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264Y1 -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264Y1
KR200333264Y1 KR20-2003-0025386U KR20030025386U KR200333264Y1 KR 200333264 Y1 KR200333264 Y1 KR 200333264Y1 KR 20030025386 U KR20030025386 U KR 20030025386U KR 200333264 Y1 KR200333264 Y1 KR 200333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ower
pulley
driving drum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20-2003-0025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된 구동드럼이 주행 중인 자동차 바퀴에 의해 회전토록 하고 이 구동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생된 회전동력을 발전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도로의 세로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부 일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와 마찰하여 회전하는 구동드럼; 상기 각 구동드럼과 연결되고 이들 구동드럼들의 회전동력을 종동풀리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샤프트;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이 종동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드럼과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각 구동드럼들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제어수단;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종동샤프트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전기에 전달하는 가속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The generation apparatus of electricity using wheels of a car}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동드럼이 주행 중인 자동차 바퀴에 의해 회전토록 하고 이 구동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생된 회전동력을 발전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서, 자체의 연료 및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궁한 발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시설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발전은 발전소에서 수력, 화력 및 원자력을 이용하여 주로 대용량을 발전하였으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소용량을 발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를 발전시키는 발전소는 대형시설을 갖추어야 하므로 건설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의 경우에는 연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발전시키게 되므로 연료의 사용에 따른 추가비용과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력발전소의 경우에는 댐 건설에 따른 막대한 부지와 비용이 소요되고, 수몰지역의 발생으로 자연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안전한 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및 보수에 많은 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경우에는 핵처리시설 및 폐기물처리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집단이기주의로 인해 자기 지역에 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발전시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동드럼이 주행 중인 자동차 바퀴에 의해 회전토록 하고 이 구동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생된 회전동력을 발전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서, 자체의 연료 및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궁한 발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시설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도로의 세로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부 일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와 마찰하여 회전하는 구동드럼;
상기 각 구동드럼과 연결되고 이들 구동드럼들의 회전동력을 종동풀리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샤프트;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이 종동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드럼과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각 구동드럼들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제어수단;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종동샤프트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전기에 전달하는 가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드럼 상부에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동샤프트에 종동풀리의 조립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모터가 구동드럼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제어수단 내부를 보인 단면도로서, 발톱이 래칫바퀴의 톱니에 치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제어수단 내부를 보인 단면도로서, 발톱이 래칫바퀴의 톱니에서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전장치 2 : 하우징
3 : 구동드럼 4 : 종동풀리
5 : 종동샤프트 6 : 동력전달부재
7 : 동력제어수단 8 : 발전기
9 : 가속수단 15 : 보조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드럼 상부에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동샤프트에 종동풀리의 조립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모터가 구동드럼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동력제어수단 내부를 보인 단면도로서, 발톱이 래칫바퀴의 톱니에 치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제어수단 내부를 보인 단면도로서, 발톱이 래칫바퀴의 톱니에서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도로에 매립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2), 상기 각 하우징(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W)와 마찰하여 회전하는 구동드럼(3), 상기 각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종동풀리(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샤프트(5), 상기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5)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드럼(3)과 종동풀리(4)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6), 상기 각 구동드럼(3)들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5)에 전달하는 동력제어수단(7), 상기 종동샤프트(5)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8); 및 상기 종동샤프트(5)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전기(8)에 전달하는 가속수단(9);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행 중인 자동차의 바퀴(W)가 도로의 지면에 돌출된 각 구동드럼(3)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 구동드럼(3)들은 동력전달부재(6)에 의해 회전력을 그와 대응되게 연결된 동력제어수단(7)의 종동풀리(4)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종동풀리(4)들 중 가장 빠른 종동풀리(4)가 그 회전력을 종동샤프트(5)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동풀리(4)로부터 전달받은 종동샤프트(5)의 회전속도는 가속수단(9)의 다단식 가속풀리에 의해 속도가 점차 가속되어 발전기(8)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발전기(8)는 전기를 발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된 전기는 변압실(10)을 경유하여 송전탑(11)으로 공급된 다음 전기의 사용장소인 공장이나 가정 및 빌딩으로 공급된다.
상기 하우징(2)은 상기 구동드럼(3)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도로의 폭방향에 매립된다.
이러한 하우징(2)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상기 구동드럼(3)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의 상부는 구동드럼(3)이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드럼(3)을 받침지지는 롤러(12)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공간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2)은 도로에 매립되기 때문에 녹슬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회전하는 구동드럼(3)을 내부에 수용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열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는 주강이나 알루미늄재가 좋을 것이다.
