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825Y1 -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825Y1
KR200333825Y1 KR20-2003-0027345U KR20030027345U KR200333825Y1 KR 200333825 Y1 KR200333825 Y1 KR 200333825Y1 KR 20030027345 U KR20030027345 U KR 20030027345U KR 200333825 Y1 KR200333825 Y1 KR 200333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ld air
external air
ai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섭 filed Critical 김진섭
Priority to KR20-2003-0027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이 형성되고, 냉장고 내부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냉장고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와 격벽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으로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외부공기토출덕트로 형성된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냉장고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냉장실의 냉기를 외부로 방출됨이 없이 냉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고, 냉장실 외부공기를 냉장실 전방으로 토출함으로서 냉장실 외부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ON OF EXTERNAL AIR INFLUX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장고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이 형성되고, 냉장고 내부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냉장고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와 격벽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으로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외부공기토출덕트로 형성된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도시 않함)는 냉장고문을 열면 냉장실 내부의 전등이 켜지고, 냉장고 본체의 냉기발생장치(도시 않함)가 정지되어 냉장실 내부 후부에 설치된 냉장실 내부의 냉기토출구(도시 않함)를 통해 냉장실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일반적인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문이 열려 있는 동안 냉장고 안에 있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고내로 유입되어 냉장고내의 내부온도가 상승되게 된다. 그 결과 냉장고문을 닫게 되면 냉장고 내부의 상승된 온도를 다시 설정된 적정 냉장온도로 하강시키기 의해 냉장고 본체 내부에 구비된냉기발생장치(도시 않함)를 오랜시간 다시 가동시켜 냉장고 내부온도를 하강시켜야 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
그래서, 냉장고문이 열려 있는 동안 외부로 유출되는 냉기의 양 및 냉장고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더운 공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 개선된 종래의 냉장고 냉기유출방지장치(도시 않함)로는 냉장실 입구 전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냉장고 본체의 냉기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토출시켜 냉기차단층을 형성시킴으로서 냉장실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 냉기유출방지장치는 냉장고문이 열린 상태에서도 냉장고 본체 내부의 냉기발생장치를 계속적으로 가동시켜 냉기를 토출시키는 구조로 비록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냉장고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냉장고 본체의 냉기발생장치를 계속적으로 가동시켜 냉기를 토출하여야 냉기차단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냉장고문을 닫아 놓은 상태에 비해서 보다 많은 전력소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입구 전면에서 수직으로 토출시켜 냉기차단층을 형성시키는 구조는 외부의 더운 공기의 유입을 계속적으로 막기 위해서 냉장고 본체 내부의 냉기발생장치를 가동시켜 생성된 냉기를 계속적으로 하방으로 유출시키는 구조로 많은 냉기유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냉장고 본체의 냉기발생장치(도시 않함)가 정지되는 절전 상태에서, 보다 적은 전력이 소비되는 냉기순환덕트 내부의 냉기순환팬 및 외부공기토출덕트 내부의 외부공기토출팬을 작동시킴으로서 냉장고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냉장실의 냉기를 외부로 방출됨이 없이 냉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고, 냉장실 외부공기를 냉장실 전방 안쪽방향으로 토출함으로서 냉장실 외부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는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냉장고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이 형성되고, 냉장고 내부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냉장고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와 격벽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으로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외부공기토출덕트로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의 일예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냉기순환덕트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외부공기토출덕트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1의 냉기토출공 및 외부공기토출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5는 도4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냉장고 2. 냉장실문
3. 자석패드
10.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20. 냉기순환덕트 21. 냉기흡입공
22. 냉기순환팬 23. 냉기흡입통로
24. 냉기토출통로 25. 냉기토출공
26. 냉기안내편
30. 격벽
40. 외부공기토출덕트 41. 외부공기토출공
42. 외부공기유입구 43. 외부공기토출팬
44. 외부공기토출통로 45. 외부공기안내편
50. 음이온발생부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는 냉장고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이 형성되고, 냉장고 내부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냉장고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Fan)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기순환덕트(Duct)와, 상기 냉기순환덕트와 격벽(Partial Wall)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으로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외부공기토출덕트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냉기순환덕트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외부공기토출덕트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10)는 냉장고(1) 본체 전면부 양측벽의 내부에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냉기순환덕트(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냉기순환덕트(20)와 격벽(30)으로 분리되어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장고(1) 본체 양측벽 전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외부공기토출덕트(4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냉기순환덕트(20)와 외부공기토출덕트(40)가 분리되는 격벽(30)은 단열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 냉기순환덕트(20) 및 외부공기토출덕트(40)는 냉장실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냉기순환덕트(20) 및 외부공기토출덕트(40)는 냉동실 및 냉장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덕트(20)는 냉장실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21)이 형성되고, 냉장실 내부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21)으로 흡입되어 순환되도록 냉장실문(2)과 연동되어 냉장실문(2)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22)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냉기순환팬(22)은 모터(도시 않함)와 연결되어 상기 냉기순환덕트(2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어 냉장실 내부로부터 흡입된 냉기가 냉기흡입통로(23)를 따라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흡입공(21)은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냉장실 양측 내벽 하방으로 흐르면서 흡입되도록 상협하광 형상으로 통공된다.
