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954A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954A
KR20180070954A KR1020160173579A KR20160173579A KR20180070954A KR 20180070954 A KR20180070954 A KR 20180070954A KR 1020160173579 A KR1020160173579 A KR 1020160173579A KR 20160173579 A KR20160173579 A KR 20160173579A KR 20180070954 A KR20180070954 A KR 2018007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member
rod
golf club
distal
golf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영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결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결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결애
Priority to KR102016017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954A/ko
Publication of KR2018007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근위부와 원위부를 각각 가진 2개의 봉들; 및 각각의 봉의 원위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에 마련된 결합부들, 및 결합부들 사이에 구성된 플렉스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System for practicing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골프 퍼팅 및/또는 테이크-백 연습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의 목표는 골프 클럽을 사용하여 정지 상태의 골프공을 타격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보내는 것이다.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 테이크-백,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로우, 피니시와 같은 구분 동작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골프 스윙은 수평적으로 작용하는 야구의 스윙과는 달리 골프의 스윙 궤적이 몸 앞이 지면을 향하고, 몸 뒤쪽이 위로 향한 사선 형태의 궤적이 형성된다. 골프 스윙의 궤적은 몸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커다란 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골프 스윙에 있어서, 골프채의 클럽헤드는 그 원의 바깥쪽을 따라 이동한다. 가장 이상적인 골프 스윙의 궤적은 어드레스 때 클럽 헤드와 어깨를 연결하는 연장선상이다. 임의의 스윙 궤적의 임팩트 때의 라인이 최초 어드레스 때의 샤프트 라인과 겹치면 볼이 똑바로 날아가게 된다. 즉, 최초로 공이 출발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스윙 궤적이다. 스윙 궤적에 따라 강한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도 있고, 전혀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847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88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1487를 통해, 골프 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다수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들은 골퍼 스윙 궤적 전체를 따라 골프 클럽이 스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연습장치로서, 그 부피가 커서 휴대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제작 및 보급되는 가격이 고가여서 일반인들이 쉽게 구입하여 실내외 등에서 골프 스윙 연습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퍼팅 및/또는 테이크-백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골프 스윙에 있어서 완벽한 몸통 회전 및/또는 어깨 회전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은, 근위부와 원위부를 각각 가진 2개의 봉들; 및 각각의 봉의 원위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에 마련된 결합부들, 및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구성된 플렉스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상기 골프채의 샤프트를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각각의 봉의 원위부가 미리 결정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각각의 원위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각각의 봉의 원위부를 실질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위부들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팔로우-스로우 및/또는 피니시 상태에서는 상기 테이크-백과 반대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위부들의 다른 하나가 어느 하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원위부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결합부는 대응되는 봉의 원위부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골프채의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또는 신축성이 있고,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단일섬유(single filament 또는 Single fiber) 형태이거나 평직(plain-woven), 편성(knit), 브레이드(braid), 부직(non-woven), 수자직(satin), 주자직(warp sating) 및 능직(twill)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섬유 집합체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밴드, 스트립, 쉬트, 호스, 또는 로프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부분들로 분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봉의 상기 근위부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부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 자세를 취할 때 골프채의 샤프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봉은 상기 근위부와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팔이 접촉되어 감쌀 수 있는 중간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봉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봉은 속이 빈 파이프 또는 샤프트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봉의 근위부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넌-슬립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부는 상기 각각의 봉의 근위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부는 상기 각각의 봉과 일체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 시 골프채의 그립부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플렉스블 연결부는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주면의 길이의 대략 0.5 내지 1.5배 사이의 길이를 가진다.
