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284Y1 -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 Google Patents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284Y1
KR200332284Y1 KR20-2003-0026736U KR20030026736U KR200332284Y1 KR 200332284 Y1 KR200332284 Y1 KR 200332284Y1 KR 20030026736 U KR20030026736 U KR 20030026736U KR 200332284 Y1 KR200332284 Y1 KR 200332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closed
pipe
hole
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Original Assignee
최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식 filed Critical 최춘식
Priority to KR20-2003-0026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5/00Methods or devices for placing filling-up materials in underground wo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구조물의 내부 공동에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 섬유질호스 등을 설치하고, 폐구조물의 내부공동 크기, 굴곡상태 등에 따라 상기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 섬유질호스를 통하여 특정구역내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하도록 한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된 폐관ㆍ폐광에 있어서, 상기 폐관ㆍ폐광이 매설된 직상부 지반을 수직하향으로 굴착 또는 굴공하여 반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반입구의 직하부에 위치된 폐관ㆍ폐광을 다수개를 소정의 넓이로 천공 형성하며, 상기 천공된 폐관ㆍ폐광의 내부 공동 상단에 부착고리로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천공된 폐관ㆍ폐광내 일정구간을 칸막이를 사용하여 폐관ㆍ폐광내를 차단하며, 상기 유공관을 통하여 폐관ㆍ폐광내 칸막이로 차단된 일정구역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거리 주입이 가능하고, 공동의 굴곡부위나 천장부 등 주입이 불가능한 지역까지 밀실하게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Inside hollow of abandoned structure filling structure}
본 고안은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광, 폐관, 폐굴 등(이하 "폐구조물"이라 칭함)의 내부공동에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 섬유질호스 등을 설치하고, 폐구조물의 내부 공동 상태(크기, 굴곡정도 등)에 따라 상기 유공관, 유공호스, 섬유질호스 등을 통하여 특정구역내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하도록 한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산갱도는 채광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운영되는 토목터널 및 대규모 지하공간과는 달리 충분한 보강을 실시하지 않는다.
또한 발파형태는 발파진동 제어가 완전히 배제된 상황에서 과장약 발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갱도주변 암석과 주벽면은 발파진동으로 인해 많은 손상을 받게되며, 균열층이 발달되어 터널 이완영역이 확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폐광산으로 인한 침하는 크게 나누어 Trough형 침하와 Sinkhole형 침하로 나눌 수 있다.
Trough형 침하는 넓은 지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완만한 지표 침하 곡선을 발생시키며 오랜 시간에 걸쳐 잘 인식되지 못할 만큼의 침하량을 보이기도 하며, 이와 같은 침하는 상반을 지지하던 광주의 파괴 혹은 펀칭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침하량은 적으나 넓은 구역에 걸쳐 장기적으로 서서히, 그리고 대체로 완만한 경사로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상부 구조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
한편, Sinkhole형 침하는 지표가 함몰하는 형태로 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침하량이 크고 예측하기가 어렵다. 또한 침하의 형태를 급경사를 이루는 원통형 혹은 원추형의 형태로써 침하량이 수 m에서 수십 m에 달하기도 하며, 채굴공동의 직상부 천반의 붕락에 의한 암석의 bulking 및 지하수 유입에 의한 강도저하에 의해 전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규모는 작으나 인명이나 지상 구조물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침하의 유형이다.
침하의 발생요인 중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채굴공동은 그 크기와 모양에 따라 침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고, 채굴공동 상반의 상태에 따라서도 침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채굴공동의 크기와 모양은 채탄법과 채굴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들과 채굴적 주위 지질조건과의 상호작용이 침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붕락식 채탄법을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휴ㆍ폐광산의 지반침하 발생율이 높다.
한편, 폐광산의 채굴적에 의한 지반함몰 발생시간은 탄층강도, 천반과 하반암석의 강도, 파쇄범위, 지하수 존재, 공동깊이, 탄주의 크기, 채굴규모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므로 함몰 발생시기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공동에 의한 지반함몰 우려지역의 보강공법은 장래 함몰에 따른 구조물 및 인명피해가 크게 예상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경제성, 시공성, 공동상태, 지표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용해야 한다.
