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387Y1 - 수납식 절첩우산 - Google Patents

수납식 절첩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387Y1
KR200332387Y1 KR20-2003-0025039U KR20030025039U KR200332387Y1 KR 200332387 Y1 KR200332387 Y1 KR 200332387Y1 KR 20030025039 U KR20030025039 U KR 20030025039U KR 200332387 Y1 KR200332387 Y1 KR 200332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stand
stand
button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장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영 filed Critical 장재영
Priority to KR20-2003-0025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시에는 우산을 수납함에 넣어 보관하다가 사용코자 할 때 펼침버튼을 누르면 우산이 수납함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우산천의 풀림과 우산대 및 우산살의 펼쳐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수납식 절첩우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우산손잡이에 설치된 해제버튼을 누르면 우산살이 전개되고 우산대에 끼워진 이동슬리브를 내려 록커에 구속시키면 우산살이 접힌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절첩식 자동우산에 있어서; 하측 단부에 이동슬리브를 구속하는 록커를 설치하고 있는 상부우산대와; 적어도 2개이상의 중첩지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중 내측지지관의 선단을 상기 상부우산대 단부와 링크부재로 연결한 하부우산대와; 하부우산대의 외측지지관을 고정한 체 내면에 우산 수용공간을 확보하며, 그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버클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수납함; 및 수납함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덮개체와; 상기 수납함의 버클 안내레일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버튼을 가지고 있고, 이 해제버튼에 메인레버를 통해 높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기능버튼 어셈블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식 절첩우산 {Receiving type folded umbrella}
본 고안은 절첩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시에는 우산을 수납함에 넣어 보관하다가 사용코자 할 때 펼침버튼을 누르면 우산이 수납함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우산천의 풀림과 우산대 및 우산살의 펼쳐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수납식 절첩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2단 또는 3단 등 다단으로 접히도록 구성한 접힘우산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부분의 버튼을 누르면 우산살이 스프링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같한 우산들은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7-1025호, 제92-9878호, 제93-11709호 등에 소개되고 있고,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펴고 접을 수 있는 자동우산의 구조가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7-1012호, 제93-11708호, 제95-2324호 등에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자동우산들은 우천시에 쓰고 나서 접고 다닐 때 물이 젖어 있거나 천을 따라 흘러내려 건물 바닥을 젖게 하거나 가방, 옷 등을 적시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더욱이 비에 젖은 우산을 우산보관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 휴대하는 경우, 건물의 바닥이 우산으로부터 떨어진빗물에 의해 젖게 됨으로서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커다란 불편을 끼치게 됨은, 물론 바닥을 적시고 있는 빗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유발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수납주머니 또는 수납 케이스를 갖춘 우산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18578호, 191252호, 262279호, 220484호와 함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60574호, 2000-31618호, 2001-25677호 등에 다수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역시 빗물을 흘리지 않도록 한다는 차수기능을 지나치게 고려한 나머지 우산의 펼쳐지는 동작을 소홀히 함으로서, 우산을 담는 용기 이외에 어떠한 기능도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하고 난 젖은 우산을 용이하게 수납하여 실내에 빗물을 떨어트리지 않도록 함은 물론, 수납함에 보관중인 우산 펼침시 일반의 자동우산과 같이 간편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버튼 누름동작에 의해 우산이 수납함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우산천의 풀림과 우산대 및 우산살의 펼쳐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펼침기능을 갖는 수납식 절첩우산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수납식 절첩우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우산대 결합구조 예시도. (도 3a, 3b, 3c)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기능버튼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기능버튼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도 5의 기능버튼 어셈블리 동작상태 예시도.
