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18Y1 - 용강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용강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18Y1
KR200334818Y1 KR20-1999-0012278U KR19990012278U KR200334818Y1 KR 200334818 Y1 KR200334818 Y1 KR 200334818Y1 KR 19990012278 U KR19990012278 U KR 19990012278U KR 200334818 Y1 KR200334818 Y1 KR 200334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nozzle
top nozzle
hole
steel l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772U (ko
Inventor
우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9-0012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1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용강 레이들의 저면에 설치되는 톱 노즐의 구멍이 마모된 상태를 외부에서 즉시 알 수 있도록 톱 노즐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원형상의 굴곡진 홈 및 돌출부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용강 레이들이 고열상태인 경우에도 외부에서 톱 노즐의 마모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판독 시간의 단축과 판독의 정확성을 증대셔 불필요하게 톱 노즐을 교체하거나 또는 적시에 톱 노즐을 교체함으로 용강이 유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 주입 장치{Apparatus of pouring ingot steel}
본 고안은 용강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 제강, 제선 분야의 용강 생산에서 용강 레이들 내의 쇳물을 연속주조, 강괴로 제조하기 위하여 용강을 레이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턴디쉬(tundish)로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강 레이들의 저면에는 용강을 턴디쉬로 주입하기 위한 톱 노즐이 설치된다. 이 톱 노즐은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용강이 턴디쉬로 주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마모가 발생하여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톱 노즐의 내경이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톱 노즐을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톱 노즐을 교체하는 경우에 톱 노즐의 마모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스틸자를 이용하여 마모직경을 측정한다. 그리고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에 톱 노즐의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들의 표면이 고온 상태에서 톱 노즐의 마모직경을 육안 또는 스틸자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에 레이들의 표면 고온으로 인한 측정오차가 발생하여 사용가능한 톱노즐을 폐기처리하거나, 교체하여할 톱 노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 용강 유출 사고등의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강 주입구 직경 마모 상태를 측정할 때, 육안으로도 직경 마모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용강 유출 등의 대형 사고나 레이들 표면의 고열로 인한 측정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용강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강 래이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강 레이들 3 : 톱 노즐 5 : 카셋트
7 : 롱 노즐 11 : 구멍 13, 17 : 홈
15, 19 : 돌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용강 레이들과;
상기 용강 레이들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용강 레이들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육안으로 구멍의 직경 마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저면에 축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직경이 다른 다수의 굴곡진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톱 노즐과;
상기 톱노즐 하단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용강유출구멍을 맞추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톱노즐의 구멍을 개폐하는 카셋트;
상기 카세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강이 상기 턴디쉬로 원할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롱 노즐;
을 포함하고 있는 용강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용강 레이들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 단면도로,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용강 레이들(1)과, 상기한 용강 레이들(1)의 하단에 장착되는 톱 노즐(3)과, 상기 톱 노즐(3)을 통하여 턴디쉬(도시생략)로 용강이 선택적으로 주입되도록 제어되는 카셋트(5)와, 상기 카셋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롱 노즐(7)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용강 레이들(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이 내열 연와(9)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면 일측에 용강을 턴디쉬에 주입하기 위한 톱 노즐(3)이 결합된다.
상기 톱 노즐(3)은, 도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멍(11)이뚫려져 용강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강 레이들(1)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강은 이 톱 노즐(3)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톱 노즐(3)은 하부 저면에 구멍의 중심에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홈(13)과 돌출부(15)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3)과 돌출부(15)는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구멍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로, 도 3의 경우에 있어서는 굴곡진 홈(13)과 돌출부(15)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하여,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는 홈(17)과 돌출부(19)가 90。의 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의 경우는 모양만 다른 뿐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한 톱 노즐(3)의 하단에는 카세트(5)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카셋트(5)는 상부플레이트와 이 상부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톱 노즐(3)의 저면에 몰탈 등의 실링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따라서 하부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용강유출구멍을 상호 일치되거나 엇갈리게 함으로써면 톱노즐(3)의 구멍(11)이 오픈 또는 차단되어 용강 레이들(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강이 톱 노즐(3)의 구멍(11)을 통하여 턴디쉬로 주입되는 것이다.