상기 구동드럼(3)은 상기 하우징(2)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 회전하는 바퀴(W)와 마찰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력은 발전에 필요한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구동드럼(3)은 도 1과 같이 인접된 2개가 동시에 자동차의 앞,뒤바퀴(W)와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만약 인접된 2개의 구동드럼(3)이 자동차의 앞,뒤바퀴(W)와 접촉하게 되면 자동차는 진행하지 않고 상기 구동드럼(3)만 회전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구동드럼(3)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바퀴(W)와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도로의 노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하부는 롤러(12)에 탑재되어 회전마찰을 최소화하였다.
상기 구동드럼(3)은 외주연에 바퀴(W)와의 마찰력을 높여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마찰돌기(13)가 형성되는데, 상기 마찰돌기(13)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드럼(3)의 상단부는 도로의 지면보다 더 높게 설치하여 비나 눈이 왔을 때 비나 눈이 상기 구동드럼(3)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여 구동드럼(3)을 수명은 연장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드럼(3)의 상부에는 도 3과 같이 비나 눈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막(14)을 설치하여 구동드럼(3)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구동드럼(3)은 회전축(3a)이 후술할 동력제어수단(7)의 종동풀리(4)와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어 종동샤프트(5)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드럼(3)의 회전축(3a)에는 자동차의 바퀴(W)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구동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모터(15)를설치하여, 자동차의 주행이 한가한 시간이나 자동차의 주행을 통제할 경우에 그 보조모터(15)를 구동하여 발전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모터(15)는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드럼(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드럼(3)은 중앙분리대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 편도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발전용량을 크게 할 경우에는 양측 도로에 설치되어 대용량의 전기를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종동샤프트(5)는 상기 구동드럼(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그 회전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속수단(9)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동샤프트(5)는 동력제어수단(7)의 종동풀리(4)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동드럼(3)과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고, 이들 구동드럼(3)들 중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6)가 연결되는 구동드럼(3)의 회전축(3a)과 종동풀리(4)의 회전축(4a)은 종동풀리(4) 및 종동샤프트(5)가 가속될 수 있도록 종동풀리(4)의 회전축(4a)이 구동드럼(3)의 회전축(3a) 지름보다 작게 하는 것이 좋다. 이들 구동드럼(3)의 회전축(3a)과 종동풀리(4)의 회전축(4a) 지름의 크기는 속도비가 약 1:5정도 가속되도록 종동풀리(4)의 지름을 더 작게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6)는 구동드럼(3)과 종동풀리(4)를 연결하여 구동드럼(3)의 회전력에 의해 종동풀리(4) 및 종동샤프트(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타이머벨트, 평벨트, 체인장치 또는 기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종동풀리(4)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슬립을 방지하여 동력전달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타이머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동력제어수단(7)은 각 구동드럼(3)들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종동풀리(4) 및 종동샤프트(5)에 전달하여 서행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주행속도가 다른 자동차의 바퀴(W)가 상기 구동드럼(3)과 접촉하게 되면 각각의 구동드럼(3)의 회전속도는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종동풀리(4) 및 종동샤프트(5)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종동샤프트(5)는 전달된 상기 각각의 구동드럼(3)의 회전속도를 안전하게 정리해야 하는데, 가장 빨리 회전하는 구동드럼(3)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저속으로 회전하는 다른 구동드럼(3)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력제어수단(7)은,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동샤프트(5)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종동풀리(4)와, 종동샤프트(5)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종동샤프트(5)를 종동풀리(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이 톱니(16a)가 형성되는 래칫바퀴(16)와, 상기 종동풀리(4)의 내주연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래칫바퀴(16)의 톱니(16a)와 치합 또는 해제되어 종동샤프트(5)를 종동풀리(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단속하는 발톱(17) 및 상기 발톱(17)이 상기 래칫바퀴(16)의 톱니(16a)에 치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풀리(4)는 상기 각 구동드럼(3)와 일대일 대응된 상태로 종동샤프트(5)에 조립되기 때문에 구동드럼(3)과 같은 수량을 갖는다.
