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23Y1 -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23Y1
KR200333423Y1 KR20-2003-0025459U KR20030025459U KR200333423Y1 KR 200333423 Y1 KR200333423 Y1 KR 200333423Y1 KR 20030025459 U KR20030025459 U KR 20030025459U KR 200333423 Y1 KR200333423 Y1 KR 200333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ach
approach detection
receiver
sensing device
us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문수
Original Assignee
선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수 filed Critical 선문수
Priority to KR20-2003-002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로의 보수 작업 시에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업자들에게 경보함으로써, 철로 작업 현장에서의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철로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반경과 500m∼1㎞의 거리를 유지하며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수신기로 접근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장치(10)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며, 상기 감지장치(10)로부터 상기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수신기(20)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RAILROAD CARS ACCESS A SENSOR}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로의 보수 작업 시에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업자들에게 경보함으로써, 철로 작업 현장에서의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로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보수작업도 항상 같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로의 보수작업에서 안전사고로 한해에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중 특히, 곡선구간의 전후방에서 선로의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시야가 좁을 뿐만 아니라, 지형적 특성 및 작업에 열중하다보면 열차의 경적소리도 제대로 듣지 못하여, 가까이 접근된 차량을 미처 피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곧바로 중상 또는 사망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선로 보수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한 대책은 특별한 것이 없고, 오로지 기관사와 선로 보수 작업자들의 감각적인 주의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로의 보수 작업시 철도차량이 접근할 경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자들에게 철도차량의 접근 사실을 알람, 진동 또는 램프발광으로 경보함으로서, 작업자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감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자 수신기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2 : 감지센서 4, 24 : CPU
6 : RF 송신부 8, 28 : 메모리부
10 : 감지장치 20 : 사용자 수신기
26 : RF 수신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철로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반경과 500m∼1㎞의 거리를 유지하며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수신기로 접근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며,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수신기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감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자 수신기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는 감지장치와 사용자 수신기로 이루어진다.
감지장치(10)는,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인가된 접근 감지신호를 사용자 수신기(20)로 전송하는 명령을 내리는 CPU(4) 및, 상기 CPU(4)의 신호 전송명령에 의해 사용자 수신기(20)의 RF수신부(26)로 접근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RF송신부(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장치(1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프로그램으로 저장하는 메모리(8)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자 수신기(20)는 상기 감지장치(10)의 RF송신부(6)로부터 열차의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CPU(24)로 전송하는 RF수신부(26) 및, 상기 RF수신부(26)로부터 인가된 접근 감지신호를 알람 또는 램프발광으로 나타내도록 명령을 내리는 CPU(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CPU(24)의 알람 또는 램프발광 명령에 따라 열차의 접근을 알람,진동 또는 램프발광의 형태로 작업자에 알리는 표시부(22)를 포함하며, 사용자 수신기(2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프로그램으로 저장하는 메모리(28)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감지센서는 특정한 형태의 감지센서에 제한되지 않고, 적외선 신호에 의한 감지센서, 광센서, 자석에 코일을 형성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장 신호에 의한 감지센서 등 다양한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철도차량 접근감지장치는, 보수작업을 요하는 철로(30)로부터 개략 500m 내지 1㎞의 거리를 이루는 전/후방 철로(30) 상에 이동하여 감지장치(1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장치(10)는 사용자 수신기(20)와 함께 작업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작업을 요하는 철로(30)로부터 반경 500m 내지 1㎞의 거리 전/후방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또, 상기 감지장치(10)와 사용자 수신기(20)와의 원활한 송수신거리는 개략 1㎞ 정도로 설정되며, 필요에 따라 송수신거리를 가감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장치(10)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500m 내지 1㎞ 반경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들은 사용자 수신기(20)를 눈에 잘 띄는 앞 가슴포켓 또는 허리춤에 소지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철로(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철도차량이 접근해 오면, 감지장치(10)의 감지센서(2)는 이를 감지하여 접근감지 신호를 CPU(4)로 인가한다.