채굴적 주변의 파괴로 유발되는 지반침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법의 적합성 및 적용성 검토를 참고하여, 대상 구역의 채굴현황과 지반조건을 고려한 보강공법을 선정한다.
지반침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공법들에는 공동상부 보강법, 깊은기초, 공동내의 피어건설, 그라우트 기둥, 그라우트케이스, 수압식 충전법, 충전 그라우트, 완전굴착 및 재충전 등이 있는데, 실제 보강공사 현장에서는 어느 한가지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여건, 공법의 적용성, 시공성 및 효율 등에 의해 몇 가지의 공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공동상부 보강법은 공동상부 지반을 그라우팅 하거나 마이크로파일을 적용하여 침하와 과도한 부등침하를 감소시키고 붕괴의 전파에 의한 함몰을 차단시키는 방법이다.
공동의 상부구조물 기초를 하나의 강성체처럼 거동하도록 그라우팅이나 마이크로파일 등으로 시공하여 지반이 일체화된 합성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지상에서 시공하므로 시공이 유리한 점과 함께 국부적인 지역의 과도한 부등침하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침하를 완전히 억제하기는 힘들며 공사비가 비싼 단점이 있다.
깊은기초 보강법은 깊은기초를 채굴적 하반의 안정층까지 건설하여 개별적인 구조물을 직접적으로 지보하는 방법으로 대구경 공(8∼24inch)을 공동하반까지 시추하여 피어기초를 시공하거나 파일을 타입하여 시공한다.
피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공동하반으로부터 구조물을 지보할 지표까지 콘크리트 기둥을 영구적인 철케이싱내에 시공하며, 파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추공을 공동하반까지 연결하여 시추한 후, 콘크리트가 채워진 파이프를 공동하부로부터 지표까지 건설하여 상반을 지지한다.
공동내의 피어건설은 공동내에 기둥을 설치하여 공동 상부 암반을 지지시키는 보강법으로 일시적인 함몰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이 보강법은 보강을 실시하고자 하는 채굴적 주위에 비교적 강한 암반이 존재하고, 채굴적이 지하수면 상부에 존재할 때만 적용 가능하나 공동이 침수된 지역에서도 공동내의 배수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적용이 가능하다.
피어의 시공을 위해서는 대구경 시추공을 통하여 지표로부터 시공 대상 공동에 접근하거나 이전의 갱구를 통하여 공동에 접근한다.
따라서 공동내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나 갱내 작업이므로 작업성이 제한되며 안전평가가 중요하다.
그라우트 기둥 보강법은 시추공을 통하여 골재를 투입한 후,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지하공동내에 기둥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그라우트된 기둥 또는 골재피어 형태의 보조적인 지보시스템이다. 이 공법의 적용성은 지역의 현장상황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지하공동의 깊이가 9∼50m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경제성을 가진다.