일 측면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은, 사용자(골퍼)가 2개의 봉들의 각각의 근위부를 겨드랑이에 끼고 팔로 봉을 감은 채, 각각의 봉의 원위부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면서 각각의 원위팁이 자유 자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포지셔닝 부재 위에 골프채(퍼터 및/또는 아연 및/또는 드라이버 및/또는 우드)의 샤프트를 올려 놓고 스윙 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퍼팅 및/또는 테이크-백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시, 어깨, 팔목, 골프채가 일체화 된 스윙 이른바, "펜듈럼(pendulum)" 스윙 동작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각의 봉이 겨드랑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팔이 봉을 감은 상태에서 골프채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동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포지셔닝 부재의 플렉스블 연결부가 골프채의 샤프트에 접촉되거나 감싸면서 스윙의 궤도의 각 지점에서 유연하게 그 위치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완벽한 몸통 회전 및/또는 어깨 회전을 사용자가 익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요약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정확한 장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봉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봉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포지셔닝 부재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 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포지셔닝 부재와 각각의 봉이 결합된 골프 스윙 시스템을 발췌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퍼가 퍼팅 스트로크를 연습하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구체적으로 퍼팅 스트로크의 어드레스 자세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퍼가 퍼팅 스트로크를 연습하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퍼팅 스트로크의 백 스윙 자세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퍼가 퍼팅 스트로크를 연습하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퍼팅 스트로크의 피니시 자세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0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한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에서 몸통 및/또는 어깨 회전을 연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5는 도 24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근위부"의 표현은 사용자(골퍼)의 몸을 기준으로 가까운 방향, 부분, 방위, 부위 등을 의미하며, "원위부"는 사용자(골퍼)의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부분, 방위, 부위 등으로서, "근위부"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의 작동 또는 사용 상태는 "오른 손 잡이 사용자(골퍼)"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왼 손 잡이 사용자는 당연히 오른 손 잡이 사용자의 반대로 해석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은, 골프 스윙의 교정, 레슨, 교습, 또는 훈련 시스템으로도 명명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은, 퍼터 및/또는 아연 등을 포함하는 골프채를 이용하여 퍼팅 스크로크 및/또는 아연 스트로크 등을 포함하는 스트로크의 개선을 위해 골퍼를 도울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으므로, 골프 스윙의 스트로크 제어 시스템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로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각각 근위부(12)와 원위부(14)를 가진 2개의 봉들(10), 및 각각의 봉(10)의 원위부(14)에 선택적으로 및/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들(22)과 결합부(22)에 연결될 수 있는 플렉스블 연결부(24)를 가진 포지셔닝 부재(20)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2개의 봉들(10)의 각각은 사용자 또는 골퍼(1: 도 20 참조)의 좌측 또는 우측 겨드랑이에 끼워질 수 있는 근위부(12), 근위부(12)와 반대되고 골프채(3)의 샤프트(5)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원위부(14), 및 근위부(12)와 원위부(14)를 연결하며 골퍼의 손이 둘러쌀 수 있는 중간부(16)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봉(10)은 시스템(100)의 사용시 골프채의 그립을 골퍼가 파지한 상태에서, 봉(10)의 근위부(12)가 골퍼의 겨드랑이들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고, 봉의 원위부(14)가 그립(7)을 지나쳐 골프채(3)의 샤프트(5)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봉(10)의 길이는, 가장 짧은 아연 골프채(예, 웨지)와 동일하거나 더 긴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긴 골프채(예, 드라이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봉(10)의 길이는 골퍼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봉(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고, 변화될 수도 있다.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 골프채의 아연 샤프트와 같이, 직경이 변화가 일정 길이 구간에서 단속적일 수 있다. 또한,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 즉, 골프채의 샤프트와 같이, 봉(10)의 단면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 단면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은 봉(10)의 근위부(12)가 되고, 봉(10)의 단면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이 봉(10)의 원위부(14)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변형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봉(10)은 클럽헤드를 제외한, 스틸 또는 그래파이트로 제조되는, 골프채의 샤프트 부분을 그대로 이용하거 약간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럽 헤드에 접촉되었던 부분이 봉(10)의 원위부(14)가 되고, 클럽의 그립 부분은 골퍼의 겨드랑이에 삽입될 수 있는 봉(10)의 근위부(1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골퍼들이 연습 상황에서 타구선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른바, 