (ko) 2003-09-18 2003-09-18 음식물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18845B2 (en) Container body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090096058A (ko) 적층형 보관용기
MX2011011212A (es) Ensamble de envase que tiene accesorios de apilamiento.
CN206050440U (zh) 一种双材质密封盖及含有该密封盖的密封盒
JP5879340B2 (ja) 予め湾曲した蓋を有する容器
US3446391A (en) Plastic container tape seal structure
BR112016028514B1 (pt) Estrutura de tampa, e embalagem
WO2019196349A1 (zh) 一种食品容器
KR200335270Y1 (ko) 음식물 밀폐용기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JP5517236B2 (ja) 容器密閉構造
KR20140002817U (ko) 용기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CN109641694B (zh) 以注塑成型技术制造的蛋包装
JP4610318B2 (ja) 包装用容器蓋、包装用容器及び食品包装体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EP3025872B1 (en) Case for covering the bristles of a paint brush
KR200236969Y1 (ko) 식품용기 뚜껑
KR200368639Y1 (ko) 계란보관용기
ES2956335T3 (es) Recipiente apilable
JPS6335972Y2 (ko)
JP2001139045A (ja) シート成形された包装用容器の蓋体
JP4803325B2 (ja) 気密性カード状振り出し容器
CN212023453U (zh) 一种茶叶饼盒
CN208746617U (zh) 一种内衬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