이러한 종동풀리(4)는 종동샤프트(5)에 조립될 수 있도록 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그 외주연이 동력전달부재(6)와 연결되어 구동드럼(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5)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발톱(17)이 래칫바퀴(16)의 톱니(16a)와 치합되면 종동샤프트(5)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발톱(17)이 상기 톱니(16a)에서 벗어나게 되면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 과정은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래칫바퀴(16)는 종동샤프트(5)의 외주연에 형성되는데, 상기 발톱(17)과 치합될 수 있도록 그 둘레에 톱니(1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발톱(17)이 톱니(16a)에 치합되면 래칫바퀴(16)는 상기 종동풀리(4)와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샤프트(5)도 종동풀리(4)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발톱(17)은 종동풀리(4)의 내주연에 힌지축(17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칫바퀴(16)의 톱니(16a)에 치합되어 종동샤프트(5)가 종동풀리(4)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종동샤프트(5)의 회전방향을 단속한다.
여기서, 가장 빨리 회전하는 종동풀리(4)에 의해 종동샤프트(5)가 그 종동풀리(4)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머지 종동풀리(4)들은 상기 회전하는 종동풀리(4)보다 늦게 회전하게 되므로, 늦게 회전하는 종동풀리(4)는 빨리 회전하는 종동풀리(4)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가 되는데, 이 때 상기 발톱(17)은 톱니(16a)의 외측과 미끄러지면서 그 종동풀리(4)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락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샤프트(5)는 가장 빨리 회전하는 종동풀리(4)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늦게 회전하는 종동풀리(4)의 회전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가장 빨리 회전하는 구동드럼(3)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발톱(17)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사용하면 좋다.
상기 탄성부재(18)는 발톱(17)이 톱니(16a)와 치합될 수 있도록 발톱(17)을 톱니(16a)에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동력제어수단(7)은 통상적인 구조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발전기(8)는 통상적인 발전기를 사용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속수단(9)은 종동샤프트(5)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점차 지름이 작은 복수 개의 가속풀리(19)(20)(21)(22)를 다단식으로 배치하고 이들 가속풀리(19)(20)(21)(22)를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하며, 마지막 가속풀리(22)를 상기 발전기(8)의 회전축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가속수단(9)의 일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회전축(19a)이 상기 종동샤프트(5)와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1가속풀리(19), 회전축(20a)이 상기 제 1가속풀리(19)와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2가속풀리(20), 회전축(21a)이 상기 제 2가속풀리(20)와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3가속풀리(21) 및 회전축(22a)이 제 3가속풀리(21)와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고 그 외경이 상기 발전기(8)의 회전축과 동력전달부재(6)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4가속풀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속풀리(19)는 회전축(19a)이 동력전달부재(6)에 의해 상기 종동샤프트(5)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가속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연결되는 가속수단(9)은 각 단계의 가속풀리(19)(20)(21)(22)들마다 가속비가 약 1:5정도 증가하도록 가속풀리(19)(20)(21)(22)들의 크기를 점차 축소하여 구동드럼(3)에서부터 발전기(8)까지 점차 가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속비는 구동드럼(3)에서부터 발전기(8)까지는 5단계로 가속되는데, 이는 예컨대, 구동드럼(3)의 회전속도가 5rpm이라 가정한다면 발전기(8)의 회전속도는 5rpm - 25rpm - 125rpm - 600rpm - 3000rpm의 5단계의 순서로 증가되어 발전에 필요한 회전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발전장치(1)는 복수 개의 구동드럼(3)이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에 약간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W)가 상기 드럼들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구동드럼(3)들이 상기 바퀴(W)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드럼(3)들의 회전력은 동력전달부재(6)에 의해 그와 일대일로 연결된 종동풀리(4)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은 종동풀리(4)들 중 가장 빨리 회전하는 어느 종동풀리(4)가 가속된 상태로 먼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발톱(17)은 래칫바퀴(16)의 톱니(16a)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회전하는 그 종동풀리(4)는 종동샤프트(5)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하는 종동샤프트(5)는 제 1가속풀리(19)와 연결되어 제 1가속풀리(19)를 가속시키고, 제 1가속풀리(19)는 그와 연결된 제 2가속풀리(20)를 가속시키며, 이러한 순서에 의해 상기 제 2가속풀리(20)는 제 3가속풀리(21)를, 상기 제 3가속풀리(21)는 제 4가속풀리(22)를, 그리고 상기 제 4가속풀리(22)는 그와 연결된 발전기(8)를 가속시키게 되는데, 발전기(8)는 구동드럼(3)의 회전속도에 비해 그 회전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동드럼이 주행 중인 자동차 바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토록 하고 이 구동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생된 회전동력을 발전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획기적인 발전장치로서, 자체의연료 및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궁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의 대형 발전장치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도로 외부에 각종 시설물이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어 할 수 있어 하여한 자연을 각종 도로 외부로 소형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설비용을 줄이고 현저히 시설을 발전시설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도로의 세로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부 일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와 마찰하여 회전하는 구동드럼;
