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312Y1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Google Patents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312Y1
KR200332312Y1 KR20-2003-0027251U KR20030027251U KR200332312Y1 KR 200332312 Y1 KR200332312 Y1 KR 200332312Y1 KR 20030027251 U KR20030027251 U KR 20030027251U KR 200332312 Y1 KR200332312 Y1 KR 200332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late
plate
fixing body
earth barrier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환용
Original Assignee
(주) 한림환경산업
주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림환경산업, 주환용 filed Critical (주) 한림환경산업
Priority to KR20-2003-0027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경사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이 도로와 같은 장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파공사시 비산되는 토석을 방호하기 위한 토류방지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무게가 가볍고 표면이 녹슬지 않도록 도금 처리된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와 같이 적층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체결 설치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토류방지벽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토류방지벽의 변형 및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종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하므로서 공사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은, 지반에 세로방향으로 박히는 한 쌍의 H빔(2)(2') 사이에 방호판(1)을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키므로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1)은 " S "자 형태로 이어지는 파형굴곡부(21)로서 그 몸체를 이루고 몸체의 표면이 도금 처리되어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가드레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방호판(1)은 각각의 방호판(1)이 상하로 맞대어지는 연결부의 양측에 절개홈(1a)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a)의 전후방측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 몸체판(11)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에 방호판(1)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13)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되는 전방고정체(10)와,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16)이 형성된 후방고정체(1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는 각각의 체결공(14)(16)과 상기 절개홈(1a)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17)에 너트(18)가 체결되어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상기 방호판(1)과 함께 H빔(2)(2')의 날개부(3)상에 일체로 맞물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Steel panel for preventing drop of soil using guide-rail for a road}
본 고안은 각종 경사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이 도로와 같은 장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파공사시 비산되는 토석을 방호하기 위한 토류방지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무게가 가볍고 표면이 녹슬지 않도록 도금 처리된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와 같이 적층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체결 설치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토류방지벽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토류방지벽의 변형 및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종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하므로서 공사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 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 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각종 경사면을 조성할 경우 경사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토사와 암석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토류방지벽이 경사면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터널공사를 위한 발파작업시나 각종 토목공사 현장에서도 공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석을 방호할 수 있도록 토류방지벽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토류방지벽으로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것으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H빔 2개를 약 2m 사이의 간격을 두고 지반상에 세로로 박은 다음, 양측 H빔의 날개부 사이로 목재 재질의 사각 막대를 적층식으로 삽입시키므로서 일정한 높이의 방호벽을 형성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사용하여 토류방지벽을 설치할 경우 우천시 수분이 함유된 토사가 방호벽으로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방호벽을 이루는 목재가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이 수분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부식되므로서 그 지지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후 비교적 짧은 기간안에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호벽이 토사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부러지므로서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사용한 토류방지벽을 철거할 경우 H빔과 목재를 모두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토류방지벽의 설치비용을 줄이고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수분에 의하여 부식이 진행된 목재는 방호벽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토류방지벽의 철거와 동시에 폐자재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철거후 재활용되는 목재 방호물의 재활용율이 