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91Y1 -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91Y1
KR200333391Y1 KR20-2003-0022944U KR20030022944U KR200333391Y1 KR 200333391 Y1 KR200333391 Y1 KR 200333391Y1 KR 20030022944 U KR20030022944 U KR 20030022944U KR 200333391 Y1 KR200333391 Y1 KR 200333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ron
noise
electrod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선
Original Assignee
최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선 filed Critical 최인선
Priority to KR20-2003-002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4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01J23/15Means for preventing wave energy leakag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be leading-in arrangements, e.g. filters, chokes, attenu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2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02Electrodes; Magnetic control means; Screens
    • H01J23/04Cathodes
    • H01J23/05Cathodes having a cylindrical emissive surface, e.g. cathodes for magnetrons

Landscapes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이즈의 감쇠를 위해 장착되는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구조를, 전자파를 흡수 또는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그리고/또는 이에 더불어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전자파 흡수 또는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의 노이즈 감쇠작용체가 장착되게 개선되는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방출되는 불요복사파와 노이즈가 콘덴서 및/또는 노이즈 감쇠작용체에 의해 흡수 또는 차폐되어 노이즈의 감쇠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MAGNETRON HAVING NOISE FILTER IMPROVED}
본 고안은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이즈의 감쇠를 목적으로 장착되는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구조를 전자파를 흡수 또는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그리고/또는 이에 더불어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전자파 흡수 또는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의 노이즈 감쇠작용체가 장착되게 개선되는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론은 가정용 제품에도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는 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음극 단자의 필라멘트가 가열되면서 전자를 방출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전계에서 방출된 전자를 마그네트에 의해 전계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자계를 통해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 초단파(즉, 전자파)로 발진되도록 하여 초단파에 의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열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발진된 초단파는 도파관을 따라 가열실 내부 및 발진기 전원 입력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마그네트론은 발진동작이 수행될 때 발진기 내부의 작용공간에서 직류자계 강도의 차이와 내부공간이 완전한 진공으로 형성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봉입가스 때문에 열전자가 회전운동을 할 때 충돌에 의한 진동현상을 일으켜 노이즈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방사성 노이즈(30MHz ~ 1GHz 대역 내지는 그 이상의 수 십GHz 대역의 전자파)의 방출량은 발진기의 제조 및 설계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요인, 즉, 마크네트론을 채용하는 가열기기의 도파관의 설계구조 및 가공치수 내지는 가열용량 및 가열부하량 등의 차이에 따라 가감되어 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노이즈는 마그네트론이 장착된 제품 근처에 위치된 다른 전자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유발하며, 또한 인체에 큰 악영향을 주는 요소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공간 또는 전원 공급 선을 타고 외부로 누설되는 이엠아이(EMI) 규제 대상인 30MHz ~ 1,000 MHz 대역의 방사성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노이즈 필터를 구비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노이즈 방지 필터가 장착된 마그네트론을 개략적으로 설명을 하면,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네트론(10)의 음극부 측에 초크코일(21)과 콘덴서(30)로 구비되는 노이즈 제거 필터(20)부가 구성된다.
