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551Y1 -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551Y1
KR200334551Y1 KR20-2003-0028054U KR20030028054U KR200334551Y1 KR 200334551 Y1 KR200334551 Y1 KR 200334551Y1 KR 20030028054 U KR20030028054 U KR 20030028054U KR 200334551 Y1 KR200334551 Y1 KR 200334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assembly
fitted
suppor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 현대아트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현대아트모아 filed Critical (주) 현대아트모아
Priority to KR20-2003-0028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4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립구에 상부에서 지주관을 끼우고 하부에서 받침대를 장착하여 와셔가 끼워진 체결부재로 체결할 때, 조립구에 와셔홈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로 조립구에 지주관과 받침대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는 다수의 받침대가 조립구의 하부에 끼워지고 지주관이 조립구의 상부에 끼워져, 와셔가 끼워진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의 하부에는 와셔홈이 형성되어 지주관의 하부에 고정되게 압입된 너트에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와셔가 와셔홈에 끼워져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구의 하부에 와셔홈을 형성하여 하부의 받침대와 상부의 지주관을 체결부재를 이용해 나사결합하여 조립구에 일체로 조립하되, 와셔홈에 와셔가 장착되게 하고 받침대가 외부의 지지외벽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력을 높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assembly structure of stand for mannequin}
본 고안은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립구에 상부에서 지주관을 끼우고 하부에서 받침대를 장착하여 와셔가 끼워진 체결부재로 체결할 때, 조립구에 와셔홈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로 조립구에 지주관과 받침대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자인된 옷의 피알(P.R)을 위해 마네킹에 옷을 입혀 쇼 윈도우나 상점에 진열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전시효과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마네킹 고정에 사용되는 스탠드에 대해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2142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된 마네킹용 스탠드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걸고리가 형성된 4개의 분할 지지각을 상호 결합하는 구성으로, 분할 지지각이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285040호에 마네킹용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다리(52)가 상부 틀체(61)와 하부 틀체(71)에 고정되고, 상부 틀체 (61)의 상부에 마네킹 지지대(81)가 볼트(91)에 의해 고정된 마네킹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다리(52)는 상대적으로 수평폭(t)에 비해 수직폭(s)이 넓으며, 상단부 (53)와 하단부(54) 사이에 유선의 만곡 굴곡부(55)가 형성되고, 상단부(53)의 상면에 홈(56)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53)의 하면에 단턱부(57)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틀체(61)는 3개의 끼움홈(62) 사이에 오목한 만곡부(63)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62)에 돌기부(64)가 형성되며, 중앙에 볼트(91)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6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틀체(71)는 상부 틀체(6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3개의 끼움홈(72) 사이에 만곡부(73)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볼트(91)를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 (74)이 형성되고,
상기 마네킹 지지대(81)는 파이프 형태로 하단에 볼트(91)에 체결되는 너트 (82)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마네킹용 스탠드를 조립하는 경우, 다리(52)를 상부 틀체(61)의 끼움홈(62)에 각각 끼우고 하부 틀체(71)의 끼움홈(72)에 각각 끼운 후, 볼트(91)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하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틀체(61)의 하면과 하부 틀체(71)의 상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바, 접촉면이 맞물리거나 홈 등에 장착하지 못하고 평평한 상태에서 서로 조립되기 때문에 결합력이 떨어져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해 다리가 외측 방향으로 밀릴 때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디는 힘에 있어서, 상부 틀체(61)와 하부 틀체(71)의 끼움홈(62,72)이 모두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리(52)에 형성된 홈(56)과 상부 틀체(61)의 끼움홈(62)에 형성된 돌기부(64)에 의해 지지됨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구의 하부에 와셔홈을 형성하여 하부의 받침대와 상부의 지주관을 체결부재를 이용해 나사결합하여 조립구에 조립할 때 와셔홈에 와셔가 장착되게 하고 받침대가 외부의 지지외벽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력을 높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받침대가 조립구의 하부에 끼워지고 지주관이 조립구의 상부에 끼워져, 와셔가 끼워진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의 하부에서 분할되게 아래로 돌설된 다수개의 지지외벽의 길이가, 상기 지지외벽 내부의 조립구 하부에서 아래로 돌설된 삼각형의 지지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생긴, 지지외벽 내부에 있는 지지부 하부의 공간에 의해 다각형의 와셔홈이 형성되어,
지주관의 하부에 고정되게 압입된 너트에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와셔가 와셔홈에 끼워져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마네킹용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마네킹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네킹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조립된 마네킹용 스탠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구 13 : 지지외벽
14 : 지지부 15 : 체결공
17 : 사다리꼴 홈 18 : 와셔홈
20 : 받침대 21 : 사다리꼴 돌기
22 : 굴곡부 30 : 지주관
32 : 너트 40 : 체결부재
50 : 와셔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네킹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조립된 마네킹용 스탠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받침대(20)가 조립구(10)의 하부에 끼워지고 지주관(30)이 조립구(10)의 상부에 끼워져 와셔(50)가 끼워진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중간 부위에 완만하게 굽은 굴곡부(22)가 형성되고, 상부의 끝단부에는 측방으로 사다리꼴 모양의 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10)는 상부 중앙에 지주관(30)이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조립구(10)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단턱이 형성되어 지주관(30)이 단턱에 걸리게 된다.
