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373B1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Google Patents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3373B1 KR100553373B1 KR1020030058713A KR20030058713A KR100553373B1 KR 100553373 B1 KR100553373 B1 KR 100553373B1 KR 1020030058713 A KR1020030058713 A KR 1020030058713A KR 20030058713 A KR20030058713 A KR 20030058713A KR 100553373 B1 KR100553373 B1 KR 100553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ixing body
- protection
- protection plate
- ear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사용하여 방호판을 H빔과 함께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H빔을 따라 적층되는 방호판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 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의 사이에서 방호판이 H빔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도록 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는, 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된 몸체판(11)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에는 방호판(1)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13)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전방고정체(10)와,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16)이 관통 형성되어 방호판(1)의 연결부 후방측에서 전방고정체(10)와 함께 맞물림 고정되는 후방고정체(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는 각각의 체결공(14)(16)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17)와 너트(18)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류방지벽, 방호판, 고정구, 전방고정체, 후방고정체, 체결볼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를 나타내는 배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여 방호판이 H빔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호판 2,2' : H빔 10 : 전방고정체
11 : 몸체판 12 : 절곡부 13 : 삽입절개홈
14,16 : 체결공 15 : 후방고정체 17 : 체결볼트
18 : 너트
본 발명은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 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사용하여 방호판을 H빔과 함께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H빔을 따라 적층되는 방호판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 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의 사이에서 방호판이 H빔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도록 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 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 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각종 경사면을 조성할 경우 경사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토사와 암석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토류방지벽이 경사면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터널공사를 위한 발파작업시나 각종 토목공사 현장에서도 공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석을 방호할 수 있도록 토류방지벽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토류방지벽으로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것으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H빔 2개를 약 2m 사이의 간격을 두고 지반상에 세로로 박은 다음, 양측 H빔의 날개부 사이로 목재 재질의 사각 막대를 적층식으로 삽입시키므로서 일정한 높이의 방호벽을 형성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사용하여 토류방지벽을 설치할 경우 우천시 수분이 함유된 토사가 방호벽으로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방호벽을 이루는 목재가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이 수분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부식되므로서 그 지지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후 비교적 짧은 기간안에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호벽이 토사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부러지므로서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사용한 토류방지벽을 철거할 경우 H빔과 목재를 모두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토류방지벽의 설치비용을 줄이고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수분에 의하여 부식이 진행된 목재는 방호벽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토류방지벽의 철거와 동시에 폐자재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류방지벽의 철거후 재활용되는 목재 방호물의 재활용율이 2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비용과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재 방호물의 폐기처리에 있어서도 많은 비용과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목재 재질의 방호벽을 적용한 기존의 토류방지벽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사에 대한 지지강도와 수분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평판을 "〔 " 형태 또는 " S " 형태로 절곡시켜 방호판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방호판을 단독으로 또는 수 개를 용접하여 양측 H빔의 날개부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시키므로서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이 상기 방호판 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토류방지벽의 철거시 방호판의 재활용도를 높은 수준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 " 형 또는 " S " 형과 같은 방호판을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하여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호판을 H빔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데, 이를 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각 방호판의 연결부상에 체결공을 관통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일측이 방호판의 전방면에 밀착되고 그 타측이 H빔의 전방면에 밀착되는 고정플레이트의 몸체상에 방호판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방호판과 H빔의 전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방호판과 일체로 체결시키므로서 고정플레이트와 방호판의 사이에 H빔이 맞물림 고정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호판 고정수단은 방호판을 고정플레이트와 직접적으로 체결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고정시키도록 하므로서, 방호판의 고정작업시 방호판의 후면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 또는 너트가 방호판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방호판을 국부적으로 가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방호판을 H빔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볼트조임을 하게 되면 볼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방호판 