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36Y1 -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36Y1
KR200333336Y1 KR2019980012247U KR19980012247U KR200333336Y1 KR 200333336 Y1 KR200333336 Y1 KR 200333336Y1 KR 2019980012247 U KR2019980012247 U KR 2019980012247U KR 19980012247 U KR19980012247 U KR 19980012247U KR 200333336 Y1 KR200333336 Y1 KR 200333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ading
low noise
reproducing apparatus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418U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2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3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3Gears with belts and pulley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딩 구조에 있어서, 저소음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 다음 단의 기어를 최종의 기어 위에 적층하여 저소음 및 부품배치에 의한 공간확보를 도모하도록 한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로, 트레이 상에 장착된 기록매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0)의 근접 위치 메인 베이스(100)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축(110)(120)과; 상기 제 1고정축(110)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축부(241)를 갖는 제 2기어(240)와; 상기 제 2고정축(240)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기어(240)와 이맞물림되는 제 1기어(230)와; 상기 제 1기어(230)와 이맞물림됨과 동시에 상기 제 2기어(240)의 축부(241)에 고정되는 기어풀리(220)와; 상기 기어풀리(220)는 동력발생수단(200)과 벨트(V)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
본 고안은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딩 구조에 있어서, 저소음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 다음 단의 기어를 최종의 기어 위에 적층하여 저소음 및 부품배치에 의한 공간확보를 도모하도록 한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매체를 본체 내부로 인입시켜 턴테이블에 안착시켜 재생준비에 이르도록 하는 일련의 메카니즘 동작을 구성하는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매체(D)가 얹어 놓기 위한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 상에 장착된 기록매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즉, 로딩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풀리(20)와; 이 기어풀리(20)에 벨트(V)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되는 제 1로딩기어(G1)와; 이 제 1로딩기어(G1)와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 2로딩기어(G2), 제 3로딩기어(G3)와; 상기 제 3로딩기어(G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캠기어(30)와; 이 캠기어(30)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 업/다운(40)과; 이 가이드 업/다운(40)에 의해 승강되는 픽업유니트(50)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트레이(10)의 캠곡선(11)을 따라 이동되는 홀더기어(60)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기어(30)에 연동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로딩장치는 재생 중 사용자가 이젝트 버튼을 누루면,로딩모터(M)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기어풀리(20), 벨트(V), 제 1로딩기어(G1)로 전달되고, 이 제 1로딩기어(G1)는 이와 이맞물림된 제 2로딩기어(G2), 제 3로딩기어(G3), 캠기어(30)로 전달되며, 이 캠기어(30)가 회전되어 가이드 업/다운(40)은 캠기어(30)의 가이드 홈(31)을 따라 아래로 다운되면서 픽업유니트(50)도 동시에 아래로 다운된다.
이때, 턴테이블(t) 상에 있던 기록매체(D)는 트레이(10) 상에 놓이게 된다.
다음, 제 3로딩기어(G3)와 트레이(10)의 랙기어(12)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로딩기어(G3)가 회전하면 트레이(10)는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한다.
다음 트레이(10)가 언로딩이 완료되면 트레이(10)의 리브가 스위치(S)를 눌러 언로딩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로딩모터(M)는 스톱된다.
다음 로딩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레이(10) 상에 기록매체(D)를 올려 놓고 도시하지 않은 버튼을 누르면 로딩모터(M)가 역회전되어 동력은 기어풀리(20), 벨트(V), 제 1로딩기어(G1), 제 2로딩기어(G2), 제 3로딩기어(G3)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레이(10)가 픽업유니트(50) 쪽으로 이동한다.
다음 제 3로딩기어(G3)가 트레이(10)의 캠(11) 곡선을 따라 이동하면 캠기어(30)는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되고, 이때 홀더기어(60)는 센터(θ)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기어(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 캠기어(30)가 회전하면 가이드 업/다운(40)은 캠기어(30)의 가이드홈을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픽업유니트(50)를 상승시킨다.
다음 턴테이블(t)이 기록매체 홀을 가이드하면서 클램핑시킨다.