2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비용과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재 방호물의 폐기처리에 있어서도 많은 비용과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적용한 기존의 토류방지벽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꺼운 금속판을 "〔 " 형태로 절곡 형성시켜 그 강도를 향상시킨 방호판을 필요에 따라 2 내지 5개를 연결하여 하나의 방호판으로 제작한 후, 상기 방호판을 양측 H빔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플레이트로서 방호판과 H빔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토류방지벽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21908호 및 221909호(2001년 02월 15일 등록)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알려져 있는 종래의 토류방지벽은 각각의 방호판이 두꺼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토사나 암석에 대한 지지강도를 높일 수는 있었으나, 하나의 방호판 무게만 약 100kg정도로 매우 무겁게 되므로서 방호판의 연결돌부를 맞대어 각각의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시키는 작업과, 고정플레이트와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방호판을 H빔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설치에 따른 비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 "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방호판을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시킬 경우 각 방호판의 연결돌부가 개략 "〈 "형태로 다소 불안정하게 맞대어지는 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에 고정시키게 되면, 방호판의 고정작업 과정에서 각 방호판의 연결돌부가 쉽게 어긋나게 될 뿐만 아니라, 방호판의 후면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 또는 너트가 방호판을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방호판을 쉽게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과 H빔의 고정작업이 더욱 난해하게 됨과 동시에 방호판의 손상을 우려하여 방호판과 H빔의 견고한 고정을 이루어내기가 어렵게 되고, 각 방호판의 연결돌부를 정확하게 맞추어 고정시킨 후에도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방호판의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게 되므로서 각각의 방호판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는 등 토류방지벽의 전체적인 설치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2개 내지 5개 정도로 이루어지는 방호판의 연결돌부를 맞대기 용접하여 하나의 방호판으로 형성시킨 경우에는 방호판을 용접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이와 같이 용접된 방호판은 그 하나의 무게만 500kg이 넘기 때문에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방호판을 적층시켜야 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전체적인 설치비용이 더욱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토류방지벽의 철거시 방호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 비하여 방호판의 초기 제작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H빔과 방호판으로 이루어지는 토류방지벽에서 H빔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방호판의 무게와 그 적층된 높이에 의하여 좌우되며, 방호판의 무게를 W라 하고 그 적층높이를 L이라 할 경우 H빔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WL2/2(2개의 H빔이 사용되므로 1개의 H빔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상기 값의 1/2이 된다)이 되는 데, 토류방지벽에 적용되는 방호판의 적층높이(L) 즉, H빔의 길이값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H빔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방호판 및 토사와 암석의하중(W)에 비례하여 크게 좌우되며, 따라서 두꺼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의 방호판을 토류방지벽에 적용시킬 경우, 토류방지벽의 기초가 되는 H빔의 하단부에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토류방지벽의 붕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토류방지벽이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S"자 형태로 이어지는 파형굴곡부(21)로서 그 몸체를 이루고 몸체의 표면이 도금 처리되어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가드레일로 되는 방호판(1)을 K형상의 연결구(23)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22)에 의하여 H빔(2)(2')을 따라 적층식으로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그 일측이 각 H빔(2)(2')의 전방 외측면에 밀착되고 그 타측이 고정볼트(26)(26')와 너트(27)(27')로서 연결구(23)의 전방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절곡편(25)(25')에 의하여 상기 방호판(1)을 연결프레임(22)과 함께 H빔(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3년 특허출원 제 53146호(2003. 7. 31출원)로 선출원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토류방지벽은 그 무게가 25kg 정도로 매우 가볍고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용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1)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가드레일로 되는 상기 방호판(1)을 K형 연결구(23)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22)에 의하여 H빔(2)(2')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방호판의 손상과 그 연결부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방호판의 적층작업 및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토류방지벽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토류방지벽의 변형 및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으며, 토류방지벽을 이루는 각각의 방호판(1)과 연결프레임(22) 및 절곡편(25)(25')을 도로공사시 버려지는 폐가드레일과 낙석방지책의 지주 및 폐철판과 같은 각종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토류방지벽의 철거시에도 기사용된 자재의 추가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의 절감과 함께 자원의 낭비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상기 토류방지벽은 가드레일로 되는 방호판(1) 자체가 H빔(2)(2')과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방호판(1)이 상하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22)만이 연결편(25)(25')과 고정볼트(26)(26') 