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02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029A
KR20040105029A KR1020030035863A KR20030035863A KR20040105029A KR 20040105029 A KR20040105029 A KR 20040105029A KR 1020030035863 A KR1020030035863 A KR 1020030035863A KR 20030035863 A KR20030035863 A KR 20030035863A KR 20040105029 A KR20040105029 A KR 2004010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ld air
partition plate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082B1 (ko
Inventor
윤신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08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고 냉각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공기의 유동소음 및 냉기순환팬의 동작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측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로형성을 위해 상기 증발기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전역에 걸쳐 분산 통과할 수 있도록 면적이 넓은 상기 증발기의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면이 상기 구획판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아지고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증발기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증발기를 구비하며, 저장실 내부의 공기가 증발기를 거쳐 순회하는 냉기순환동작을 통해 저장실이 차가운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에서 증발기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저장실의 내측 후방의 냉기유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저장실 내부의 공기는 저장실 후방의 흡입유로를 통해 증발기의 하부로 유입된 후 증발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면서 차가운 냉기가 되고, 이 냉기가 토출유로를 통해 다시 저장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실 내부의 공기가 증발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과하면서 증발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증발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커서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냉각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공기의 유동소음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냉장고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냉기순환팬의 회전속도를 높여야 했기 때문에 냉기순환팬의 동작소음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고 냉각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공기의 유동소음 및 냉기순환팬의 동작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 증발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중간벽,
12: 냉동실, 13: 냉장실,
20: 증발기, 22,23: 이격공간,
24: 구획판, 25: 냉기순환팬,
26: 통공, 27: 상부차단판,
28: 하부차단판, 29: 제상수받이,
30: 냉기토출유로, 31: 내측판,
32: 냉기토출구, 33: 냉기흡입구,
34: 냉기흡입유로, 41: 냉장실토출유로,
42: 냉장실흡입유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측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로형성을 위해 상기 증발기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전역에 걸쳐 분산 통과할 수 있도록 면적이 넓은 상기 증발기의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면이 상기 구획판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순환팬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냉기순환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전방에는 상기 구획판과의 사이에 냉기토출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판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내측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는 다수의 냉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양쪽 측방에는 상기 냉기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된 공간이 연통되는 냉기흡입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의 상면과 상기 증발기 후방의 이격된 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이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 전방의 이격된 공간 하부를 막도록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 전방공간의 상부와 상기 증발기 후방공간의 하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제상수의 배수를 위한 제상수받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상호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의 내측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순환하는 공기가 전역에 걸쳐 분산 통과하도록 그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설치되는 구획판과, 상기 증발기 상부의 상기 구획판 후방에 설치되는 냉기순환팬과, 상기 냉기순환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구획판과의 사이에 냉기토출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판의 전방에 이격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내측판과,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공간으로 상기 냉동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다수의 냉기흡입구 및 상기 증발기의 양쪽 측방에 형성되는 냉기흡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공급을 위해 상기 냉기토출유로와 상기 냉장실이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의 벽체에 형성되는 냉장실토출유로와, 상기 냉장실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부와 상부의 벽체에 형성되는 냉장실흡입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이 중간벽(11)을 통해 좌측의 냉동실(12)과 우측의 냉장실(13)로 구획된다. 