상기 초크코일(21)은 마그네트론(10)의 음극부 단자에 연결되는데, 상기 음극부 단자는 방전 방지구(11)에 의해 방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마그네트론(10)의 노이즈 제거 필터(20)는 초크코일(21)과 콘덴서(30)로 구성되는 노이즈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감쇠시키고 있으나, 초크코일(21)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초크코일(21)에 연결되는 콘덴서(30)는 절연 케이스(31)에 세라믹 몰드(37)가 장착되고, 세라믹 몰드(37)의 내부에 에폭시 수지(38)에 의해 세라믹 유전체(36)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절연튜브(35)가 위치되며, 절연튜브(35)에 의해 감싸지는 통전전극(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유전체(36)에는 접지 브라켓(32)이 접하도록 구성되고, 접지 브라켓(32)의 상부에는 통전전극(34)의 방전거리 확보를 위하여 방전 케이스(39)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덴서(30)는 상기 초크코일(21)과 함께 작용하여 방출되는 노이즈성 전기에너지의 흐름을 감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콘덴서(30) 자체만으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작용을 할 수 없고,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콘덴서는 제조가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일정 시간 이상 마그네트론을 작동시키는 경우 방출되는 전자의 흐름에 의한 저항으로 초크코일(21)에 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임피던스 값이 증가됨으로 인해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서 여과되지 않은 전자가 통전전극(34)과 단자(33)를 타고 노이즈 제거 필터(20)의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방출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감쇠 작용을 위하여 초크코일의 작용과는 별개로 콘덴서를 개선하여 초크코일의 자기 포화로 인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노이즈를 콘덴서에 의하여 감쇠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장착되는 방전 방지구에 노이즈를 흡수 및/또는 차폐할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하여 초크코일의 자기포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노이즈 필터 성능을 보다 안정되도록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노이즈 제거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덴서의 제조가 간편하고, 또한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은 방전 방지구를 포함하며, 콘덴서와 초크코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론의 노이즈 방지를 위하여 음극부에 장착되는 노이즈 제거 필터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일 단부에 결합홈을 갖는 캡 삽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 단부에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 삽입부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관통되는 구멍을 갖는 돌기 삽입부와 관통구멍을 갖는 전극 삽입부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유전체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되고,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에 유전성 물질이 5 내지 50 중량부로 혼합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상태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이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스; 중앙부에 결속구 결합홈을 갖는 삽입돌기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가 형성되게 구성되고,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 60 내지 80 중량부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 2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캡; 브라켓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결속구 삽입구가 형성되고, 결속구 삽입구의 양 측으로 케이스 삽입구가 형성되는 접지 브라켓; 전극 삽입부에 끼워지는 통전전극; 캡에 관통된 상태로 일 단부가 통전전극과 연결되는 단자; 결속구 삽입구를 관통하여 결속구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접지 브라켓과 케이스 및 캡을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결속구; 및 브라켓 삽입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 삽입부에 결합되는 절연튜브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 60 내지 80 중량부에 도전성 카본블랙 물질 2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 공간에는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가 결합될 수도 있고,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의 하부 및/또는 상부에 페라이트계 및/또는 아몰퍼스계의 업서버(노이즈 흡수체)가 장착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결합되는 방전 방지구는 세라믹 물질을 약 80 내지 90 중량부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 10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에 원형 플레이트에 삽입구가 형성되며,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노이즈 감쇠작용체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마그네트론에 장착되는 노이즈 필터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노이즈 필터의 구성요소인 콘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노이즈 필터의 구성요소인 콘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콘덴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콘덴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의 일 구성요소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의 일 구성요소인 캡의 사시도이다.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의 일 구성요소인 접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f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의 일 구성요소인 업서버의 사시도이다.
도 5g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의 일 구성요소인 실드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노이즈 감쇠작용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10 ... 초크코일 300 ... 콘덴서
310 ... 케이스 311 ... 캡 삽입부
312 ... 결합홈 313 ... 브라켓 삽입부