그라우트 케이스 보강법은 공동하부부터 공동상반 일정부분까지 강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널리 쓰여지진 않지만 상대적으로 공동의 크기가 큰 경우 적용된다. 공동의 높이가 큰 경우, 상반을 지지하는 그라우트 기둥은 많은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여, 그라우트 케이스 공법이 대안으로 쓰여진다. 그러나 이 보강법은 일시적인 함몰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으며, 대형장비가 작업구역에 접근하게 되므로 시공상의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수압식 충전은 입자형 재료를 물을 이용하여 슬러리 형태로 이송시켜 공동을 충전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수압식 충전은 공동내 작업자나 충전이 이루어지는 채굴적 근처에서 원격조절되며, 모든 작업은 지표로부터 수행된다. 수압식 재충전의 효과는 지하공동의 충전, 광주의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횡방향 지보역할, 산화 조건과 산성수의 제거나 감소, 풍화에 대한 지보의 보호, 침하의 방지 또는 감소 등이 있다. 충전재로 쓰이는 재료는 광니, 골재, 모래, 시멘트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은 충전하기 전, 실험실 시험을 통해 공학적 특성을 조사해야 하며, 투수율, 비중, 입도분포가 조사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험을 바탕으로 충전재의 설계가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거동을 예측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충전 그라우트는 기본적으로 시멘트 같은 혼합제를 이용하여 수압식으로 충전하는 방법으로, 보강을 실시할 경우에는 충전재와 시멘트의 혼합 정도가 충전방식과 충전재의 크기에 따라 편차를 보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충전 그라우트 재료는 유기 합성물과 비산회 혼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화학 합성물과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되는데, 시멘트를 제외한 나머지 충전물질은 모래나 비산회 같은 세립질의 입상 재료로 구성되며 현장조건에 따라 골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완전굴착 및 재충전은 상반을 발파나 인공적인 기구를 이용, 완전히 함몰시키거나 굴착한 후 공동하부까지 치밀한 충전을 다시 실시하거나 굴착된 재료를 다른 지역의 충전에 사용하여 지하공동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석탄의 노천 채굴과 유사하고 폐광산이 천부에 존재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폐구조물의 내부 공동 상단에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통하여 특정구역내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하며, 특히 폐구조물의 규모가 커서 다량주입을 할 경우에는 폐구조물 내부 공동 바닥부위에서 섬유질호스 또는 유공호스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주입재를 주입함으로써, 내부 공동의 대부분을 충전함과 동시에 재료변형 또는 지역의 특성상 천장부위나 굴곡부위 등 주입이 불가능한 지역에는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여 주입재를 주입하여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하도록 한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 주입재의 경우 원산지에서 주입재를 생산하여, 현장으로 운송하여 주입하는 시스템을 보완하여 현장에서 주입재를 직접 생산하여 주입함으로써 운반비 등 간접비용 절감 및 적재 공간을 해소하도록 한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가 폐관에 적용된 상태
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가 폐광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유공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이중유공관을 도시
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유공호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섬유질호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관 12 : 반입구
14 : 칸막이 20 : 유공관 단관
20a : 이중유공관 22 : 내관
24 : 외관 26 : 유출구
28 : 부착고리 30 : 주입재
40 : 폐광 50 : 폐쇄회로TV
60 : 섬유질호스 62 : 철근링
70 : 유공호스 72 : 유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지중에 매설된 폐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폐구조물이 매설된 상부 지반을 하향으로 굴착 또는 굴공하여 반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반입구 형성과 같은 방법으로 폐구조물에 다수개의 반입구를 소정의 넓이로 천공 형성하며, 상기 천공된 폐구조물의 내부에 섬유질호스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천공된 폐구조물의 내부 공동 상단에 부착고리를 사용하여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천공된 폐구조물내 일정 구간을 팩, 벽돌 등의 칸막이를 사용하여 폐구조물내를 차단하여 주입재 유출을 방지하며, 상기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 섬유질호스를 통하여 일정구역내에 주입재를 주입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가 