또한, 상기 냉기순환덕트(20)는 상기 냉장실 양측 내벽의 냉기흡입공(21)을 통해 흡입된 냉기가 냉기흡입통로(23) 및 냉기토출통로(24)를 통과해 상기 냉장실 상부로부터 직하방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냉장고 상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토출공(25)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순환덕트(20)는 냉기흡입통로(23) 및 냉기토출통로(24)로 연결되어 냉기흡입공(21)을 통해 냉기가 유입되어 냉기토출공(25)으로만 유입된 냉기가 토출되고, 하부는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냉기순환덕트(20)는 냉장고 상측 내벽 일측에 냉기토출통로(24)및 냉기토출공(25)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냉기순환덕트(20)의 냉기흡입통로(23)를 냉장실 내부 후부에 설치된 냉기토출구(도시 않함)로 연결하여 흡입된 냉기를 냉장실 후부를 통해 토출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는 상기 냉기순환덕트(20)와 격벽(30)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1)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공기유입구(4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토출공(41)으로 토출되도록 냉장실문(2)과 연동되어 냉장실문(2)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43)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는 하부가 통공되어 외부공기토출공(41)이 형성되고, 상부는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공기토출팬(43)은 모터(도시 않함)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어 냉장고(1) 외부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가 외부공기토출통로(44)를 따라 상방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외부공기토출팬(43)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어 상기 외부공기토출공(41)을 통해 외부공기와 함께 음이온이 토출되도록 음이온발생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음이온발생부(50)는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벽에 음이온 발생 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고,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부 일측에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도1의 냉기토출공 및 외부공기토출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종단면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기흡입공(21)은 냉장실 양측 외부방향으로 냉기안내편(26)이 절곡되도록 통공된다. 따라서 냉장실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안내편(26)을 따라 냉기순환덕트(20) 내부의 냉기흡입통로(44)로 흡입된다.
상기 외부공기토출공(41)은 냉장실 양측 외부방향으로 외부공기안내편(45)이 절곡되도록 통공된다. 따라서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부의 외부공기토출통로(4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안내편(45)을 따라 외부공기토출공(41)을 통해 냉장실 전면 입구 안쪽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냉장고(1)의 냉장실문(2)을 열면, 냉장실문 개폐스위치(도시않함)와 연동된 냉장실 내부의 전등(도시않함)이 켜지고, 냉장고(1) 본체 내부의 냉기발생장치(도시않함)가 정지됨에 따라 냉기발생장치(도시않함)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의 냉장실 공급이 중단된다.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10)의 냉기순환덕트(20)와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부의 냉기순환팬(22) 및 외부공기토출팬(43)과 연결된 모터(도시않함)의 구동에 의해 냉기순환팬(22)과 외부공기토출팬(43)이 작동된다.
상기 냉기순환덕트(20) 내부의 냉기순환팬(22) 작동에 의해 냉장실 내부의냉기가 상기 냉장실 전방 양측 내벽에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된 냉기흡입공(21)의 냉기안내편(26)을 따라 냉기순환덕트(20) 내부로 흡입되어 냉기흡입통로(23)를 따라 상방으로 흘러 냉장고 상부 내벽에 형성된 냉기토출공(25)을 통해 하방으로 토출되고, 상기 하방으로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 내부의 냉기와 함께 다시 냉기흡입공(21)을 통해 유입되어 순환된다.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부의 외부공기토출팬(43) 작동에 의해 냉장고 외부공기가 외부공기토출덕트(40) 하부의 외부공기유입구(42)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공기토출통로(44)를 통해 상방으로 흘러 상기 냉장실 전방 양측 내벽 전면에 형성된 외부공기토출공(41)의 외부공기안내편(45)을 따라 냉장실 입구 전방 안쪽방향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외부공기토출덕트(40) 내부 일측에 구비된 음이온발생부(50)를 통해 음이온이 함유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입구 전방 안쪽방향으로 토출되는 음이온이 함유된 더운 외부공기는 상기 냉장실 상부의 냉기토출공(25)을 통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면서 다시 상기 냉기흡입공(21)으로 흡입되는 냉기흐름층을 거슬러 올라 타고 상기 냉장실 입구 전방 안쪽방향 외부로 상승되면서 외부공기를 밀어내 외부공기의 냉장실 유입을 차단한다.