상기와 같이 로딩이 완료되면 캠기어(30)가 스위치(S)를 쳐서 로딩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로딩모터(M)를 스톱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재생장치는 트레이 상에 장착된 기록매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 즉, 로딩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풀리와, 이 기어풀리에 벨트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되는 제 1로딩기어, 제 2로딩기어, 제 3로딩기어, 캠기어 등이 메인 베이스의 보스 위에 설치된 고정축에 조립되어 회동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과 기어 중심홀의 상대 속도차가 크기 때문에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의 배열이 나열되어 서로 연동되게 설치됨으로서, 공간차지를 많이 하기 때문에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콤팩트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딩 구조에 있어서, 저소음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 다음 단의 기어를 최종의 기어 위에 적층하여 저소음 및 부품배치에 의한 공간확보를 도모하도록 한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상에 장착된 기록매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의 근접 위치 메인 베이스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축과; 상기 제 1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축부를 갖는 제 2기어와; 상기 제 2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기어와 이맞물림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이맞물림됨과 동시에 상기 제 2기어의 축부에 고정되는 기어풀리와; 상기 기어풀리는 동력발생수단과 벨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도 1은 종래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로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딩 시의 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확대 도,
도 3은 종래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측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
도 4는 종래 정보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언로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동력발생수단을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록매체 재생장치 100 : 메인 베이스
110 : 제 1 고정축 120 : 제 2고정축
200 : 동력발생수단 210 : 로딩모터
220 : 기어풀리 221 : 기어부
230 : 제 1기어 240 : 제 2기어
241 : 축부
V : 벨트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동력발생수단을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 기록매체 재생장치(1)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100) 상에 재생부를 로딩 또는 언 로딩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0) 즉 로딩모터(210)가 설치되고, 이 로딩모터(210)의 근접 위치 메인 베이스 상에 제 1 고정축(110) 및 제 2고정축(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제 1고정축(110)에 상부에 축부(241)를 갖는 제 2기어(2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고정축(120)에 하부가 상기 제 2기어(240)와 이맞물림되는 제 1기어(2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상기 제 2기어(240)의 축부(241)에 기어풀리(2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가 상기 제 1기어(230)와 이맞물림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기어풀리(220)는 로딩모터(210)에 벨트(V)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는, 로딩모터(210)이 회전하게 되면 벨트(V)에 연결된 기어풀리(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기어풀리(220)의 기어부(221)에 이맞물림된 제 1기어(2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역회전은 상기 제 1기어(230)와 이맞물림되는 제 2기어(240)에 전달되어 결국 제 2기어(240)는 정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기어풀리(220)와 제 2기어(24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기어풀리(220)는 회전 상대속도가 감소하여 저소음을 유도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의 제 1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풀리와 제 2기어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기어풀리는 회전 상대속도가 감소하여 저소음을 유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어배열에 의해 재생장치의 공간 확보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상에 장착된 기록매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의 근접 위치 메인 베이스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축과;
    상기 제 1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축부를 갖는 제 2기어와;
    상기 제 2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기어와 이맞물림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이맞물림됨과 동시에 상기 제2기어의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풀리와;
    상기 기어풀리는 동력발생수단과 벨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구동을 위한 기록매체 재생장치.
KR2019980012247U 1998-07-06 1998-07-06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KR200333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47U KR200333336Y1 (ko) 1998-07-06 1998-07-06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47U KR200333336Y1 (ko) 1998-07-06 1998-07-06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18U KR20000002418U (ko) 2000-02-07
KR200333336Y1 true KR200333336Y1 (ko) 2004-03-25

Family

ID=4941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247U KR200333336Y1 (ko) 1998-07-06 1998-07-06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18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539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disc tray loading mechanism of optical disc player)
US6459671B1 (en) Disk tray shift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player
KR200333336Y1 (ko) 저소음구동을위한기록매체재생장치
JP200429609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用トレー
JPH07169167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ー
US7475409B2 (en) Disc changer device
KR970001667B1 (ko) 트레이 구동장치
WO1999023654A1 (en)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KR900005914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우터를 이용한 로딩장치
JPH0113474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2541264Y2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0076764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11167758A (ja)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搬送装置
US6233216B1 (en) Device for loading a tray down into a pick up disk player
KR200195851Y1 (ko) Cd 플레이어의 cd 수납부 구동장치
KR900010763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광디스크로딩장치
KR910000318Y1 (ko) 80/120㎜ 공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식 디스크 홀더 장치
KR100290759B1 (ko) 정보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23888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0132069Y1 (ko) 브이씨알겸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모터 제어구조
KR0134830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51886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9990041439A (ko) 무선의 전원공급수단을 이용한 광기록 매체 로딩장치
JPH0749667Y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