자체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과 H빔의 고정작업을 견고하게 이루어내지 못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전체적인 설치상태가 다소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 " 형태 또는 " S " 형태로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방호판을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시킬 경우 각 방호판의 연결부가 개략 "〈 "형태로 다소 불안정하게 맞대어지는 데, 종래의 방호판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각각의 방호판을 H빔에 고정시키게 되면, 방호판의 고정작업 과정에서 각 방호판의 연결부가 쉽게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을 H빔상에 정확하게 맞추어 고정시키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방호판의 연결부를 정확하게 맞추어 고정시킨 후에도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방호판의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게 되므로서 각각의 방호판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는 등 방호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는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사용하여 방호판을 H빔과 함께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H빔을 따라 적층되는 방호판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판의 고정 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의 사이에서 방호판이 H빔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도록 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몸체판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방호판 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전방고정체와, 상기 전방고정체의 삽입절개홈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방호판의 연결부 후방측에서 전방고정체와 함께 맞물림 고정되는 후방고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는 각각의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를 나타내는 배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여 방호판이 H빔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중 미설명된 부호 1a는 절개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판의 형태를 가지는 몸체판(11)의 일측에 몸체판(11)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12)에는 "〈 " 형태의 삽입절개홈(13)이 절개 형성된 전방고정체(10)와,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판 형태의 몸체를 "〈 " 형태로 절곡 형성시킨 후방고정체(15)로 이 루어지며, 상기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 중앙부와 후방고정체(15)의 몸체 중앙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방호판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고정체(10)(15)를 체결볼트(17) 및 너트(18)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14)(16)이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를 이루는 전방고정체(10)의 절곡부(12)에 "〈 " 형태의 삽입절개홈(13)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후방고정체(15)를 "〈 " 형태로 절곡 형성시키는 이유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도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호판의 대부분이 토사나 암석에 대한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 " 형태 또는 " S "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이와 같은 방호판을 H빔을 따라 적층식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각 방호판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가 개략 "〈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를 방호판의 연결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시켜 방호판의 고정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고정체(10)를 이루는 삽입절개홈(13)의 절개각도 및 이에 대응하는 후방고정체(15)의 절곡각도는 "〔 " 형태 또는 " S " 형태로 형성되는 방호판의 치수 및 그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토류방지벽의 설치 이전에 토류방지벽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방호판의 맞물림 각도 즉, 방호판의 연결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미리 계산하여 그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은 절곡부(12)가 형성되지 않은 일 측면이 H빔의 전방면과 일정한 폭으로 겹쳐져 밀착됨과 동시에 그 타측 절곡부(12)의 삽입절개홈(13)이 방호판 연결부의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길이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의 재질은 방호판에 요구되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강도 및 수분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판 고정구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에서는 " S " 형태로 절곡 형성된 방호판을 H빔에 적층식으로 삽입시켜 방호판과 H빔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사나 암석의 방호가 요구되는 각종 경사면의 전방측에 한 쌍의 H빔(2)(2')을 일정 간격(약 2m 정도)을 두고 세로로 박은 다음, 양측 H빔(2)(2')의 날개부 사이로 방호판(1)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지면으로부터 방호판(1)을 일정 높이만큼 적층식으로 설치하되, 최초 지면과 접촉하는 방호판(1)의 상단부 양측으로 체결볼트(17)가 관통된 후방고정체(15)를 방호판(1)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그 체결볼트(17)의 전방측으로 전방고정체(10)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설치된 방호판(1)의 상단부에 또 다른 방호판(1)을 H빔(2)(2')을 따라 삽입시켜 각각의 방호판(1)을 서로 맞댄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 형태로 맞대어지는 방호판(1)의 연결부 후면측으로 후방고정체(15)가 밀착되고 그 연결부의 전방면으로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이 밀착됨과 동시에 전방고정체(10)의 몸체판(11) 일측이 H빔(2)(2')의 전방면으로 겹쳐져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7)와 너트(18)를 사용하여 전방고정체(10) 및 후방고정체(15)를 일체로 체결시키게 되면,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의 사이에 각각의 방호판(1)이 H빔(2)(2')과 함께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호판(1)의 고정작업을 H빔(2)(2')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행하게 되면, 양측 H빔(2)(2')의 사이에 방호판(1)을 요구하는 높이만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방호판(1)의 고정작업시 상기 체결볼트(17)에 의하여 각각의 방호판(1)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방호판(1)의 상하 양측단부에 체결볼트(17)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1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호판 고정구를 사용하여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키게 되면, 방호판(1)의 연결부 후면측으로 후방고정체(15)가 접촉되어 방호판(1)의 고정 작업시 체결볼트(17)의 머리부 또는 너트(18)가 방호판(1)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방호판(1)이 후방고정체(15)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체결볼트(17)의 