또 냉동실(12)과 냉장실(13)의 개방된 전면에는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4)와 냉장실도어(15)가 설치되고, 냉동실(12)과 냉장실(13) 및 각 도어(14,15)의 내면에는 저장물의 보관을 위한 다수의 선반(16,17)과 보관상자(18)가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은 냉동실(12)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20)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실(12)의 내측 후방에는 냉동실(12) 내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20)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또 증발기(20)는 증발기(20)의 후면과 본체(10)의 내측 후면(21) 사이의 공간(22)을 통해 냉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면적이 넓은 후면이 본체의 내측후면(21)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증발기(20)의 전방에는 증발기(20)의 전면과의 이격된 공간(23)을 통해 역시 냉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증발기(20)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증발기(20)의 전면을 덮는 구획판(24)이 설치된다. 이러한 증발기(20)의 설치구조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는 공기가 증발기(20) 후방 및 전방의 이격공간(22,23)을 통해 증발기(20)의 전역에 걸쳐 분산되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도록 한 것이고 공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증발기(20)의 상부에는 냉동실(12) 내부의 공기가 증발기(20)를 거치면서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기순환팬(25)이 설치되고, 구획판(24) 상부의 냉기순환팬(25)이 설치된 위치에는 냉기순환팬(25)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구획판(24)의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공기가 유통하는 통공(26)이 형성된다. 이는 냉기순환팬(25)이 구획판(24) 후방의 공기를 구획판(24)의 전방으로 송풍함으로써 냉동실(12) 공기의 강제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증발기(20)의 후면으로 유입되어 증발기(20)의 전면으로 통과한 후 냉기순환팬(25) 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증발기(20)의 상부에는 증발기(20)의 상면과 증발기(20) 후방의 이격공간(22) 상부를 덮는 상부차단판(27)이 설치되고, 증발기(20)의 하부에는 증발기(20) 전방의 이격공간(23) 하부를 막도록 구획판(24)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차단판(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증발기(20) 전방의 이격공간(23) 상부와 증발기(20) 후방의 이격공간(22) 하부는 냉기의 유통을 위해 개방되며, 증발기(20)의 하부에는증발기(20)에서 흘러내리는 제상수를 모아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상수받이(29)가 설치된다.
또 구획판(24)의 전방에는 구획판(24)과의 사이에 냉기토출유로(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획판(24)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냉동실(12)의 내측면을 이루는 내측판(31)이 설치되고, 이 내측판(31)에는 냉기토출유로(30)의 공기가 냉동실(12) 내부로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냉기토출구(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판(31) 양측에는 다수의 냉기흡입구(33)가 형성되고, 증발기(20)의 양측에는 냉기흡입구(33)와 증발기(20) 후방의 이격공간(22)이 연통되는 냉기흡입유로(34)가 형성된다. 이는 냉기토출구(33)를 통해 냉동실(12) 내부로 공급된 냉기가 냉동실(12)을 냉각시킨 후, 다시 냉기흡입구(33)와 냉기흡입유로(34)를 통해 증발기(20) 후방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토출유로(30)를 통해 냉동실(12)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냉장실(13)로 공급하기 위해 냉동실(12)의 냉기토출유로(30)의 상부와 냉장실(13)이 연통하도록 본체(10)의 상부 벽체에 형성되는 냉장실토출유로(41)를 구비한다. 또 본체(10)의 후면부와 상부의 벽체에는 냉장실(13)의 공기가 증발기(20) 후면의 이격공간(22)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실흡입유로(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냉장실(13)의 내측 후방에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장실토출유로(41)를 통해 냉장실(13) 쪽으로공급되는 냉기가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토출구와, 냉장실(13) 내부의 공기가 냉장실흡입유로(42)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흡입구가 마련된다.
다음은 이러한 냉장고의 냉기순환동작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순환팬(25)이 동작하면, 냉동실(12) 내부의 공기는 내측판(31) 양측의 냉기흡입구(33)와 냉기흡입유로(34)를 통해 증발기(20) 후방의 이격공간(2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증발기(20) 후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이격공간(22)을 통해 증발기(20) 후면 전역으로 분산되면서 증발기(20)의 후면으로부터 증발기(20)의 전면으로 통과하도록 흐른다.
