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162Y1 - 착탈식 스윙 보조구 - Google Patents

착탈식 스윙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162Y1
KR200332162Y1 KR20-2003-0024341U KR20030024341U KR200332162Y1 KR 200332162 Y1 KR200332162 Y1 KR 200332162Y1 KR 20030024341 U KR20030024341 U KR 20030024341U KR 200332162 Y1 KR200332162 Y1 KR 200332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main body
grip
side spher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구
Original Assignee
김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구 filed Critical 김흥구
Priority to KR20-2003-002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클럽의 그립에 끼워지는 스윙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그립과 손목의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절곡부(110)와, 일단부(120)에 형성된 연결부(121)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목을 감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1)와 결합형성된 완충부(210)와, 상기 완충부(210)와 연결형성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체결부(221)로 형성된 벨트(220)로 이루어져, 코킹시 손목을 보호하는 손목보호수단(200)과; 상기 본체(100) 타단부(130)에 연결형성되고, 일측구(311)와 타측구(312)가 맞물려 상기 그립을 감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310)와, 상기 일측구(311)와 연결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상기 일측구(311)가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310)의 크기가 조절되는 가압부(320)와, 축중심에 상기 일측구(311)와 상기 타측구(312)를 동축결합시키는 결합봉(331)이 삽입되어 상기 일측구(311)의 회동과 복원운동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30)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착탈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그립에 착탈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고 착탈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어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스윙궤도를 찾기가 용이하며, 손목보호수단에 의해 팔뚝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정확한 스윙동작을 효과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스윙 보조구{attached type swing assist}
본 고안은 골프 클럽의 그립에 끼워지는 스윙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착탈수단에 의해 그립으로의 착탈조작이 용이하며, 코킹시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보호수단이 구비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매 경기마다 날씨나 바람의 방향, 세기가 항상 다르고 골프장마다 코스가 다르므로, 골퍼에게 있어서는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흔들리지 않고 원하는 샷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하면서도 기계처럼 똑같은 궤도를 따라 안정적인 리듬과 템포로 스윙을 하기 위한 연습을 꾸준히 하게 된다.
스윙 동작은 하나의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백스윙을 시작으로 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폴로 스루, 피니쉬 동작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무리 없이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백스윙에서 톱스윙 그리고 톱스윙에서 다운스윙까지 정확한 손목코킹(coking)을 구사하지 못하면 정확한 샷이 나오지 않는다. 코킹(coking)이라 함은 그립과 손목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말하며, 정확한 손목코킹은 골프스윙의 기본이 되는 가장 중요한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를 처음 배우는 초보자는 처음 배울 때 올바른 스윙자세를 배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숙련자라도 스윙자세가 좋지 않을 때는 골프 실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자세교정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스윙자세의 교정을 위해, 혼자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초보자에게 있어서는 올바른 스윙동작을 혼자 연습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할 뿐 만 아니라, 숙련자에게 있어서도 좋지 않은 스윙자세에 이미 익숙해져 버린 상태이므로 혼자 연습을 하여 교정하기란 매우 힘들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경력이 많은 전문 골퍼들에게 배울 수밖에 없는데 이는 시간을 들여 골프 연습장에 가야 할뿐만 아니라 비용도 만만치 않게 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골퍼들이 정확한 스윙동작을 숙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연습도구로써 다양한 형상과 소재의 스윙보조구가 고안되고 있다.