및 너트(27)(27')에 의하여 H빔(2)(2')과 고정되므로서, 방호판(1)이 연결프레임(22)과 H빔(2)(2')의 사이에서 미세하게나마 유동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방호판(1)의 고정상태 및 토류방지벽의 전체적인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22)이 각각의 방호판(1)을 상하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서 연결프레임(22)의 길이를 방호판(1)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은 그 무게가 가볍고 표면이 녹슬지 않도록 도금 처리된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와 같이 적층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체결 설치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토류방지벽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토류방지벽의 변형 및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종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하므로서 공사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반에 세로방향으로 박히는 한 쌍의 H빔 사이에 방호판을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호판을 H빔에 고정시키므로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은 " S "자 형태로 이어지는 파형굴곡부로서 그 몸체를 이루고 몸체의 표면이 도금 처리되어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가드레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방호판은 각각의 방호판이 상하로 맞대어지는 연결부의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전후방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판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 방호판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되는 전방고정체와, 상기 전방고정체의 삽입절개홈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후방고정체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고정체와후방고정체는 각각의 체결공과 상기 절개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상기 방호판과 함께 H빔의 날개부상에 일체로 맞물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선출원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호판 2,2' : H빔 3 : 날개부
10 : 전방고정체 11 : 몸체판 12 : 절곡부
13 : 삽입절개홈 14,16 : 체결공 15 : 후방고정체
17 : 체결볼트 18 : 너트 21 : 파형굴곡부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a는 절개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반에 세로방향으로 박히는 한 쌍의 H빔(2)(2') 사이에 방호판(1)을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키므로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1)은 "S"자 형태로 이어지는 파형굴곡부(21)로서 그 몸체를 이루고 몸체의 표면이 물기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도금 처리되어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가드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가드레일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판(1)은 각각의 방호판(1)이 상하로 맞대어지는 연결부의 양측에 절개홈(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1)의 연결부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1a)의 전후방측에는 각각의 방호판(1)을 H빔(2)(2')과 일체로 맞물림 고정시키기 위한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고정체(10)는 평판의 형태를 가지는 몸체판(11)의 일측에 몸체판(11)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에는 방호판(1)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 " 형태의 삽입절개홈(13)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고정체(15)는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판 형태의 몸체를 "〈 " 형태로 절곡 형성시켜 방호판(1)의 연결부 후방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 중앙부와 후방고정체(15)의 몸체 중앙부에는 방호판(1)의 절개홈(1a)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고정체(10)(15)를 체결볼트(17) 및 너트(18)에 의하여 방호판(1)과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14)(1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토류방지벽에 사용되는 방호판(1)은 선출원된 기술내용에서도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각종 도로의 노측이나 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가드레일 중 "S"자 형태로 이어지는 2개 내지 8개 정도의 파형굴곡부(21)을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비(雨)등의 물기에 녹슬지 않도록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처리가 되어 있는 가드레일을 H빔(2)(2')의 폭(약 2m 정도)에 맞도록 절단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에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1)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H빔(2)(2')의 폭에 맞도록 약2m 정도의 길이로 절단된 가드레일은 그 자체 하중이 약 25kg정도로서 종래의 방호판에 비하여 그 무게를 1/4정도로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몸체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몸체의 표면이 수분등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도금처리되어 내식성 또한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방호판(1)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최적의 소재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가드레일로 이루어지는 방호판(1)의 경우는 가드레일의 제조회사에서 건설교통부의 규격에 맞도록 생산되는 제품을 직접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각종 도로공사시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었던 가드레일이 폐자재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와 같이 버려지는 폐자재로서의 가드레일을 수거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시켜 방호판(1)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토류방지벽의 설치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데에도 