314 ... 돌기 삽입부 315 ... 전극 삽입부
316 ... 유전체 공간 320 ... 캡
321 ... 단자 삽입구 322 ... 결합돌기
323 .. 결속구 결합홈 324 ... 삽입돌기
330 ... 접지 브라켓 331 ... 결합부
332 ... 케이스 삽입구 333 ... 결속구 삽입구
340 ... 통전전극 350 ... 단자
360 ... 절연튜브 370 ... 파이프
380 ... 업서버 382,382 ... 삽입구
400 ... 방전 방지구 410 ... 노이즈 감쇠작용체
411 ... 삽입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노이즈 감쇠 구조를 갖는 콘덴서(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300)는 케이스(310), 캡(320) 및 접지 브라켓(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는 캡(320)을 관통하여 끼워진 단자(350)가 케이스(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전전극(340)과 결합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통전전극(340)의 다른 단부에는 통상의 노이즈 방지 필터에 사용되는초크코일(210)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 단부에는 이하 설명되는 캡(320)의 결합돌기(322)가 끼워지는 결합홈(312)을 갖는 캡 삽입부(311)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는 브라켓 삽입부(3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 삽입부(311)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캡(320)의 삽입돌기(324)가 끼워지도록 관통되는 구멍을 갖는 돌기 삽입부(314)가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삽입부(311)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상기 돌기 삽입부(31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통전전극(340)이 끼워지는 구멍을 갖는 전극 삽입부(3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 삽입부(315)는 돌기 삽입부(314)는 물론, 케이스(31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간격은 콘덴서(300)가 필요한 정전용량을 가지도록 유전체 공간(316)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케이스(310)는 피피(PP), 피비티(PBT) 또는 피이티(PET) 재질의 절연특성이 우수한 내열수지재에 산화티탄 또는 티탄산 계열의 강유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가공사출된다. 이때, 상기 강유전성 물질은 내열성 수지재와 혼합되는 상태의 중량부를 100으로 할 때, 약 5 내지 50 중량부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전극 삽입부(315) 주위에 형성되는 유전체 공간(316)과 함께 작용하여 정전용량의 크기가 약 50 내지 350pF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강유전성 물질이 혼합된 상태의 내열 수지재 물질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을 약 10 내지 90 중량부로 하여 혼합한 후 사출성형을 하여 제조하게 된다. 즉, 강유전성 물질이 혼합된 상태의 내열 수지재 물질이 약 80 내지 9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강유전성 물질과 자성물질이 혼합되는 케이스(310)는 유전체 공간(316)과 케이스(310) 자체의 유전성에 의해 정전용량을 가지게 되며, 이와 더불어 초크코일(210)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전자가 통전전극(340)을 따라 외부로 역류될 때, 통전전극(340)이 끼워지는 전극 삽입부(315)가 가지는 자성에 의하여 감쇠되게 된다.
노이즈 제한 규격에 따라 정전용량을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310)에 형성된 유전체 공간(316)에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가 상기 전극 삽입부(315)를 감싸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는 정전용량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케이스(310)에 혼합되는 유전체 물질의 비율을 조절하여 정전용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케이스(310)의 사출전 혼합되는 유전체 물질의 비율을 높이는 경우에는 상기 열경화성 내열 수지재 또는 상기 자성물질의 비율을 낮추어야만 하는데, 이때 열경화성 내열 수지재의 비율을 낮추는 경우에는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케이스(310)의 내열성 등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자성물질의 비율을 낮추는 경우에는 방출되는 노이즈의 감쇠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이즈의 방지 효율이 당연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보다 큰 정전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320)은 중앙부에 결속구 결합홈(323)을 갖는 삽입돌기(324)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돌기(324)는 상기 케이스(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 삽입부(314)의 구멍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캡(32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3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322)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결합홈(312)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캡(320)은 피피(PP), 피비티(PBT) 또는 피이티(PET) 재질의 절연특성이 우수한 내열수지재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이 혼합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내열 수지재와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의 혼합비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의 비율을 20 내지 80 중량부로 하고, 내열 수지재를 60 내지 80 중량부로 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320)은 피피(PP), 피비티(PBT) 또는 피이티(PET) 재질의 절연특성이 우수한 내열수지재에 도전성 카본블랙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열 수지재와 도전성 카본블랙 물질의 혼합비는 강유전체 물질이 혼합된 상태의 내열 수지재를 60 내지 80 중량부에 약 20 내지 4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물질 또는 도전성 카본블랙 물질의 비율은 노이즈의 제한 규격에 따라 제한 규격이 높을 수록 함량을 높이고, 제한 규격이 낮을 수록 함량을 낮게 혼합되는데, 이때, 내열 수지재의 혼합비율이 60 중량부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3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캡(320) 부분도 높은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열성 등 내구성이 약해지 경우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내열 수지재의 혼합비는 60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320)은 케이스(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돌기(324)가 돌기 삽입부(314)에 끼워지는 상태로 캡 삽입부(311)에 결합된다.