폐관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유공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지중에 매설된 폐관(10)에 있어서, 상기 폐관(10)이 매설된 직상부 지반을 수직하향으로 굴착 또는 굴공하여 반입구(12)를 형성하며(맨홀이 있어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반입구를 형성하지 않고 기존 맨홀을 이용), 상기 반입구(12) 또는 맨홀의 직하부에 위치된 폐관(10)을 다수개의 반입구(12)를 소정의 넓이로 천공 형성하며, 상기 천공된 폐관(10)내 일정구간을 팩, 벽돌 등과 같은 칸막이(14)를 사용하여 폐관(10)내를 차단하고, 상기 천공된 폐관(10)의 내부 공동 상단에 부착고리(28)로 유공관(20, 20a) 또는 유공호스(70)를 설치하며, 상기 유공관(20, 20a) 또는 유공호스(70)를 통하여 폐관(10)내 팩, 벽돌 등과 같은 칸막이(14)로 차단된 일정구역 내에 주입재(30)를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공관(20, 20a)은 유공관단관(20)과 이중유공관(20a)으로 구분되며, 폐관(10)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유공관단관(20)은 PVC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유출구(26)가 형성되며, 이중유공관(20a)은 고무호스로 이루어지는 내관(22)과; 상기 내관(22)의 외측에 밀착 설치됨과 동시에 PVC로 이루어지는 외관(24)과; 상기 외관(24)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유출구(2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공관단관(20)은 PVC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유출구(26)로 구성되고, 이중유공관(20a)은 PVC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외관(24)과, 고무호스로 이루어지는 내관(22)과, 상기 외관(24)에 관통 형성된 유출구(26)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공법은 폐관(10)의 내부를 주입재(30)를 사용하여 내부공동을 충전하는 폐관(10) 내부 충전공법에 있어서, 상기 폐관(10)이 설치된 상부 지반에서 하향으로 굴착 또는 굴공하여 반입구(1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입구(12) 형성과 같은 방법으로 폐관(10)에 다수개의 반입구(12)를 소정의 넓이로 천공시키는 단계; 상기 천공된 폐관(10)의 내부에 섬유질호스(60) 또는 유공호스(70)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천공된 폐관(10)의 내부 공동 상단에 부착고리(28)를 사용하여 유공관(20, 20a) 또는 유공호스(7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폐관(10)내 일정구간을 팩, 벽돌 등과 같은 칸막이(14)를 사용하여 폐관(10)내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섬유질호스(60), 유공관(20, 20a) 또는 유공호스(70)를 통하여 일정 구역내에 주입재(30)를 주입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폐관(10)의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공관(20, 20a)을 통하여 폐관(10)내에 주입재(30)를 주입하는 단계는 유공관단관의 경우에는 PVC파이프 유출구(26)를 통해 주입재(30)를 폐관(10)의 내부로 주입하며, 이중유공관(20a)의 경우에는 내관(22)으로 주입재(30)를 주입함과 동시에 내관(22)을 후방으로 인발하면서 외관(24)의 유출구(26)로 주입재(30)가 폐관(10)의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주입재(30)의 충전이 완료된 후 유공관단관(20)의 경우에는 물을 충전시키거나 공기를 불어넣어 재주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중유공관(20a)의 경우에는 내관(22)을 최초 상태로 원위치시켜 물을 충전시키거나 공기를 불어넣어 재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공법은 폐관(10)의 내부 공동 상단에 유공관(20, 20a)을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20, 20a)을 통하여 특정구역내에 주입재(30)를 주입하여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공관(20, 20a)을 설치하여 주입재(30)를 투여함으로 원거리 주입이 가능하고, 공동의 굴곡부위나 천장부위 등 주입이 불가능한 지역까지 밀실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동충전 완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예로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가 폐광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이중유공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유공호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의 섬유질호스를 도시한 단면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통상의 노후된 폐광(40)에 있어서, 상기 폐광(40)내 소정의 위치에 폐쇄회로TV(50)를 설치하고, 상기 폐광(40)내 내부공동 바닥부위에 섬유질호스(60)또는 유공호스(70)를 설치하고, 이 섬유질호스(60) 또는 유공호스(70)에 주입재(30)를 주입하여, 폐광(40)내 내부공동을 충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질호스(60)는 섬유질로 이루어지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일단에 밀착 설치되는 소켓 연결식 철근링(62)이 설치된다.