조립구(10)의 외관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만곡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지지외벽(13)이 분할되게 아래로 돌설되고 그 중앙에는 삼각형상의 지지부(14)가 아래로 돌설된다.
상기 지지부(14)에는 체결부재(40)가 관통하는 체결공(15)이 형성되고 상부의 구멍과 연통된다.
상기 지지외벽(13)과 지지부(14)에 의해 생긴 공간부가 외측이 좁은 사다리꼴 모양의 홈(17)이 되어 받침대(20)의 사다리꼴(21) 돌기가 삽입된 후 외측으로는 빠져 나가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외벽(13)의 하부로 돌설된 길이를 지지부(14)의 돌설된 길이보다 길게 해서 생긴 지지외벽(13) 내부에 있는 지지부(14) 하부의 공간이 와셔(50)가 장착되는 와셔홈(18)이 되게 하되, 와셔홈(18)의 형상이 하부에서 보았을 때 각이 진 다가형이 되도록 하여 충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와셔홈(18) 내에만 와셔(50)가 위치하면 와셔(50)가 공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관(30)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32)가 압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마네킹용 스탠드는 아래와 같이 조립된다.
조립구(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1)을 통해 너트(32)가 압입된 부분을 아래로 하여 지주관(30)을 단턱에 걸릴 때 까지 삽입한다.
3개 받침대(20)에 형성된 사다리꼴 돌기(21)를 지지외벽(13)과 지지부(14)에 의해 형성된 사다리꼴 홈(17)에 아래에서 상부로 끼워 고정한다.
이때 사다리꼴 홈(17)이 중앙은 넓고 외부는 좁은 형상이므로 즉, 받침대(20)가 지지외벽(13)에 의해 밖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되므로 고정된 후 받침대(20)의 흔들림이 없다.
이후 체결부재(40)에 와셔(50)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부재(40)를 체결공(15)에 끼운 후, 지주관(30)의 하부에 압입된 너트(32)에 나사결합하므로서, 조립구(10)에 받침대(20)와 지주관(30)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받침대(20)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와셔(50)가 각이 진 와셔홈(18)에 장착되어 체결부재(40)로 결합되므로 와셔(50)가 평평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보다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네킹용 스탠드는 조립할 때 지주관(30)을 조립구(10)의 상부에서 끼우고 받침대(20)를 조립구(10)의 사다리꼴 홈(17)에 고정한 후, 체결부재(40)를 이용하여 지주관(30)과 받침대(20)를 조립구(1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종래 상부 틀체와 하부 틀체에 형성된 끼움홈에 다리를 각각 끼워 고정하는 것보다 더 간단하게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와셔홈(18)에 와셔(50)가 장착되어 결합되고, 받침대(20)가 지지외벽(13)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구의 하부에 와셔홈을 형성하여 하부의 받침대와 상부의 지주관을 체결부재를 이용해 나사결합하여 조립구에 일체로 조립하되, 와셔홈에 와셔가 장착되게 하고 받침대가 외부의 지지외벽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력을 높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받침대가 조립구의 하부에 끼워지고 지주관이 조립구의 상부에 끼워져, 와셔가 끼워진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의 하부에서 분할되게 아래로 돌설된 다수개의 지지외벽의 길이가, 상기 지지외벽 내부의 조립구 하부에서 아래로 돌설된 삼각형의 지지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생긴, 지지외벽 내부에 있는 지지부 하부의 공간에 의해 다각형의 와셔홈이 형성되어,
    지주관의 하부에 고정되게 압입된 너트에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와셔가 와셔홈에 끼워져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KR20-2003-0028054U 2003-09-01 2003-09-01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KR200334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54U KR200334551Y1 (ko) 2003-09-01 2003-09-01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54U KR200334551Y1 (ko) 2003-09-01 2003-09-01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551Y1 true KR200334551Y1 (ko) 2003-11-28

Family

ID=4942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054U KR200334551Y1 (ko) 2003-09-01 2003-09-01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58U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58U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KR200487788Y1 (ko)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4551Y1 (ko) 마네킹용 스탠드의 결합구조
KR200397511Y1 (ko) 행거 조립체
JP420565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KR200366186Y1 (ko) 스탠드 옷걸이의 결합구조
KR200258351Y1 (ko) 테이블 조립구조
CN215190650U (zh) 外插式鞋托结构
KR200291211Y1 (ko) 책장
JPS5927088Y2 (ja) 機器取付枠
JP4383928B2 (ja) 高さ変更可能な間仕切装置
KR200396802Y1 (ko) 행거용 수평봉의 고정구
KR200237581Y1 (ko) 선반받침대의 지지장치
KR200348222Y1 (ko) 포스트용 브라켓
KR200332577Y1 (ko) 내구재 결합용 브라켓
JP2666885B2 (ja) 支柱の脚取付装置
JPH0715927Y2 (ja) 伸縮継手装置
KR960010636Y1 (ko) 테이블 지지대
JPH0340202Y2 (ko)
KR200267622Y1 (ko) 펜스 고정장치
KR200230020Y1 (ko) 옷걸이의 받침장치
KR200254625Y1 (ko) 커텐설치용 지지바의 마감부재
KR100363954B1 (ko) 옷걸이용 걸이봉 연결구
JPS602833Y2 (ja) コ−ナ−用組立棚
KR0118468Y1 (ko) 테이블 받침대
KR200249945Y1 (ko) 문틀용 힌지
KR200234007Y1 (ko) 포스트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