매우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지의 가드레일로 되는 방호판(1)〔이하 "방호판(1)"이라 한다〕을 각 H빔(2)(2')의 날개부(3) 사이로 삽입하여 방호판(1)을 H빔(2)(2')과 함께 맞물림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전,후방고정체(10)(15)는, " S " 형태로 절곡 형성된 상기 방호판(1)을 H빔(2)(2')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시킬 경우 각 방호판(1)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가 개략 "〈 "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를 방호판(1)의 연결부 형태와 동일한 "〈 " 형태로 절개 및 절곡 형성시켜 방호판(1)의 고정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고정체(10)를 이루는 삽입절개홈(13)의 절개각도 및 이에 대응하는 후방고정체(15)의 절곡각도는 방호판(1)의 치수 및 그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토류방지벽의 설치 이전에 토류방지벽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방호판(1)의 맞물림 각도 즉, 방호판(1)의 연결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미리 계산하여 그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는 반대로 방호판(1)이 " 〉" 형태로 맞물릴 경우에는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절곡부(12)에 절개홈(13)을 형성시키는 대신 상기 절곡부(12) 자체가 "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고정체(15) 또한 절곡부(12)에 대응되도록 " 〉" 형태로 절곡 형성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은 절곡부(12)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이 H빔(2)(2')의 전방면과 일정한 폭으로 겹쳐져 밀착됨과 동시에 그 타측 절곡부(12)의 삽입절개홈(13)이 방호판(1) 연결부의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길이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의 재질은 그 강도 및 수분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토류방지벽의 설치단가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각종 철구조물의 철거시 폐자재로 버려지는 철판을 회수하여, 이 철판에 밴딩가공과 절단가공 및 보링가공을 행하므로서 상기 전,후방고정체(10)(15)를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의 설치 및 그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사나 암석의 방호가 요구되는 각종 경사면의 전방측에 한 쌍의 H빔(2)(2')을 일정 간격(약 2m 정도)을 두고 세로로 박은 다음, 양측 H빔(2)(2')의 날개부 사이로 방호판(1)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지면으로부터 방호판(1)을 일정 높이만큼 적층식으로 설치하되, 최초 지면과 접촉하는 방호판(1)의 상단부 양측으로 후방고정체(15)를 밀착 설치함과 동시에 그 후방고정체(15)의 체결공(16)과 방호판(1)의 절개홈(1a)을 통하여 체결볼트(17)를 관통시킨 다음, 그 체결볼트(17)의 전방측으로 전방고정체(10)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너트(18)를 가체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설치된 방호판(1)의 상단부에 또 다른 방호판(1)을 H빔(2)(2')을 따라 삽입시켜 각각의 방호판(1)을 서로 맞댐과 동시에 각 방호판(1)의 절개홈(1a)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여 각각의 절개홈(1a) 사이로 체결볼트(17)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 형태로 맞대어지는 방호판(1)의 연결부 후면측으로 후방고정체(15)가 밀착되고 그 연결부의 전방면으로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이 밀착됨과 동시에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 일측이 H빔(2)(2')의 전방면으로 겹쳐져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7)와 너트(18)를 사용하여 전방고정체(10) 및 후방고정체(15)를 일체로 체결시키게 되면,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의 사이에서 각각의 방호판(1)이 H빔(2)(2')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호판(1)의 고정작업을 H빔(2)(2')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행하게 되면, 양측 H빔(2)(2')의 사이에 방호판(1)을 요구하는 높이만큼 견고하게고정시켜 토류방지벽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은 그 무게가 25kg 정도로 매우 가벼운 가드레일을 방호판(1)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전,후방고정체(10)(15)에 의하여 각각의 방호판(1)을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H빔(2)(2')을 따라 방호판(1)을 적층식으로 설치하는 작업을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2명 정도의 인력만으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무게가 매우 가벼운 가드레일을 방호판(1)에 적용하여 H빔(2)(2')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H빔(2)(2')의 하단부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변형 및 이로 인한 토류방지벽의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가드레일의 표면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도금 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각종 원인에 의한 방호판(1)의 부식을 방지하여 토류방지벽의 철거시 방호판(1)의 재활용율을 9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단가 및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종 도로공사시 폐자재로 버려지는 가드레일을 수거하여 방호판(1)으로 재활용하고, 각종 철구조물의 철거시 폐자재로 버려지는 철판을 수거하여 상기 전,후방고정체(10)(15)로 재활용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단가와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데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토류방지벽에서는 방호판(1)을 H빔(2)(2')상에 직접적으로고정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방호판(1)의 고정작업시 방호판(1)의 연결부 후면측으로 후방고정체(15)가 접촉되어 체결볼트(17)의 머리부 또는 너트(18)가 방호판(1)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방호판(1)이 후방고정체(15)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체결볼트(17)의 조임력을 분산시키게 되므로서, 방호판(1)을 H빔(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조임을 강하게 하더라도 볼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방호판(1) 자체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1)과 H빔(2)(2')의 