이때 공기는 증발기(20)의 전역으로 분산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로가 확장되는 효과를 통해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게 되며,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소음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유로가 확장되는 효과를 통해 증발기(20)를 통과하는 동안의 유속이 감소하기 때문에 증발기(20)와의 접촉을 통한 열교환이 향상되는데, 이를 통해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 감소로 냉기순환팬(25)의 회전속도를 종래처럼 높이지 않더라도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냉기순환팬(25)의 동작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냉기가 된 공기는 증발기(20) 전방의 이격공간(23)을 통해 냉기순환팬(25) 쪽으로 상승을 하며 냉기순환팬(25)을 통해냉기토출유로(30)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기토출유로(30)의 공기는 다수의 냉기토출구(32)를 통해 다시 냉동실(12)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이러한 냉기순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냉동실(12) 냉기토출유로(30)의 공기 중 일부는 냉장실토출유로(41)를 통해 냉장실(13) 내부로 공급되고, 냉장실(13) 내부의 공기는 냉장실흡입유로(42)를 통해 증발기(20)의 후방으로 흡입된다. 이러한 냉기순환을 통해 냉동실(12)과 냉장실(13)은 함께 냉각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증발기 전방과 후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증발기의 전역에 걸쳐 분산되어 통과하기 때문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 냉기의 순환이 원활해지며, 공기의 유동소음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하는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동안 유로가 확장되는 효과를 통해 유속이 감소하여 증발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 감소로 냉기순환팬의 회전속도를 종래처럼 높이지 않더라도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기 때문에 냉기순환팬의 동작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측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로형성을 위해 상기 증발기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전역에 걸쳐 분산 통과할 수 있도록 면적이 넓은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과 이격되고 전면이 상기 구획판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순환팬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냉기순환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전방에는 상기 구획판과의 사이에 냉기토출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판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내측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는 다수의 냉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양쪽 측방에는 상기 냉기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된 공간이 연통되는 냉기흡입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의 상면과 상기 증발기 후방의 이격된 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이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 전방의 이격된 공간 하부를 막도록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 전방공간의 상부와 상기 증발기 후방공간의 하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제상수의 배수를 위한 제상수받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내부에 상호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의 내측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순환하는 공기가 전역에 걸쳐 분산 통과하도록 그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설치되는 구획판과, 상기 증발기 상부의 상기 구획판 후방에 설치되는 냉기순환팬과, 상기 냉기순환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구획판과의 사이에 냉기토출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판의 전방에 이격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내측판과,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공간으로 상기 냉동실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다수의 냉기흡입구 및 상기 증발기의 양쪽 측방에 형성되는 냉기흡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공급을 위해 상기 냉기토출유로와 상기 냉장실이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의 벽체에 형성되는 냉장실토출유로와, 상기 냉장실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 후면의 이격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부와 상부의 벽체에 형성되는 냉장실흡입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의 상면과 상기 증발기 후방의 이격된 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 전방의 이격된 공간 하부를 막도록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 전방공간의 상부와 상기 증발기 후방공간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3-0035863A 2003-06-04 2003-06-04 냉장고 KR10052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863A KR100521082B1 (ko) 2003-06-04 2003-06-0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863A KR100521082B1 (ko) 2003-06-04 2003-06-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029A true KR20040105029A (ko) 2004-12-14
KR100521082B1 KR100521082B1 (ko) 2005-10-14

Family

ID=3738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863A KR100521082B1 (ko) 2003-06-04 2003-06-0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05A1 (en) * 2014-09-02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114682A (ko) * 2017-04-11 2018-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17B1 (ko) * 2009-07-28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05A1 (en) * 2014-09-02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6605111A (zh) * 2014-09-02 2017-04-26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US10302345B2 (en) 2014-09-02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80114682A (ko) * 2017-04-11 2018-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415359B2 (en) 2017-04-1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082B1 (ko) 200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86B1 (ko) 냉장고
US20180340726A1 (en) Refrigerator
JP2003512591A (ja) 冷蔵庫用冷却空気循環システム
US7584627B2 (en) Refrigerator
CN100572996C (zh) 冰箱
KR100549075B1 (ko) 냉장고
KR100521082B1 (ko) 냉장고
KR101645731B1 (ko) 냉장고
KR102646411B1 (ko) 냉장고
JPH10232078A (ja) 電気冷蔵庫
KR200207421Y1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JP2620539B2 (ja) 冷気循環装置を設けた冷蔵庫
US20230152025A1 (en) Refrigerator
US20230152024A1 (en) Refrigerator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KR20000016404U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960002577B1 (ko) 냉장고
KR20020014212A (ko) 병립형 냉장고
TWI822308B (zh) 冰箱
KR100577123B1 (ko) 냉장고
KR100366664B1 (ko) 냉장고
KR101203993B1 (ko) 냉장고
KR100549079B1 (ko) 냉장고
KR200212214Y1 (ko) 냉장고의 냉기덕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