조임력을 분산시키게 되므로서, 방호판(1)을 H빔(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조임을 강하게 하더라도 볼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방호판(1) 자체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 여 방호판(1)과 H빔(2)(2')의 고정작업을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낼 수 있게 되므로서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고정구를 이루는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그 후방고정체(15)가 각각의 방호판(1)이 맞대어지는 연결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의 사이에 방호판(1)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그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서 방호판(1)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방호판(1)을 H빔(2)(2')에 고정시킨 이후에도 각각의 방호판(1)이 삽입절개홈(13)과 후방고정체(15)에 밀착된 상태로 H빔(2)(2')과 견고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 후방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사나 암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방호판(1)의 연결부위가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방호판(1)의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 S " 형태로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방호판(1)을 H빔(2)(2')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시켜 각각의 방호판(1)을 H빔(2)(2')과 일체로 고정시킨 것으로 되어 있으나, " S " 형태의 방호판(1) 뿐만 아니라 "〔 " 형태의 방호판 또한 각각의 방호판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가 개략 "〈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방호판을 H빔(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방호판(1)의 적층방식에 따라 각 방호판(1)의 연결부가 도 4에 도시 되어 있는 것과는 반대로 " 〉" 형태로도 맞물릴 수 있은 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전방고정체(10)의 절곡부(12)에 절개홈(13)을 형성시키는 대신 상기 절곡부(12) 자체가 "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고정체(15) 또한 절곡부(12)에 대응되도록 " 〉" 형태로 절곡 형성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는, H빔의 사이에 적층식으로 삽입되는 방호판의 연결부 양측에 그 연결부 형상과 대응하는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를 사용하여 방호판을 H빔과 함께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H빔을 따라 적층되는 방호판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방호판의 고정 작업시 발생하는 방호판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방고정체와 후방고정체의 사이에서 방호판이 이탈됨이 없이 H빔과 함께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도록 하여 토류방지벽의 설치상태를 보다 오랜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된 몸체판(11)의 일측에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에는 방호판(1)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절개홈(13)이 "〈 "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전방고정체(10)와,상기 전방고정체(10)의 삽입절개홈(13)과 대응되도록 그 몸체가 "〈 "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체결공(16)이 관통 형성되어 방호판(1)의 연결부 후방측에서 전방고정체(10)와 함께 맞물림 고정되는 후방고정체(15)로 이루어지며,상기 전방고정체(10)와 후방고정체(15)는 각각의 체결공(14)(16)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17)와 너트(18)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13A KR100553373B1 (ko) | 2003-08-25 | 2003-08-25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13A KR100553373B1 (ko) | 2003-08-25 | 2003-08-25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7250U Division KR200332311Y1 (ko) | 2003-08-25 | 2003-08-25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1747A KR20030071747A (ko) | 2003-09-06 |
KR100553373B1 true KR100553373B1 (ko) | 2006-02-22 |
Family
ID=3222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8713A KR100553373B1 (ko) | 2003-08-25 | 2003-08-25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337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1829A (zh) * | 2019-07-08 | 2019-09-17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深基坑内支撑的施工工艺 |
-
2003
- 2003-08-25 KR KR1020030058713A patent/KR1005533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1829A (zh) * | 2019-07-08 | 2019-09-17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深基坑内支撑的施工工艺 |
CN110241829B (zh) * | 2019-07-08 | 2020-10-09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深基坑内支撑的施工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1747A (ko) | 2003-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42863A1 (en) |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 |
US5815994A (en) | Strengthening of poles | |
WO2006017628A2 (en) |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 |
KR100553373B1 (ko)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
KR200332311Y1 (ko) | 토류방지벽용 방호판 고정구 | |
US7185461B2 (en) | Anchoring member for a support post | |
US4362416A (en) | Extension joint for concrete poles | |
KR100907904B1 (ko) | 무띠장 가설흙막이 구조물 | |
KR20030044572A (ko) |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보강장치 | |
KR100526112B1 (ko) | 도로용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200332312Y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100553372B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100988994B1 (ko) | 차수토류벽 | |
KR100553371B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US4140427A (en) | Pile with rigid plate | |
KR100553374B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200339433Y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200330461Y1 (ko) | 도로용 가드레일을 이용한 토류방지벽 | |
KR20090013864A (ko) | 방호벽용 판넬 | |
CA2343029C (en) | Anchoring member for a support post | |
KR102130519B1 (ko) | 어스앙카용 띠장부재 | |
JP3122637B2 (ja) | L型ガード | |
KR200339441Y1 (ko) |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 | |
KR200197288Y1 (ko) | 토사 및 낙석 방호용 패널 | |
GB2355996A (en) | Post support so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