종래의 스윙보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그립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볼트와 너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수용부에 그립을 수용시키고 너트를 조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너트의 조임 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너무 그립에 밀착되도록 조이게 되면 그립에 자국을 남기거나 스윙보조구가 손상될 염려가 발생시키며, 너무 느슨하게 조이면 스윙동작시 스윙보조구가 움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립을 감싸는 수용부가 좁아서 상기 수용부 내측의 접촉부가 그립에 심하게 밀착되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골프 클럽을 잡고 상기 수용부를 벌린 상태에서 그립을 잡아당기거나 끼워 넣어야 하므로 이는 매우 번거로우며, 또한 이러한 탈착과정에서 무리하게 그립 또는 스윙보조구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국소적으로 그립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그립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윙보조구는, 손목코킹을 위한 일정한 궤도를 숙지할 수 있도록 오른손 골퍼 기준으로 그립과 왼쪽 손목의 각도가 90도가 유지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와 이어지는 스윙보조구의 일단부에는 코킹시 왼손 팔뚝에 접촉되게 되어 정확한 코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곡면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는 왼손 팔뚝에 접촉될 때 잘못된 스윙궤도나 잦은 스윙연습으로 인하여 팔뚝에 부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손목보호수단, 착탈수단으로 형성되어 그립으로의 착탈조작이 용이하며, 코킹시 손목을 보호하여 정확한 스윙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착탈식 스윙 보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윙 보조구에 대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적용 예시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적용 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그립 20 : 스윙보조구
100 : 본체 110 : 절곡부
111 : 지지구 120 : 일단부
121 : 연결부 130 : 타단부
200 : 손목보호수단 210 : 완충부
220 : 벨트 221 : 체결부
300 : 착탈수단 310 : 수용부
311 : 일측구 312 : 타측구
320 : 가압부 330 : 지지스프링
331 : 결합봉 400 : 완충수단
410 : 본체측단면 420 : 본체연결부측단면
421 : 공간부 430 : 탄성부재
440 : 가이드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그립과 손목의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절곡부와,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목을 감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형성된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와 연결형성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체결부로 형성된 벨트로 이루어져, 코킹시 손목을 보호하는 손목보호수단과; 상기 본체 타단부에 연결형성되고, 일측구와 타측구가 맞물려 상기 그립을 감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일측구와 연결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상기 일측구가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의 크기가 조절되는 가압부와, 축중심에 상기 일측구와 상기 타측구를 동축결합시키는 결합봉이 삽입되어 상기 일측구의 회동과 복원운동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식 스윙 보조구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절단하여 생성된 본체측단면과 본체연결부측단면에 각각 양단부가 결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연결부측단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부가 더 형성되어 복원된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본체연결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과 복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관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탈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그립에 착탈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고 착탈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어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스윙궤도를 찾기가 용이하며, 손목보호수단에 의해 팔뚝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정확한 스윙동작을 효과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윙 보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적용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관이 더 형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대한 적용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스윙 보조구는, 본체(100), 손목보호수단(200), 착탈수단(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본체(100)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일정 가압에 의해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코킹시 그립과 손목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하기 위해 세로의 길이가 긴 절곡부(110)가 형성된 'ㄱ'자 형상이다. 즉 본체(100)의 세로 부분과 가로 부분이 만나는 부분이 상기 본체(100)의 절곡부(110)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0)에는 상기 본체(100)의 세로 부분과 가로 부분의 각도와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삼각형상의 지지구(111)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120) 즉, 상기 본체(100)의 세로부분의 끝단부에는 연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21)는 후술할 손목보호수단(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0)와 손목보호수단(20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손목보호수단(20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손목보호수단(2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은, 코킹시 손목에 상기 본체(100) 연결부(121)가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하고 반복적인 스윙연습을 하는 동안에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목을 감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은 상기 연결부(121)와 결합형성되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121)와 결합되는 부분은 천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완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210)와 연결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의 길이를 조절하고 손목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체결부(221)가 형성된 벨트(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21)는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고 탈부착을 반복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으로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본체(100) 타단부(130)에 연결형성되고, 수용부(310), 가압부(320), 지지스프링(330)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에 고정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수용부(310)는, 일측구(311)와 타측구(312)가 양쪽에서 맞물려, 즉 집게 형상으로 상기 그립을 감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타측구(312)는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구(311)에는 상기 일측구(311)와 연결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상기 일측구(311)가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310)의 크기가 조절되는 가압부(320)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0)은, 양단부에 스프링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힘이 상기 가압부(320)와 상기 타측구(312)에 각각 작용하여, 상기 가압부(320)를 상기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압에 의한 상기 일측구(311)의 회동동작과 회동후 복원동작을 지지하고, 일정정도의 압력으로 상기 그립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0)의 축중심에는 상기 일측구(311)와 상기 타측구(312)를 동축결합시키는 결합봉(331)이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결합봉(331)을 중심으로 상기 가압부(3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일측구(311)가 회동하게 되어, 그립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상기 수용부(310)의 크기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간단히 가압부(320)의 가압동작에 의해 그립에서 스윙보조구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스윙보조구가 그립에 부착되는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스윙궤도를 찾기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착탈식 스윙 보조구에 있어서, 전체 스윙동작을 더욱 더부드럽게 하고 손목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120)를 절단하여 생성된 본체측단면(410)과 상기 본체연결부측단면(420)에 각각 양단부가 결합된 탄성부재(430)로 이루어진 완충수단(40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반복적인 팽창과 수축운동을 할 수 있는 고무줄이나 스프링이 적당하다.
상기 완충수단(400)은 스윙동작의 연속적인 흐름을 무리 없이 진행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톱스윙부터 다운스윙, 임팩트, 폴로 스루, 피니쉬까지 스윙궤도를 따라 상기 착탈식 스윙 보조구가 손목에 접하는 순간과 손목에서 떨어지는 순간이 생긴다.