    상기 각 구동드럼과 연결되고 이들 구동드럼들의 회전동력을 종동풀리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샤프트;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이 종동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드럼과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각 구동드럼들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종동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제어수단;
    상기 구동드럼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종동샤프트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가속시켜 발전기에 전달하는 가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드럼은 외주연에 자동차 바퀴와의 마찰력을 높일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마찰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하부에 이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지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롤러상에 구동드럼을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타이머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어수단은,
    링형상의 몸체가 상기 각 구동드럼과 대응되게 상기 종동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그 외주연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구동드럼의 동력을 상기 종동샤프트에 전달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샤프트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종동샤프트를 종동풀리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이 톱니가 형성되는 래칫바퀴;
    상기 종동풀리의 내주연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래칫바퀴의톱니와 치합 또는 해제되어 종동샤프트를 종동풀리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단속하는 발톱; 및
    상기 발톱이 상기 래칫바퀴의 톱니에 치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수단은 종동샤프트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점차 지름이 작은 복수 개의 가속풀리를 다단식으로 배치하고 이들 가속풀리를 동력전달부재로 연결하며, 마지막 가속풀리를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수단은, 회전축이 상기 종동풀리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1가속풀리;
    회전축이 상기 제 1가속풀리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2가속풀리;
    회전축이 상기 제 2가속풀리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3가속풀리; 및
    회전축이 제 3가속풀리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고 그 외경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과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제 4가속풀리;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 구동드럼에 보조모터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통행 감소 또는 자동차의 주행차단으로 구동드럼이 정지될 때 상기 보조모터가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드럼의 상단부는 도로의 지면보다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드럼 상부에 비나 눈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3-0025386U 2003-08-06 2003-08-06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0333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86U KR200333264Y1 (ko) 2003-08-06 2003-08-06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86U KR200333264Y1 (ko) 2003-08-06 2003-08-06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887A Division KR20050016252A (ko) 2004-11-05 2004-11-05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264Y1 true KR200333264Y1 (ko) 2003-11-14

Family

ID=4941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386U KR200333264Y1 (ko) 2003-08-06 2003-08-06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2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977A1 (en) * 2005-07-12 2007-01-18 Gichun Kim Push car
KR101992235B1 (ko) * 2018-07-20 2019-06-24 김상진 차량 바퀴와의 마찰력을 이용한 도로 발전장치
CN111456920A (zh) * 2020-03-25 2020-07-28 贵州中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汽车公路面发电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977A1 (en) * 2005-07-12 2007-01-18 Gichun Kim Push car
KR101992235B1 (ko) * 2018-07-20 2019-06-24 김상진 차량 바퀴와의 마찰력을 이용한 도로 발전장치
CN111456920A (zh) * 2020-03-25 2020-07-28 贵州中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汽车公路面发电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2163B (zh) 电机用传动装置及其控制装置
KR20050016252A (ko)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062880A (ko) 송전선로의 빙설 제거로봇
RU2006136794A (ru) Гибри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гибридным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мощности
KR200453826Y1 (ko) 환기팬 풍력발전장치
KR200333264Y1 (ko) 자동차 바퀴를 이용한 발전장치
WO2015108366A1 (ko)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휠 구동장치 및 휠 구동방법
CN102421619B (zh) 变速器系统
KR10077465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US20110298222A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moving vehicles
KR102102774B1 (ko) 발전성능을 향상시킨 타워형 풍력발전기
KR100522616B1 (ko) 태양에너지, 자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070004353A (ko) 자동차 도로 및 터널의 자가발전 시스템
KR100938380B1 (ko) 전동 스쿠터
JP2001294149A (ja) 索道の原動装置
EP0993098A2 (en) Device for regulating an electric generator used in a vehicle
CN209616873U (zh) 一种正反单向共轴二级变速轮装置
KR1007746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KR20050107864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풍력발전장치
KR20000019360U (ko) 엔진의 축전장치
RU2772267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рулонов сена, соломы (варианты)
JP2014093865A (ja) 電動車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KR20040045154A (ko) 편심 회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9990031679U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CN2311621Y (zh) 摩托车用电起动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