얼라이언먼트 스틱(alignment stick)을 그대로 또는 약간 변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의 각각의 봉(10)은 포지셔닝 부재(20)와 선택적으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봉(10) 그 자체는, 후술하게 될 포지셔닝 부재(20)와 분리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얼라이언먼트 스틱 또는 봉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연습 시스템(100)은 골프 스윙 연습의 키트로서 준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봉(10)은 속이 빈 파이프 구조, 속이 꽉 찬 스틱 구조, 일 부분만 속이 빈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봉(10)은 수지, 철, 그래파이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봉(1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3각, 4각, 5각, 6각, 8각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단면을 가진 봉(10)은 그 직경이 대략 2mm 내지 3mm 이상이고 대략 15mm 내지 17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봉(10)의 직경이 대략 2mm 내지 3mm 보다 더 작은 경우, 골퍼(1)의 어깨 턴과 손목 움직임이 일체화되지 않는 경우 봉(10)이 과도하게 휘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몸통 회전 어깨 턴 연습과 관련한 목적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봉(10)의 직경이 대략 15mm 내지 17mm보다 더 큰 경우에는 봉(10)을 겨드랑이에 착용하거나 골퍼가 골프채를 파지하기가 어렵고, 그 자체가 부담스러워 스윙 자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골퍼의 신체 조건에 따라 봉(10)의 단면의 직경은 임의의 사이즈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봉(10)은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재질 또는 두께, 원형 단면의 경우 그 지름, 다각형의 경우, 단면 방향으로 최대 폭과 최소 폭의 평균 폭의 치수에 따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들에 있어서, 각각의 봉(10)은, 사용시 그 길이 방향으로 골퍼(1)의 팔이 감싸져서, 봉(10)의 길이 방향과 팔의 방향이 대체로 동일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봉(10)의 휘는 성질은 골퍼(1)가 자신의 팔을 이용하여 봉(10)을 감쌀 때, 봉(10)이 더 견고하고 위치될 수 있고, 휘어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스틸 등과 비교하여, 골퍼(1)의 스윙 동작에 영향을 덜 미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봉(1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2개의 이상의 서로 분리된 피스들이 결합되는 구조 또는 텔리스코픽(telescopic) 구조로서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봉들(10)은 서로 길이가 다르거나, 단면 모양이 다르거나, 단면 직경 또는 평균 두께, 평균 폭이 서로 다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윙의 습관, 팔의 구조 또는 배치에 따라, 골퍼의 취향 또는 적절한 교습 방법에 따라, 좌,우 2개의 봉들(10)의 구조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봉(10)의 근위부(12)는 골퍼의 겨드랑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넌-슬립부(18)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넌-슬립부(18)는 각각의 봉(10)의 근위부(12)를 골퍼의 겨드랑이로 삽입해서 시스템(100)을 사용할 때, 봉(10)이 겨드랑이로부터 미끄러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골퍼의 스윙 연습 동작시 근위부(12)가 겨드랑이의 위치에 고정되어 회동점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봉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 실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의 각각의 봉(10)의 근위부(12)는 서로 직교 또는 소정 각도로 교차하는 형태로 패터닝된 넌-슬립부(18a)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의 이들 넌-슬립부들(18)(18a)은 사출, 압출 기타 가공 등을 포함하는 봉(10) 자체의 가공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봉(10)이 먼저 형성된 후 기계 가공, 표면 처리, 인쇄, 부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넌-슬립부들(18)(18a)은 봉(10)의 근위부(12)의 표면에 봉(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소정의 골과 홈이 연속되는 소정의 패턴을 포함한다. 비록 도 2 및 도 3에는 근위팁(12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중간부(16)를 향해 넌-슬립부(18)(18a)가 봉(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변형예들에 따르면, 근위팁(12a)을 포함하는 근위부(12)의 소정 길이 전체가 넌-슬립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봉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안적 및/또는 부가적 실시예들에 따른 봉(10a)은 그 근위부(12)의 소정 부위에 길이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인입부(11)가 마련되고, 인입부(11)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는 넌-슬립부(18b)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넌-슬립부(18b)는 인입부(1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 실시예에서, 넌-슬립부(18b)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입부(11) 그 자체가 넌-슬립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가 잘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인입부(11)의 인입 깊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의 포지셔닝 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부들(22)과 결합부들(22)을 서로 연결하고 골프채의 샤프트(5)를 지지하거나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플렉스블 연결부(2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을 골퍼(1)가 사용할 때, 봉들(10)의 각각의 근위부(12)가 겨드랑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봉들(10)의 각각의 원위부(14)를 근접되게 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2개의 봉들(10)과 골퍼(1)가 대략 3각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골퍼(1)가 골프 스윙을 위해 골프채(3)를 파지할 때, 