즉, 상기한 섬유질호스(60)는 소켓 연결식으로 공동길이에 따라 철근링(62)을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부피가 적고, 이동이 간편하며, 특히 고압주입이 가능함으로 대량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유공호스(70)는 주입재(30)가 유공(72)을 통해 주입은 되지만, 유공호스(70)의 내부로 들어오지는 않으며, 주입완료 후 유공호스(70)를 비워두면 재주입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방법은 통상의 노후된 폐광(40) 내부공동 충전공법에 있어서, 상기 폐광(40)내 소정의 위치에 폐쇄회로TV(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폐광(40)의 내부공동 바닥부위에 섬유질호스(60) 또는 유공호스(70) 및 폐광(40) 내부 공동 천장부위에 유공호스(7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섬유질호스(60) 및 유공호스(70)에 주입재(30)를 주입하는 단계; 주입완료후 주입관 내부로 콤프레샤를 사용하여 공기를 넣거나 스폰지를 통과시키면서 청소후 재주입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폐광(40)내 내부공동을 주입재(30)로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질호스(60) 및 유공호스(70)에 주입재(30)를 주입하는 단계는 섬유질호스(60)를 막장방향으로 인발해 나가면서, 고압으로 주입재(30)를 주입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호스(70)를 이용하여 폐광(40)내 천장 부위나 소정의 부위에 2차로 주입재(30)를 충전하는 단계를 추가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를 이용한 충전공법은 폐광(40)의 경우 굴곡부위 또는 원거리 지역 등에 섬유질호스(60)나 유공호스(70)를 설치할 때, 폐쇄회로TV(50)를 병행 설치하여, 주입재(30)의 주입상태를 확인하면서 내부공동을 밀실하게 충전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유공호스(70)를 폐광(40)의 천장 또는 측면부위 등에 설치하여, 유공호스(70)의 유공(72)을 통해 주입재(30)를 투여함으로 원거리 주입이 가능하고, 공동의 굴곡부위나 천장부위 등 주입이 불가능한 지역까지 밀실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폐쇄회로TV(50)를 통해 공동충전 완료여부를 확인하면서 안전 및 완벽시공을 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에 사용되는 주입재(30)는 시멘트와 WGS700(본 고안의 출원인이 개발한 제품명)을 적당량 혼합하여 제조하며, 압축강도는 5∼80kgf/㎠으로 임의 조정이 가능하며, 자동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재료분리 현상이 없으며, 흐름성이 뛰어난 제품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시멘트와 WGS700을 혼합하여 주입재(30)를 제조하여 직접 주입이 가능하며, 주입시 공동에 물이 있을 경우에는 주입재(30)가 물을 흡수하면서 공동을 충전한다.
또한, 상기 주입재(30)는 시멘트와 물을 이용한 페이스트에 스치로폴 알갱이를 혼합한 경량스치로폴콘크리트를 충전하거나 동ㆍ식물성 기포재를 혼합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충전한다.
상기한 주입재(30) 충전시 사용되는 주입기는 이동식 또는 정치식 펌프카를 사용하며, 주입압력은 최대 80kgf/㎠로써 다량주입 및 원거리(최대 1㎞) 주입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폐구조물내에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통해 경량기포재로 이루어진 주입재를 투여하므로 원거리 주입이 가능하고, 공동의 굴곡부위나 천장부 등 주입이 불가능한 지역까지 밀실하게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특정 기간이 경과 후 지반의 거동 또는 주입재의 변형 등으로 재주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설치된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통해 재주입이 가능하므로 장기적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공동의 성격(폐광, 폐굴, 폐터널, 폐관 등)과 상황에 따라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 주입재(유동성, 강도)선택 등 다양한 주입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현장에서 주입재를 생산하여, 폐구조물에 직접 주입하므로 대규모 공사시 원자재의 운반비가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도심지 소음발생 또는 진동에 의한 피해가 없어, 민원발생의 소지가 없으며, 장비가 소형으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폐구조물에 설치된 유공관을 통하여 주입재의 공동충전 완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고안에 따른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는 폐광의 경우 굴곡부위 또는 원거리 지역 등에 대해서는 유공관을 설치할 때 폐쇄회로TV를 병행, 설치하여 주입재의 주입상태를 확인하면서 안전하고 완벽한 시공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된 폐관ㆍ폐광에 있어서,