도 7은 도 5의 개별 우산 펼침버튼 동작상태 예시도. (도 7a, 7b, 7c)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부우산대, 11:우산살, 12:고정슬리브, 13:이동슬리브, 13a:간격보상버튼, 13b:보상버튼 수용관, 14,28:록커, 15,25,57:힌지핀, 16,26:스프링 걸림핀, 17,27:링크걸림홈, 18:묶음밴드, 19:고정버클, 20:하부우산대, 21:내측지지관, 22:중간지지관, 23:외측지지관, 29:로커걸림홈, 30:링크부재, 31:장공, 32:스프일고리부, 33,58:스프링, 40:수납함, 41:우산수용공간, 42:버클안내레일, 43:덮개체, 44:버클정지턱, 45:보조손잡이, 46:손잡이 수용홈, 47:절개홈, 50:기능버튼 어셈블리, 51:해제버튼, 52:메인레버, 53:우산살 펼침버튼,53a:연장레버, 54:묶음밴드 펼침버튼, 55:하부우산대 펼침버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 상부의 고정슬리브 및 이동슬리브를 연결하며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중절첩이 가능한 복수개의 우산살을 포함하며, 우산손잡이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누르면 우산살이 전개되고 우산대에 끼워진 하부 슬리브를 내려 록커에 구속시키면 우산살이 접힌상태를 유지하는 절첩식 자동우산에 있어서,
우산살이 설치되는 고정슬리브와 이동슬리브를 이격되게 구비하고 있고, 그 하측 단부에 이동슬리브를 구속하는 록커를 설치하고 있는 상부우산대와; 적어도 2개이상의 중첩지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중 내측지지관의 선단을 상기 상부우산대의 마주보는 단부와 직각방향으로 2중 굴절되도록 링크부재로 연결한 하부우산대와; 하부우산대의 외측지지관을 고정한 체 내면에 우산 수용공간을 확보하며, 그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버클 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납함; 및 수납함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덮개체와; 상기 수납함의 버클 안내홈부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버튼을 가지고 있고, 이 해제버튼에 메인레버를 통해 높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기능버튼 어셈블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라, 우산살을 접어 우산천을 묶음밴드의 버클로 고정시킨 후 상부우산대를 들어올려 하부우산대와 이격시키면서 상부우산대를 접는다. 이 상태에서 접혀진 우산을 수납함에 넣고 덮개체를 닫으면 밀폐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우산을 펼칠때는 덮개체를 연 상태에서 수납함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버튼을 누르면 하부우산대 펼침버튼과 우산천 풀림버튼 및 록커 해제를 위한 우산살 펼침버튼이 동시에 눌리어져 해제됨으로서 꺾여진 우산대가 위로 복귀하는 동시에 우산살이 연속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수납식 절첩우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a와 3b 및 3c는 본 고안에 있어서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우산대의 결합구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우산대는, 우산살(11)을 접었을 때 이동슬리브(13)가 도달하는 하부지점의 바로 밑에서 꺾일 수 있도록 제공되는 상부우산대(10)와, 이동슬리브(13)의 영향을 받지 아니한 체 단지 지지축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이상의 중첩지지관으로 이루어진 하부우산대(20)로 분리되어 있다.
상부우산대(10)에는, 우산살(11)의 일단이 지지되는 고정슬리브(12)와, 우산살(11)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며 상부우산대(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우산을 접거나 펼치게 되는 이동슬리브(13)를 이격되게 구비하고 있고, 그 하측 단부에는 이동슬리브(13)를 구속하는 록커(14)가 설치된다.
상부우산대(10) 단부의 록커(14)에 의해 구속되는 상기 이동슬리브(13)는, 다중절첩되는 우산살(11)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도록 록커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이동슬리브(13)를 구속하는 록커(14)를 외부에서 해제시키는데에 상기 우산살(11) 및 이를 감싸고 있는 우산천(T)이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는 링크부재(3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링크부재(30)는 하부우산대(20)가 길이방향으로 펼쳐질 때 장애를 유발하지 아니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상부우산대(10)의 선단과 여기에 마주보며 결합되는 하부우산대의 내측지지관(21) 선단에 각각 신축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다시말해, 적어도 2개이상의 지지관으로 중첩 조립되는 하부우산대(20)중 내측지지관(21)의 선단을 상기 상부우산대(10)의 마주보는 단부와 직각방향으로 2중 굴절되도록 링크부재(30)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30)는, 상하 한쌍의 장공(31)과 그 외측에 돌설되는 스프링 고리부(32)로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31)에는 상부우산대(10) 및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 단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힌지핀(15,25)을 이탈 억제된 상태로 끼워주는 것이고, 상기 스프링 고리부(32)는 상부우산대(10) 및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에 힌지핀(15,25)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개별 스프링 걸림핀(16,26)과 인장스프링(33)을 연결하여 주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이 항상 당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같은 상기 링크부재(30)는, 상부우산대(10)와 다중관으로 구성되는 하부우산대(20)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아 있을 때 도 3a와 같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 속에 반반씩 들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우산대(10) 및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으로 일정 깊이 삽입된 상기 링크부재(30)는 상부우산대(10) 및 하부우산대(20)의 구부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연결상태와 내구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우산대(10)와 다중관으로 구성되는 하부우산대(20)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는 결합단부 중 어느 한쪽의 내경을 다소 좁아지도록 형성시켜, 통상의 폴대와 같이 선단에 걸림턱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부는 결합의 안정감을 가져오게 됨을 예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우산대(10)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링크부재(30)는 도 3b와 같이 상부우산대(10) 및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링크부재(30)는 상하 한쌍의 장공(3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힌지핀(15,25)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상부로 당겨진 상부우산대(10)를 내측으로 꺾으면, 상기 링크부재(30)는 도 3c에서와 같이 힌지핀(15,25)을 중심으로 2점 관절운동을 하여,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 단부에 각각 걸쳐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부재(3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상기 상부우산대(10)와 상기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 단부에는, 직각방향 굴절시 링크부재(3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동일방향에 링크걸림홈(17,27)을 각각 절개한다.