정면에서 볼 때 골퍼(1)의 몸통과 골프채(3)의 그립(7) 사이의 실질적인 역삼각형을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2개의 봉들(10)과 골퍼의 몸통이 대략적으로 역삼각형을 형성하지만, 포지셔닝 부재(20)는 봉들(10)의 원위부(14) 특히, 각각의 원위팁들(14a)을 결합부들(22)에서 서로 연결하고, 연결부(24)에서 원위팁들(14a)을 플렉스블 연결부(24)의 길이만큼 이격시키는 점에서 완전한 역삼각형 구조를 취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부재(20)의 결합부들(22)은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골퍼가 골프채를 잡고 어드레스를 취하는 경우에는 골프채(3)의 샤프트(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고, 스윙 특히, 테이크-백 과정에서 두 팔의 궤적에 따라 팔이 감싸는 각각의 봉(10)의 위치에 따라 봉(10)의 원위팁(14a)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지셔닝 부재(20)는 골퍼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골프채의 샤프트를 플렉스블 연결부(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부재(20)는 골퍼(1)가 골프채(3)의 그립(7)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각각의 봉(10)의 원위부(14), 보다 구체적으로 원위팁(14a)을 실질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2개의 원위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또 다른 하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팔로우-스로우 및/또는 피니시 상태에서는 전술한 테이크-백과 반대로, 지면을 기준으로 2개의 원위부들의 또 다른 하나가 어느 하나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포지셔닝 부재(20)는, 플렉스블 연결부(24)의 기능 및/또는 구조에 의해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원위부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이크-백 또는 팔로우 스로우에 해당되는 스윙 동작에서,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골프채의 샤프트(5)와 분리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부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진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의 구성에 의해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포지셔닝 부재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Ⅵ-Ⅵ선 및 Ⅶ-Ⅶ선을 따라 각각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의 2개의 결합부들(22)은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로부터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즉,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의 결합부들(22)은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이 키트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즉, 포지셔닝 부재(20)로부터 봉(10)을 분리시켜, 골프 스윙 연습에서 봉을 얼라이언먼트 스틱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포지셔닝 부재(20)는 각각의 봉(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부재(20)는 양단에 마련된 2개의 결합부들(22) 사이에 마련된다. 각각의 결합부(22)는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6)이 내부에 마련된다. 삽입공(26)의 길이와 내경은 대응되는 원위부(1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을 만큼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부재(20)의 각각의 결합부(22)는 대응되는 봉의 원위부(14)에 압입 고정, 탄성 변형 고정, 별도의 파스너(미도시)를 이용한 고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입 고정의 경우, 포지셔닝 부재(20)의 각각의 결합부(22)의 삽입공(26)의 내경은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의 외경보다 약간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응되는 봉(10)의 원위부(14)의 원위팁(14a)은 삽입공(26)의 내경보다 조금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포지셔닝 부재(20)의 결합부(22)의 삽입공(26)에 대한 봉(10)의 원위팁(14a)의 초기 삽입을 적절하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부재(20)의 각각의 결합부(22)의 삽입공(26)은 봉(10)이 원형 단면을 가진다는 전제하에서 원형을 취하고 있지만, 일부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라, 삽입될 봉(10)의 단면에 대응하여 그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의 결합부(22)와 플렉스블 연결부(24)는 동일한 재질 및/또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지만, 변형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의 각각의 결합부(22)는 형태 변형이 거의 없는 단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지만, 외형이 결정되지만 어느 정도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복원될 수 있도록 약간의 탄력성 및/또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닝 부재(20)의 적어도 플렉스블 연결부(24)는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또는 신축성이 있고,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부재(20)의 적어도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고분자 탄성체(polymer elastomer),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결합부(22)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H)와 소정의 얇은 두께(D)를 가진다. 이러한 두께(D)의 사이즈에 따라, 탄력성, 신축성, 플렉스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5의 포지셔닝 부재(20)를 2개의 봉들(10)에 결합한 상태에서, 2개의 봉들(10)을 평행하게 위치시키면, 도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시스템(100)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2개의 봉들(10) 사이의 위치를 더 가깝게 하면, 포지셔닝 부재(20)의 형태, 구체적으로 플렉스블 연결부(24)의 형태가 도 1의 상태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의 상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그 중앙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놓여진다. 