상기 접지 브라켓(330)은 상기 브라켓 삽입부(3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1)의 중앙부에 결속구 삽입구(333)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 삽입구(333)의 양측으로 전극 삽입부(315)가 끼워지는 케이스 삽입구(3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 브라켓(330)은 전극 삽입부(315)가 상기 케이스 삽입구(332)에 끼워지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 브라켓 삽입부(313)에 장착되고, 상기 결속구 삽입구(333)를 통해 결속구(390)가 결속구 결합홈(323)에 끼워져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내부 전극 삽입부(315)의 주위에 형성되는 유전체 공간(316)에는 선택적으로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 공간(316)에는 자성율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다시 말해서 만일 노이즈 제한 규격이 더 높게 규정되어 노이즈의 발생비율이 더욱 낮게억제되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에 혼합되는 자성물질의 비율로도 노이즈 제한 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게 될 때, 상기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의 하부 및/또는 상부에 업서버(노이즈 흡수체)(38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업서버(380)는 페라이트계 및/또는 아몰퍼스계의 자성체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310)에서 브라켓 삽입부(313)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 삽입부(315)에는 절연튜브(360)가 장착된다. 상기 절연튜브(360)는 종래의 방전 케이스가 수행하는 방전 방지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방전 방지구의 장착을 위한 결합구조를 형성하여야 하였으나, 본 고안과 같이 절연튜브(36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순하게 상기 전극 삽입부(315)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가지도록 단순한 설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덴서(30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순서로 조립되게 되는데, 처음 단자(350)와 통전전극(340)이 결합된 상태에서 단자(350)는 캡(320)의 단자 삽입홈(321)에 끼워지고, 통전전극(340)은 전극 삽입부(315)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삽입돌기(324)가 돌기 삽입부(314)에 끼워져 상기 캡(320)이 케이스(310)의 하부 캡 삽입부(311)에 결합된다.
그 후에 설계 사양에 따라 케이스(310)의 유전체 공간(316)에 업서버(380) 및/또는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도전성 파이프(370)를 삽입하고, 접지 브라켓(330)의 케이스 삽입구(332)가 케이스(310)의 전극 삽입부(315)에 끼워지게 삽입하여 케이스(310)의 상부 브라켓 삽입부(313)에 결합된다.
상기 접지 브라켓(330)과 캡(320)이 케이스(310)의 상, 하부에 결속되도록 접지 브라켓(330)의 결속구 삽입구(333)을 관통하여 삽입돌기(324)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구 결합홈(323)에 체결되어 상기 접지 브라켓(330)과 케이스(310) 및 캡(320)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 후에 상기 전극 삽입부(315)에 절연튜브(360)을 끼워 결합시키고, 통전전극(340)의 단부에 초크코일(210)을 연결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콘덴터(300)와 초크코일(210)의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감쇠하기 위한 필터작용과 별개로 일차로 마그네트론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여과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장착되는 방전 방지구(400)의 제조시 세라믹 물질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혼합비율은 전체 중량비를 100으로 할 때, 세라믹 물질을 약 80 내지 90 중량부로 하고,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을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방전 방지구(400)의 위치는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열이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세라믹 물질이 80중량부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내구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마그네트론의 내부 진공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세라믹 물질의 비율을 80 중량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더 양호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그네트론의 음극부에 결합되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는 종래의 방전 방지구(11)의 홈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플레이트에 마그네트론의 단자(도면부호 미표시)가 관통될 수 있는삽입구(411)가 형성되는 노이즈 감쇠작용체(41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노이즈 감쇠작용체(410)는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이 혼합된 방전 방지구(400)에 아몰퍼스계 및/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감쇠작용체(410)를 함께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감쇠 작용을 위하여 초크코일의 작용과는 독립적으로 콘덴서의 기능을 개선하여 초크코일이 발생된 열에 의해 자기 포화되어 필터기능이 저하됨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될 때에도 외부로 누출되는 노이즈를 콘덴서 자체가 흡수 및/또는 차폐작용을 수행하여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몰딩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유전체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고, 생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그네트론의 음극부 위치에서 방출되는 노이즈를 1차로 흡수시키게 되어 초크코일이 자기포화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방전 