한편, 다중관으로 구성되는 상기 하부우산대(20)의 외측지지관(23)은, 그 내면에 우산 수용공간(41)을 확보하고 있는 수납함(4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수납함(4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버클 안내레일(42)이 설치되고, 이 수납함(40)의 상측에는 입구부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덮개체(43)가 제공된다.
수납함(4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에는, 우산천(T)을 외부에서 감싸며 고정하는 묶음밴드(18) 선단의 고정버클(19)이 유동 억제된 상태로 끼워진다.
고정버클(19)은, 그 결합구가 측면에서 고정되는 안전밸트 타입으로서, 전방으로부터의 누름동작에 의해 우산천(T)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묶음밴드(18)의 결합구가 고정버클(19)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납함(40)의 버클 안내레일(42)에는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버튼(51)과, 이 해제버튼(51)에 메인레버(52)를 통해 높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능버튼들이 어셈블리(50)를 이루며 내향 설치된다.
상기 기능버튼 어셈블리(50)는, 구체적으로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외부로 노출된 해제버튼(51)과, 이 해제버튼(51)에 연동하는 메인레버(52)와, 이 메인레버(52) 상단에 설치되어 해제버튼(51) 누름동작시 상부우산대(10)의 록커(14)를 해제시키는 우산살 펼침버튼(53)과, 상기 메인레버(52)의 대체로 중간에 위치하며 해제버튼(51) 누름시 우산천(T)을 감싸고 있던 고정버클(19)을 해제시키는 묶음밴드 펼침버튼(54), 그리고 상기 메인레버(52)의 하부에 위치하고 해제버튼(51) 누름시 하부우산대(20)를 구성하고 있는 2개이상의 지지관을 상부로 향해 단계적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부우산대(10)와 이에 결합된 우산살(11)이 상기 수납함(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우산대 펼침버튼(55)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어셈블리(50)의 개별 기능버튼들은, 상기 수납함(40)에 삽입되는 접히어진 우산의 각 부분들을 향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눌림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을 따라 1차로 삽입될 우산천 묶음밴드(18) 고정버클(19)의 삽입위치를 지정할 버클정지턱(44)이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의 내면에 제공된다.
상기 수납함(40)에는 일면이 수납함에 연결되는 덮개체(43)가 제공되고, 바닥면에는 휴대용 끈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리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체(43)는 특별히 그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가요성으로서 저면의 가장자리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함(40)의 상부에 덮고 하향으로 누르면 덮개체(43)의 저면 가장자리가 수납함(40)의 상단에 액밀하게 끼워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수납함(40)과 연결고리 또는 연결용 밴드로 연결되게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접히는 하부우산대(20)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 우산은 하부우산대(20)의 내측지지관(21)의 하단에 다중지지관 승강억제용 록커(28)를 탄력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는 상부우산대(10)의 펼쳐짐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하부우산대(20)의 다중지지관이 승강억제용 록커(28)에 의해 접힘 또는 펼쳐지는 동작을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측지지관(21)과 외측지지관(23)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중간지지관(22)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우산대(20)는, 승강억제용 록커(28)의 규제가 해제될 때 상부로 신속히 펼쳐질 수 있도록 내부에 압축스프링(도시생략)이 탄설된다. 