상술한 찬 냉장실 내부의 냉기 및 더운 외부공기의 흐름으로, 냉장실 내부의 냉기는 냉장실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냉기흡입공(21)을 통해 유입되어 냉장실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무거운 찬공기 냉기흐름층을 형성해 더운 외부공기를 밑에서 위로툭툭처주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41)을 통해 토출되는 더운 외부공기는 상기 무거운 찬공기와 섞이지 않고 냉장실 입구 전방 안쪽방향 상방으로 급상승하며 외부공기를 밀어 낸다.
상술한 냉기 및 외부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상기 냉기순환팬(22) 및 외부공기토출팬(43)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 않함)를 구동키는데 소비되는 전력소비를 최소로 해도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문(2)을 오랜시간 열어도 최소한의 전력소비로 냉장실 냉기를 보전할 수 있다.
그 후, 냉장실문(2)의 내측 가장자리의 고무재질의 자석패드(3) 부분이 상기 외부공기토출공(41)이 형성된 냉장실 양측 전면을 막도록 냉장실문을 닫으면, 상기 냉기순환팬(22) 및 외부공기토출팬(43)의 작동이 멈추고, 냉장고문을 열기 전의 냉장실 온도가 유지된 통상의 냉장 상태로 돌아 간다.
그리고,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의 냉기순환덕트와 외부공기토출덕트는 김치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동일 원리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는 냉장고 본체 전면부 양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냉기순환덕트 내부의 냉기순환팬 및 외부공기토출덕트 내부의 외부공기토출팬을 작동시킴으로서 냉장고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냉장실의 냉기를 외부로 방출됨이 없이 냉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고, 냉장실 외부공기를 냉장실 전방으로 토출함으로서 냉장실 외부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냉장고 양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흡입공이 형성되고,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상기 냉기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냉장고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냉기순환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와 격벽으로 분리되어 상기 냉장고 양측벽 전면에 일체로 외부공기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토출공으로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냉장고문과 연동되어 냉장고문이 열리면 작동되는 외부공기토출팬이 내부 일측에 구비된 외부공기토출덕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순환덕트는 상기 냉기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냉기가 상기 냉장고 상부로부터 직하방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냉장고 상측 내벽 일측에 일체로 냉기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순환덕트의 냉기흡입공은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냉장고 양측 내벽 하방으로 흡입되도록 상협하광 형상으로 통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토출덕트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외부공기토출팬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는 음이온발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KR20-2003-0027345U 2003-08-26 2003-08-26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KR200333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45U KR200333825Y1 (ko) 2003-08-26 2003-08-26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45U KR200333825Y1 (ko) 2003-08-26 2003-08-26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825Y1 true KR200333825Y1 (ko) 2003-11-17

Family

ID=494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345U KR200333825Y1 (ko) 2003-08-26 2003-08-26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8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05052A (ja) 冷蔵庫
KR200333825Y1 (ko) 냉장고의 외부공기유입 차단장치
KR20110136917A (ko) 냉장고
JPS5851180B2 (ja) 冷蔵庫
KR200141316Y1 (ko) 에어커튼 냉장고
KR200145880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장치
KR20060078134A (ko) 냉장고
KR100196939B1 (ko) 에어커튼 냉장고
KR100366664B1 (ko) 냉장고
KR0165644B1 (ko) 냉장고
KR100366528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구조
KR0136057Y1 (ko) 냉기순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61880Y1 (ko) 냉장고의 냉기유출 차단장치
KR100519267B1 (ko) 냉장고
KR20010019696A (ko)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KR200184118Y1 (ko) 냉장고의 냉기유로 연결구조
KR100196940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장치
KR100549079B1 (ko) 냉장고
KR20040048766A (ko) 냉장고의 귀환덕트구조
KR20040105029A (ko) 냉장고
KR200160411Y1 (ko) 냉장고
KR20060081806A (ko) 냉장고
KR100519268B1 (ko) 냉장고
JP2005037125A (ja) 冷蔵庫
KR200339274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기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