상기 접근감지 신호를 인가 받은 CPU(4)는 RF송신부(6)에 사용자 수신기(20)의 RF수신부(26)로 접근감지 신호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여기서, 상기 RF송신부(6)는 예를 들어, 48㎒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열차 접근 감지 신호를 사용자 수신기의 RF수신부(26)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RF송수신부는, 상기한 주파수 외에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RF송신부(6)로부터 열차의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수신기(20)의 RF수신부(26)는 수신된 신호를 CPU(24)로 인가하게 되고, 이 신호를 인가 받은 사용자 수신기(20)의 CPU(24)는 표시부(22)로 명령을 내려 알람, 진동 또는 램프발광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2)는 사용자에 따라 알람, 진동 또는 램프발광을 이루도록 스위치(미도시)로 선택할 수 있지만, 철로작업의 특성상 알람으로 선택하는 것이 업무에 열중인 작업자의 위험을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진동이나 램프발광이 열차의 접근을 더 효과적으로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작업환경이 굉장히 시끄러운 상황이거나, 작업자가 약간의 난청이 있을 경우 등은 알람보다는 진동이나 램프의 발광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렇게 알람, 진동 또는 램프발광에 의한 경보에 따라 철로(30) 상에 작업중인 작업자들은 신속히 대피할 수 있음으로서,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감지장치(10)는 보수를 요하는 철로(30)로부터 개략 500m 내지 1㎞의 거리를 이루는 전/후방에 설치되는 이동식 감지장치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로(30)의 전체를 따라 500m 내지 1㎞의 간격을 두고 감지장치(10)를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철로(30) 전체에 감지장치(10)가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수신기(20)를 소지한 작업자들은 어느 철로(30) 상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열차의 접근 감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장치(10) 철로(30) 전체에 500m∼1㎞ 정도의 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감지장치(10)와 사용자 수신기(20)의 원활한 송수신거리는 개략 1㎞ 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철로(30) 상에서 작업을 하고 있더라도 작업자들의 반경 1㎞ 정도의 거리 가까이로 철도차량이 접근하게 되면, 감지장치(10)의 감지센서(2)가 감지하여 작업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수신기(2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미리 대피할 수 있게 되며,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철로 상에 철도차량이 접근하면 이를 곧 바로 감지하여 작업자들에게 미리 경보함으로서, 용이한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전에 철도차량의 기관사나 철로 작업자들의 감각에만 의존함에 따라 발생되던, 수많은 철로 보수 작업자들의 사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의료보험료의 지출방지와 철로 보수 작업에 필요한 엔지니어들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활동에 기여케 함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철로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반경과 500m∼1㎞의 거리를 유지하며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수신기로 접근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장치(10)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며, 상기 감지장치(10)로부터 상기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수신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0)는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2)와, 상기 센서(2)로부터 인가된 접근 감지신호를 사용자 수신기(20)로 전송하는 명령을 내리는 CPU(4)와, 상기 CPU(4)의 신호 전송명령에 의해 사용자 수신기(20)의 RF수신부(26)로 신호를 전송하는 RF송신부(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수신기(20)는 RF송신부(6)로부터 열차의 접근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CPU(24)로 전송하는 RF수신부(26)와, 상기 수신부(26)로부터 인가된 접근 감지신호를 알람, 진동 또는 램프발광으로 나타내도록 명령을 내리는 CPU(24)와, 상기 CPU(24)의 알람 또는 램프발광 명령에 따라 열차의 접근을 알람 또는 램프발광의 형태로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표시부(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로(30) 상에 설치되는 감지장치(10)는, 철로(30) 전체를 따라 500m∼1㎞ 간격으로 고정설치되거나, 작업을 요하는 철로(30)의 반경 500m∼1㎞의 거리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KR20-2003-0025459U 2003-08-07 2003-08-07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KR200333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459U KR200333423Y1 (ko) 2003-08-07 2003-08-07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459U KR200333423Y1 (ko) 2003-08-07 2003-08-07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23Y1 true KR200333423Y1 (ko) 2003-11-17

Family

ID=4941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459U KR200333423Y1 (ko) 2003-08-07 2003-08-07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96A (ko) 2014-07-11 2016-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선로 방호구간 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9383559A (zh) * 2017-08-14 2019-02-26 北京腾客科技有限公司 列车来临预警装置与方法
KR20220165055A (ko) * 2021-06-07 2022-12-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유지보수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96A (ko) 2014-07-11 2016-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선로 방호구간 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9383559A (zh) * 2017-08-14 2019-02-26 北京腾客科技有限公司 列车来临预警装置与方法
CN109383559B (zh) * 2017-08-14 2024-03-15 北京腾客科技有限公司 列车来临预警装置与方法
KR20220165055A (ko) * 2021-06-07 2022-12-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유지보수 안전장치
KR102524853B1 (ko) * 2021-06-07 2023-04-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유지보수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6078B2 (en) Rail warning system and method
US10814892B2 (en) V-aware end of train device
US7624952B1 (en) Safety system for railroad personnel
US5554982A (en) Wireless train proximity alert system
US20170080961A1 (en) Mass transit safety notification system and device
CA2852234C (en) Mass transit safety notification system and device
JP3964405B2 (ja) 警報装置
KR20100044339A (ko) 철도 선로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위험 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 방법
WO2020094650A1 (en) Railway trackside worker safety system
US20190084796A1 (en) Restricted access area safety system
KR102086011B1 (ko)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KR100998221B1 (ko) 휴대형 열차진입 경보 시스템
KR200333423Y1 (ko) 철도차량 접근 감지장치
KR101878943B1 (ko) 열차 접근 경보기 및 열차 접근 경보 방법
US20230356762A1 (en) Signal box controlled crew warning system
JP5868607B2 (ja) 鉄道用警報発生システム
ZA200508120B (en) Collis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KR101858995B1 (ko)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JPH02175379A (ja) 列車接近警報装置
CN207619791U (zh) 一种轮胎式压路机三级防护系统
RU27600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с радиостанцией (ДОП.РСДОП-М)
KR102194619B1 (ko) 경광등 알림 시스템
KR101748811B1 (ko) 열차 접근 모니터링 장비
RU75846U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машиниста локомотива и ремонтных рабочих об опасности
JP2001287646A (ja) 列車検知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