상기 톱 노즐(3)과 가셋트(5)가 실링재에 의하여 결합될 때, 톱 노즐(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3, 17) 및 돌출부(15, 19)에 의하여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실링 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카셋트(5)의 하부에는 용강 레이들(1)의 용강이 톱 노즐(3)을 통과하여 턴디쉬로 배출될 때 용강을 안내하기 위한 롱 노즐(7,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음)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톱 노즐(3)은, 용강이 용강 레이들(1)에서 톱 노즐(3)의 구멍(11) 및 롱 노즐(7)을 통하여 턴디쉬로 주입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구멍(11)이 마모되어 구멍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강 레이들(1)을 안착 스탠드(도시생략)에 안착시킨 후 카셋트(5)를 분리하면 톱 노즐(3)의 저면이 보인다. 이때 톱 노즐(3)에 형성되어 있는 홈(13, 17) 및 돌출부(15, 19)의 남은 개수를 확인하면 별도의 측정기구 없이도 쉽게 톱 노즐(3)의 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이하게 톱 노즐(3)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카셋트(5)와 결합시에 실링부재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열 상태에서 톱 노즐 구멍의 직경 마모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 톱 노즐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 홈 또는 돌출부를 판독함으로서 간단하게 기준치 비교가 가능하여 판독 시간이 단축되며, 판독의 정확도가 증대되어 톱 노즐을 불필요하게 교체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용강의 누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정정)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용강 레이들과;
    상기 용강 레이들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용강 레이들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육안으로 구멍의 직경 마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저면에 축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직경이 다른 다수의 굴곡진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톱노즐;
    상기 톱노즐 하단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용강유출구멍을 맞추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톱노즐의 구멍을 개폐하는 카셋트;
    상기 카셋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강이 상기 턴디쉬로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롱노즐;
    을 포함하고 있는 용강 주입 장치
KR20-1999-0012278U 1999-06-30 1999-06-30 용강 주입 장치 KR200334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78U KR200334818Y1 (ko) 1999-06-30 1999-06-30 용강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78U KR200334818Y1 (ko) 1999-06-30 1999-06-30 용강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72U KR20010001772U (ko) 2001-01-26
KR200334818Y1 true KR200334818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78U KR200334818Y1 (ko) 1999-06-30 1999-06-30 용강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72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847A (en) Sliding gate nozzles
KR101757073B1 (ko) 다이캐스팅 온도측정장치
FI61419C (fi) Skjutport foer en gjutoeppning foer smaelt metall
KR200334818Y1 (ko) 용강 주입 장치
GB2213412A (en) Refractory valve plate for sliding gate valve
KR20140022418A (ko) 용융 금속을 전달하기 위한 내화 요소, 조립체 및 턴디쉬
US10183326B2 (en) Slab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101826386B1 (ko)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용기의 스파우트 상의 미끄럼 밀폐부 및 밀폐 플레이트
CN108778564B (zh) 喷嘴结构体
JP200403409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CA2083217A1 (en) Valve plate for a sliding gate valve on a vessel containing metal melt
KR100954934B1 (ko) 침지노즐 센터링 장치
CN215492677U (zh) 取样装置
CN212419620U (zh) 一种标定检测中间包的简易装置系统
US5178780A (en) Device for closing the pouring hole of a receptacle for liquid metal
KR20070115419A (ko) 레이들의 톱노즐 구조
ZA200609392B (en) Slide plate
KR19980051078A (ko) 쌍롤형 박판 주조용 용강누출 방지장치
JP4044649B2 (ja) ポーラスプラグ
EP0400257B1 (en) Slide gate valve made of a refractory material for metallurgical vessels
JP2674192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10064701A (ko) 래들의 노즐 내경 세척 및 측정장치
JPH04350362A (ja) 燃料噴射弁
JP6105189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0902215B1 (ko) 연주용 침지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