그리고 하부우산대(20) 내측지지관(21)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다중지지관 승강억제용 록커(28)는, 외측지지관(23)의 저부에 마련되는 록커 걸림홈(29)에 의해 규제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기능버튼 어셈블리(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산살 펼침버튼(53)은, 상부우산대(10)의 록커(14)를 구속하는 이동슬리브(13)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하여서 되는 연장레버(53a)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장레버(53a)는 메인레버(52) 상단에 힌지(57) 연결된 체 수직상태유지용 스프링(58)으로 탄설하게 되는데, 이는 우산이 수납함(40)에 삽입되거나 펼쳐질 때 장애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이는 기능버튼 어셈블리(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우산대(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록커(14)를 구속하는 이동슬리브(13)의 외주연 일측에, 상기 우산살 펼침버튼(53)과의 간격을 보상하게 되는 간격보상버튼(13a)을 탄력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보상버튼 수용관(13b)을 돌설하고 있다. 이로인해 상기 우산살 펼침버튼(53)은 버클 안내레일(42)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동슬리브(13)의 외주연에 돌설되는 이같은 보상버튼 수용관(13b)은, 상기 우산천 묶음밴드(18)의 고정버클(19)이 버클 안내레일(42)에 삽입되듯이 이 또한 상기 버클 안내레일(42)에 그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수납함(40)의 버클 안내레일(42)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보상버튼 수용관(13b)은, 상기 기능버튼 어셈블리(50)의 동작시 개별 버튼들의 접촉과 안정적인 눌림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상부우산대(10)가 수납함(40)에 삽입될 때 혹은 수납함(40)으로부터 상부로 이탈될 때, 다른 버튼들의 기능을 저해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도 6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능버튼 어셈블리(50)의 동작에 의해 이동슬리브(13)가 상기 록커(14)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7a와 7b 및 7c는 각각 도 5의 개별 버튼들의 동작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부우산대(20)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수납함(40)의 저면에는, 보조손잡이(45)를 수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보조손잡이(45)는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부우산대(20)의 외주연을 따라 저면이 개방된 2중관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수용홈(46)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홈(47)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47)은 상기 보조손잡이(45)를 삽입하거나 하부로 노출시킬 때에 내측지지관(21) 하단에 돌설되는 상기 다중지지관 승강억제용 록커(28) 및 록커 걸림홈(29)이 가리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예에 의하면, 먼저 수납함(40) 내에 우산을 넣기 위해서는 도 2에 점선으로 표현한 바와같이 우산살(11)을 접어서 우산천(T)의 주위를 묶음밴드(18)로 묶은 후 고정버클(19)을 채운다. 이 상태에서 록커(14)는 이동슬리브(13)를 하향으로 구속하고 있다.
다음에, 수납함(40) 또는 보조손잡이(45)와 상부우산대(10)를 잡고 상부우산대(10)를 위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가 탄력적으로 분리되면서 링크부재(30)가 밖으로 나온다.
링크부재(30)의 양단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에서 거의 다 나왔을때 상부우산대(10)를 약 180도방향으로 꺾는다. 이때에 링크부재(30)는 스프링력을 받으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걸쳐져 있다. 그런 다음 2개이상의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하부우산대(20)를 접게되면 우산살(11)과 함께 우산천(T)이 접히어진 상부우산대(10)가 수납함(40)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하부우산대(20)가 완전히 접히면, 내측지지관(21) 하부에 설치된 록커(28)가 외측지지관(23)의 저부에 마련된 록커걸림홈(29)에 결합됨으로서 안정적인 보관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때, 덮개체(43)를 수납함(40) 위에 닫으면 수밀을 유지하는 우산의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우산을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체(43)를 연 상태에서 수납함(40) 일측에 마련된 버클 안내레일(42)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해제버튼(51)을 누른다. 그러면 메인레버(5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기능버튼(53,54,55)들이 이동슬리브(13)을 규제하고 있는 록커(14)와, 우산천(T)이 풀리지 않도록 감싸고 있는 묶음밴드(18)의 고정버클(19), 및 하부우산대(20)의 펼쳐짐을 규제하고 있는 내측지지관(21) 하부의 록커(28)를 동시에 누른다.