상기 완충수단(400)은, 본 고안에서는 손목보호를 위해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이 형성되어 손목에 스윙 보조구의 일단부(120)가 고정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세로 부분이 일정 정도 늘어 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스윙동작을 부드럽게 이어주고 스윙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손목이 코킹 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400)이 완전히 수축되어 손목과 그립의 이상적인 각도인 90도를 유지하고, 손목이 코킹 되지 않는 단계에서는 상기 완충수단(400)이 완전히 수축되지 않아 상기 본체(100)의 세로 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400)의 탄성부재(430)가 완전히 수축된 경우에는, 손목과 그립의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하고 상기 본체(100)의 세로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기 위해 상기 본체연결부측단면(420)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소정의 공간부(421)가더 형성되어 수축 또는 복원된 상기 탄성부재(430)가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400)에는, 상기 탄성부재(430)의 원활한 팽창과 복원을 위해서 상기 본체(100) 연결부(121)측에 결합되는 가이드관(44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관(440)은 상기 탄성부재(430)의 완전한 수축 또는 복원시 상기 본체측단면(410)과 상기 본체연결부측단면(420)이 정확하게 맞닿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상기 착탈수단(300)을 그립에 부착하고, 상기 손목보호수단(200)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맞추어 단단히 고정시켜, 스윙동작 연습 시에 보조구로 쓰이게 된다. 스윙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손목이 코킹 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400)이 완전히 수축되어 손목과 그립의 이상적인 각도인 90도를 유지하고, 손목이 코킹 되지 않는 단계에서는 상기 완충수단(400)이 완전히 수축되지 않아 상기 본체(100)의 세로 부분이 늘어나게 되어, 스윙동작이 연속적인 흐름으로 무리 없이 진행되고 스윙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착탈수단의 크기가 조절되어 그립에 착탈조작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착탈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어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스윙궤도를 찾기가 용이하여 정확한 스윙동작을 구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손목보호수단으로 인해, 오른손 골퍼인 경우에 왼쪽팔뚝에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그립과 손목의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절곡부(110)와, 일단부(120)에 형성된 연결부(121)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목을 감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1)와 결합형성된 완충부(210)와, 상기 완충부(210)와 연결형성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체결부(221)로 형성된 벨트(220)로 이루어져, 코킹시 손목을 보호하는 손목보호수단(200)과;
    상기 본체(100) 타단부(130)에 연결형성되고, 일측구(311)와 타측구(312)가 맞물려 상기 그립을 감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310)와, 상기 일측구(311)와 연결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상기 일측구(311)가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310)의 크기가 조절되는 가압부(320)와, 축중심에 상기 일측구(311)와 상기 타측구(312)를 동축결합시키는 결합봉(331)이 삽입되어 상기 일측구(311)의 회동과 복원운동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30)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스윙 보조구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120)를 절단하여 생성된 본체측단면(410)과 본체연결부측단면(420)에 각각 양단부가 결합된 탄성부재(430)로 이루어진 완충수단(40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연결부측단면(420)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부(421)가 더 형성되어 복원된 탄성부재(43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본체(100) 연결부(121)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430)의 팽창과 복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관(44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윙 보조구.
KR20-2003-0024341U 2003-07-28 2003-07-28 착탈식 스윙 보조구 KR200332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41U KR200332162Y1 (ko) 2003-07-28 2003-07-28 착탈식 스윙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41U KR200332162Y1 (ko) 2003-07-28 2003-07-28 착탈식 스윙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162Y1 true KR200332162Y1 (ko) 2003-11-07

Family

ID=4941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341U KR200332162Y1 (ko) 2003-07-28 2003-07-28 착탈식 스윙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1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0901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U761164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US5501464A (en) Golf swing forearm/wrist positioner
US6827654B2 (en) Device for training a sequence of movements
JP2001502198A (ja) 屈伸可能な触感できる身体関節用サポート
US5807183A (en) Golf-swing training device
US4575089A (en) Golf pronation device
US20110250979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7419444B2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233290B2 (en) Wrist training device for a golf swing and putting stroke
US6719639B2 (en) Golf wrist trainer
KR200439047Y1 (ko) 골프용 팔자세 교정기
US6533676B1 (en) Golf putting aid and brace member therefor
US11077348B1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8206233B2 (en) Wrist positioning athletic device
US7462116B2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332162Y1 (ko) 착탈식 스윙 보조구
WO2006082841A1 (ja) ゴルフスウィング練習用補助具
US20040048679A1 (en) Alignment device for a golf club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0471280Y1 (ko) 연습용 골프채 임시고정장치
US2010025592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related method of use
JPH0681566U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用具
KR20180070954A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2003265668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WO200308019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