    상기 폐관ㆍ폐광이 매설된 직상부 지반을 수직하향으로 굴착 또는 굴공하여 반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반입구의 직하부에 위치된 폐관ㆍ폐광을 다수개를 소정의 넓이로 천공 형성하며, 상기 천공된 폐관ㆍ폐광의 내부 공동 상단에 부착고리로 유공관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천공된 폐관ㆍ폐광내 일정구간을 칸막이를 사용하여 폐관ㆍ폐광내를 차단하며, 상기 유공관을 통하여 폐관ㆍ폐광내 칸막이로 차단된 일정구역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PVC파이프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유출구가 구비된 유공관단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고무호스로 이루어지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PVC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외관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유출구로 구성되는 이중유공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4. 통상의 노후된 폐광ㆍ폐굴에 있어서,
    상기 폐광ㆍ폐굴내 소정의 위치에 폐쇄회로TV를 설치하고, 상기 폐광ㆍ폐굴 내부공동 바닥부위에 섬유질호스 또는 유공호스를 설치하며, 이 섬유질호스 또는 유공호스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폐광ㆍ폐굴의 내부공동을 충전하고, 상기 폐광ㆍ폐굴 내부공동 천장부위 또는 측면에 유공호스를 설치하고, 이 유공호스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폐광ㆍ폐굴 내부의 천장부 공동부위나 굴곡부위를 충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KR20-2003-0026736U 2003-08-20 2003-08-20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KR200332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36U KR200332284Y1 (ko) 2003-08-20 2003-08-20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36U KR200332284Y1 (ko) 2003-08-20 2003-08-20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33A Division KR100565866B1 (ko) 2003-08-20 2003-08-20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284Y1 true KR200332284Y1 (ko) 2003-11-05

Family

ID=4934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36U KR200332284Y1 (ko) 2003-08-20 2003-08-20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2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003B1 (ko) 2006-05-03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KR100838741B1 (ko) * 2008-03-14 2008-06-17 (주)시조씨앤씨 불용관 충진공법
KR100907434B1 (ko) * 2007-09-12 2009-07-14 함윤경 노후된 상하수도관 폐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003B1 (ko) 2006-05-03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KR100907434B1 (ko) * 2007-09-12 2009-07-14 함윤경 노후된 상하수도관 폐쇄방법
KR100838741B1 (ko) * 2008-03-14 2008-06-17 (주)시조씨앤씨 불용관 충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l Geotechnical investigations and improvement of ground conditions
Xanthakos et al. Ground control and improvement
CN104612143B (zh) 一种溶洞/土洞地质条件下的钻孔复合桩结构
KR100762991B1 (ko) 고강도 몰탈을 충진하는 기성말뚝 매입공법
KR100760293B1 (ko) 저토피 구간의 터널 시공방법
CN105464074A (zh) 一种人工挖孔桩高聚物注浆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1838957B (zh) 整体式t形外悬臂道路及其施工方法
KR101746654B1 (ko) 광산 대규모 채굴공동 보강을 위한 골재 그라우트 기둥 시공 방법
CN110847929B (zh) 基于分区爆破的隧道洞口段预加固及开挖施工方法
CN103572764A (zh) 超深人工挖孔桩护壁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79988B1 (ko) 소구경 말뚝의 시공방법
CN113445516A (zh) 一种钻孔灌注式水泥土桩及其施工方法
CN203613568U (zh) 抗浮水泥土桩和抗浮锚杆相结合的抗浮体系
KR100565866B1 (ko)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공법
KR200332284Y1 (ko) 폐구조물 내부공동 충전구조
KR100835597B1 (ko) 발파 및 그라우팅에 의한 공동 충전공법
KR101403997B1 (ko) 그라우팅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케이슨 중공부 보강체 및 보강공법
KR101561214B1 (ko) 광산 채굴공동 충전 장치
KR101148175B1 (ko) 폐광산용 지중 가압식 갱도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가압식 모래 충전공법
KR100476839B1 (ko)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Atzl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large scale Tunnelling in Urban Environment
CN108867279B (zh) 一种软土路基市政道路施工方法
WO2013115677A2 (ru) Буроинъекционная свая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731573B1 (ko) 복선터널의 중간지지대 시공방법
CN105064384A (zh) 特殊地质条件下的真空管井降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