이 상태에서는 우산살(11)이 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받게 되며 상부우산대(10)도 상향으로 펴지려는 스프링력을 받는다. 따라서, 우산은 수납함(40) 속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나오면서 도 2와 같이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가 펴져 수직방향으로 일치하게 되며, 이동슬리브(13)의 상승에 의해 우산살(11)이 펴지게 된다.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가 펴질 때 링크부재(30)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부우산대(10)와 하부우산대(20) 속으로 복귀한다. 우산을 접을 때에는 전기한 방법으로 다시 접어서 수납함(30) 내에 넣고 휴대하거나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우산을 접어서 수납함에 넣고 덮개체를 닫으면 액밀하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 우산을 쓰고 나서 접었을 때 물이 젖거나 새지 않으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 펼칠 때에도 해제버튼만 누르면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수납함 안에서 나오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다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우산대와, 상부의 고정슬리브 및 이동슬리브를 상호 연결하며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중절첩이 가능한 복수개의 우산살을 포함하며, 우산손잡이에 설치된 해제버튼을 누르면 우산살이 전개되고 우산대에 끼워진 이동슬리브를 내려 록커에 구속시키면 우산살이 접힌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절첩식 자동우산에 있어서,
    우산살이 설치되는 고정슬리브와 이동슬리브를 이격되게 구비하고 있고, 그 하측 단부에 이동슬리브를 구속하는 록커를 설치하고 있는 상부우산대와;
    적어도 2개이상의 중첩지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중 내측지지관의 선단을 상기 상부우산대의 마주보는 단부와 직각방향으로 2중 굴절되도록 링크부재로 연결한 하부우산대와;
    하부우산대의 외측지지관을 고정한 체 내면에 우산 수용공간을 확보하며, 그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버클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수납함; 및
    수납함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덮개체와;
    상기 수납함의 버클 안내레일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버튼을 가지고 있고, 이 해제버튼에 메인레버를 통해 높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기능버튼 어셈블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우산대 단부의 록커에 의해 구속되는 상기 이동슬리브는, 다중절첩되는 우산살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도록 록커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하 한쌍의 장공과 그 외측에 돌설되는 스프링 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에는 상부우산대 및 하부우산대의 내측지지관 단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힌지핀이 이탈억제된 상태로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 고리부에는 힌지핀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프링 걸림핀과의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연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상기 상부우산대와 상기 하부우산대의 내측지지관 단부에는, 동일방향에 링크걸림홈을 각각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수납함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외향 돌설되는 상기 버클 안내레일에는, 우산천을 외부에서 감싸며 고정하는 안전밸트타입의 고정버클 선단이 유동억제된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버클 안내레일을 따라 설치하되, 외부로 노출된 해제버튼과, 이 해제버튼에 연동하는 메인레버와, 이 메인레버 상단에 설치되어 해제버튼 누름시 상기 록커를 해제시키는 우산살 펼침버튼과, 상기 메인레버의 중간에 위치하며 해제버튼 누름시 상기 우산천을 감싸고 있던 고정버클을 해제시키는 우산천 감김해제버튼, 그리고 상기 메인레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해제버튼 누름시 우산손잡이의 버튼을 눌러 우산대를 상승시키는 우산대 상승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펼침버튼은, 상부우산대의 록커를 구속하는 이동슬리브에 이르는 연장레버를 포함하며, 이 연장레버는 연결레버 상단에 힌지 연결된 체 수직상태유지용 스프링으로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우산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록커를 구속하는 이동슬리브의 외주연 일측에, 상기 우산살 펼침버튼과의 간격 보상용 누름버튼 보상핀을 탄설한 보상핀 수용관을 돌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9. 제1항에 있어서, 하부우산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수납함의 저면에, 보조손잡이를 수납가능하게 설치하되, 보조손잡이가 하부우산대의 외주연을 따라 저면이 개방된 2중관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홈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절첩우산.
KR20-2003-0025039U 2003-08-04 2003-08-04 수납식 절첩우산 KR200332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39U KR200332387Y1 (ko) 2003-08-04 2003-08-04 수납식 절첩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39U KR200332387Y1 (ko) 2003-08-04 2003-08-04 수납식 절첩우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354A Division KR100556979B1 (ko) 2004-07-22 2004-07-22 수납식 절첩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387Y1 true KR200332387Y1 (ko) 2003-11-07

Family

ID=4941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039U KR200332387Y1 (ko) 2003-08-04 2003-08-04 수납식 절첩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3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4900A (en) Umbrella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EP2107877B1 (en) A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CA2544083A1 (en) Folding structure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AU2019246877B2 (en) Foldable tent comprising two umbrella structures
KR200332387Y1 (ko) 수납식 절첩우산
KR100556979B1 (ko) 수납식 절첩우산
KR200448498Y1 (ko)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GB2346556A (en) Umbrella which stores inside the handle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US20040205893A1 (en) Foldable hanging bed
KR200376333Y1 (ko) 접이식 파라솔
KR102502066B1 (ko) 빗물받이 커버를 갖춘 우산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101366756B1 (ko) 우산
EP0049226A2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KR102427295B1 (ko) 접이식 우산
JP3039582U (ja) 折りたたみ傘
KR101349308B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