고정작업을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낼 수 있게 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그 후방고정체(15)가 각각의 방호판(1)이 맞대어지는 연결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의 사이에 방호판(1)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그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서 방호판(1)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킨 이후에도 각각의 방호판(1)이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에 밀착된 상태로 H빔(2)(2')과 견고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방호판(1)의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1)의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토류방지벽은, 그 무게가 가볍고 표면이 녹슬지 않도록 도금 처리된 공지의 가드레일을 방호판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와 같이 적층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체결 설치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와, 토류방지벽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토류방지벽의 변형 및 붕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효과 및 각종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하므로서 공사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어 더불어, 방호판을 H빔과 직접적으로 고정 설치하면서도 방호판의 고정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의 사이에서 방호판이 유동이나 어긋남이 없이 H빔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도록 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반에 세로방향으로 박히는 한 쌍의 H빔(2)(2') 사이에 방호판(1)을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키므로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1)은 " S "자 형태로 이어지는 파형굴곡부(21)로서 그 몸체를 이루고 몸체의 표면이 도금 처리되어 노측용 또는 도로분리대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가드레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방호판(1)은 각각의 방호판(1)이 상하로 맞대어지는 연결부의 양측에 절개홈(1a)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a)의 전후방측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 몸체판(11)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에 방호판(1)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13)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되는 전방고정체(10)와,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16)이 형성된 후방고정체(1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는 각각의 체결공(14)(16)과 상기 절개홈(1a)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17)에 너트(18)가 체결되어 가드레일로 되어 있는 상기 방호판(1)과 함께 H빔(2)(2')의 날개부(3)상에 일체로 맞물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20-2003-0027251U 2003-08-25 2003-08-25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200332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51U KR200332312Y1 (ko) 2003-08-25 2003-08-25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51U KR200332312Y1 (ko) 2003-08-25 2003-08-25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720A Division KR100553372B1 (ko) 2003-08-25 2003-08-25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312Y1 true KR200332312Y1 (ko) 2003-11-05

Family

ID=4934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251U KR200332312Y1 (ko) 2003-08-25 2003-08-25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3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35B1 (ko) * 2007-01-05 2007-03-14 영창개발 (주) 조립식 강재토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35B1 (ko) * 2007-01-05 2007-03-14 영창개발 (주) 조립식 강재토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7480A1 (en)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CN109371815B (zh) 一种梁体波形钢组合防护棚架及其制作方法
WO2006017628A2 (en)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KR100599245B1 (ko) 건축기초 공사용 측토압 버팀용 토류판 구조
KR200332312Y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100553372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100526112B1 (ko) 도로용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102136260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US7185461B2 (en) Anchoring member for a support post
KR100553371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100553374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200330461Y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200326353Y1 (ko) 도로용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200339433Y1 (ko)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KR102130519B1 (ko) 어스앙카용 띠장부재
CN108343069A (zh) 预制混凝土支护墙
KR102136259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16112B1 (ko) 흙막이 토류벽체의 시공방법
KR100553373B1 (ko)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US8920065B2 (en) Vehicle barrier systems and assemblies
KR200332311Y1 (ko)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KR101799016B1 (ko) 암파쇄 방호벽
CN208899328U (zh) 一种便于快速安装的装配式平台护栏立杆
JP4336257B2 (ja) 防雪柵の基礎転倒防止工
KR100695035B1 (ko) 조립식 강재토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