방지구를 포함하며, 콘덴서와 초크코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론의 노이즈 방지를 위하여 음극부에 장착되는 노이즈 제거 필터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일 단부에 결합홈(312)을 갖는 캡 삽입부(311)가 형성되고, 다른 일 단부에 브라켓 삽입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캡 삽입부(311)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관통되는 구멍을 갖는 돌기 삽입부(314)와 관통구멍을 갖는 전극 삽입부(315)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유전체 공간(316)이 형성되게 구성되고,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에 유전성 물질이 5 내지 50 중량부로 혼합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상태에 아몰퍼스계 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이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스(310);
    중앙부에 결속구 결합홈(323)을 갖는 삽입돌기(324)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322)가 형성되게 구성되고,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 60 내지 80 중량부에 아몰퍼스계 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 2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캡(320);
    상기 브라켓 삽입부(3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결속구 삽입구(333)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 삽입구(333)의 양 측으로 케이스 삽입구(332)가 형성되는 접지 브라켓(330);
    상기 전극 삽입부(315)에 끼워지는 통전전극(340);
    상기 캡(320)에 관통된 상태로 일 단부가 통전전극(340)과 연결되는 단자(350);
    상기 결속구 삽입구(333)을 관통하여 결속구 결합홈(323)에 체결되어 상기 접지 브라켓(330)과 케이스(310) 및 캡(320)을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결속구(390); 및
    상기 브라켓 삽입부(313)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 삽입부(315)에 결합되는 절연튜브(3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320)은 절연특성을 갖는 내열수지재 60 내지 80 중량부에 도전성 카본블랙 물질 2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간(316)에는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파이프(3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간(316)에는 유전체의 전극으로 제공되는 파이프(370)의 하부 또는 상부에 페라이트계 또는 아몰퍼스계의 업서버(38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방지구는 세라믹 물질을 약 80 내지 90 중량부에 아몰퍼스계 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 10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방지구는 원형 플레이트에 삽입구(411)가 형성되며, 아몰퍼스계 또는 페라이트계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노이즈 감쇠작용체(4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KR20-2003-0022944U 2003-07-15 2003-07-15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KR200333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44U KR200333391Y1 (ko) 2003-07-15 2003-07-15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44U KR200333391Y1 (ko) 2003-07-15 2003-07-15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340A Division KR100618648B1 (ko) 2003-07-15 2003-07-15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391Y1 true KR200333391Y1 (ko) 2003-11-15

Family

ID=4941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44U KR200333391Y1 (ko) 2003-07-15 2003-07-15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80C (zh) 微波炉用磁控管
KR102149316B1 (ko) 마그네트론 및 그를 가지는 고주파 가열기기
CN214753633U (zh) 一种磁控管滤波组件、磁控管以及家用电器
KR100618648B1 (ko)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및 그 제조 방법
KR200333391Y1 (ko) 개선된 노이즈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
JPS6114627B2 (ko)
KR101675401B1 (ko) 전자파 장해 필터용 리액터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파 장해 필터
US4689460A (en) Absorber device for microwave leakage
JP3277215B2 (ja) マイクロウェーブオーブン用マグネトロンの不要電子波遮蔽構造
KR101949566B1 (ko) 2고조파 억제 초크를 구비하는 마그네트론 및 이를 설치한 전자레인지
US20040140770A1 (en) Noise filter for a high frequency generator
CN112786408B (zh) 磁控管滤波组件、磁控管以及家用电器
CN112786410B (zh) 磁控管滤波组件、磁控管以及家用电器
US20040070345A1 (en) Noise filter of high frequency generator
KR100442934B1 (ko) 전자렌지용 캐패시터
JP2003242899A (ja) 電子レンジのキャパシタ
EP1517343B1 (en) Capacitor for magnetron of a microwave oven
KR200357466Y1 (ko) 염가형 마그네트론 노이즈 필터
CN112786409A (zh) 一种磁控管滤波组件、磁控管以及家用电器
JPH09167570A (ja) マグネトロン
KR100266604B1 (ko)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누설 방지구조
KR100395930B1 (ko) 전자렌지용 승압 트랜스포머
KR950002860Y1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고조파 누설방지장치
KR920001568Y1 (ko) 마그네트론
KR950000309Y1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누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