즉, 중앙선(CL)을 포함하는 중앙부(C)가 봉(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배치되며, 결합부(22)에 접하거나 인접하는 굴곡부(CV)가 중앙부(C) 위로 접히게 된다. 여기서, 중앙부(C)의 상면과 굴곡부(CV)의 일측면들은 골퍼(1)가 골프채(3)를 파지한 채 어드레스를 하게 되면 골프채의 샤프트(5)와 접촉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지셔닝 부재(20)는 사용 시 골프채(3)의 그립(7) 그 자체 및/또는 그립(7) 부근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고,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주면의 길이의 대략 0.5배과 1.5배 사이의 범위의 길이를 가진다. 만약, 0.5배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되면 골프채의 샤프트(5)의 지지가 불안정할 수 있고, 1.5배 보다 더 길어지면, 봉들(10)의 각각의 원위부(14)를 모이게 할 수 없으므로, 골프 스윙에 있어서 몸통 및/또는 어깨 회전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는 단단하고 형태를 소정 정도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부들(22)과 허물허물하고 탄력성과 신축성 등을 유지하는 플렉스블 연결부(24c)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도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는 전체 길이 방향에 걸쳐 관통되어 있지만, 결합부들(22)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그 형태를 강성 및/또는 탄성체로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중간의 탄성 연결부(24c)는 예를 들어, 고무줄과 같이 늘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는 예를 들어, 도 9의 플렉스블 연결부(24)의 내주면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접착부(28)를 구비한다. 이러한 접착부(28)는 열, 레이저, 초음파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도 10의 포지셔닝 부재(20)는 접착부(28)를 제외하고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포지셔닝 부재(20)의 기능과 구조가 유사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부분들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23)을 구비한다. 이러한 슬릿(23)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포지셔닝 부재(20)의 경우, 플렉스블 연결부(24)는 높이(H)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3개의 슬릿들(23)을 가진다. 이러한 슬릿(23)은 플렉스블 연결부(24)의 두께(D) 방향으로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 구조는 플렉스블 연결부(24)의 탄력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 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포지셔닝 부재와 각각의 봉이 결합된 골프 스윙 시스템을 발췌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한 쌍의 결합부들(22), 및 결합부(22)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형의 플렉스블 연결부(24a)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렉스블 연결부(24)는 줄, 케이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변형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포지셔닝 부재와 달리,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결합부(22)와 별도로 제작될 수 있고, 결합부(22)의 삽입공(26)의 폐쇄단(26a)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20)의 각각의 결합부(22)에 별도로 연결된 플렉스블 연결부(24b)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결합부(22)는 결합 고리(28)를 구비한다. 플렉스블 연결부(24)는 단일섬유(single filament 또는 Single fiber) 형태이거나 평직(plain-woven), 편성(knit), 브레이드(braid), 부직(non-woven), 수자직(satin), 주자직(warp sating) 및 능직(twill)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섬유 집합체 형태이다. 즉, 플렉스블 연결부(24b)는 결합 고리(28)에 매듭, 접착, 부착 등의 형태로 결속된다. 또한, 결합부(22)의 타단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28)는 단순히 폐쇄형의 고리 형태뿐만 아니라, 개방형 고리, 부착 돌기, 홈, 기타 다른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그 중간에 미리-형성된 리세스(23)가 마련된다. 이러한 리세스(23)는 골프채의 샤프트(5)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포지셔닝 부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d)는 양단의 결합부(22)의 외경보다 더 넓은 높이(H2)를 가진 구조이고, 도 19에 도시된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e)는 결합부(22)의 외경보다 더 좁은 높이(H3)를 가진 구조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진 밴드, 스트립, 쉬트, 호스, 또는 로프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퍼가 퍼팅 스트로크를 연습하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들로서, 도 20은 퍼팅 스트로크의 어드레스 자세를, 도 21는 퍼팅 스트로크의 백 스윙 자세를, 도 22는 퍼팅 스트로크의 피니시 자세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 23은 도 20의 좌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1의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퍼팅 스트로크를 연습하는 경우,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게 되면, 2개의 봉들(10)의 각각의 근위부(12)는 골퍼(1)의 겨드랑이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골퍼(1)의 양팔은 봉들(10)의 중간부(16)를 바깥쪽에서 감싼 상태에서, 손목이 각각의 봉(10)의 원위부(14) 위에 위치되어 퍼터(3)의 그립(7)을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퍼터(3)의 샤프트(5)의 하면에 접촉되어 샤프트(5)를 거의 감싸는 구조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스윙을 하면, 골퍼(1)의 양팔이 2개의 봉들(10)과 일체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당연히 어깨 및/또는 몸통이 움직이면서, 손목의 꺾임을 방지하여 이른바 "펜들륨" 스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골퍼(1)는 몸통 스윙에 의해 안정된 퍼팅 스트로크의 감을 연습하여 이를 체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도 21의 반대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21 및 도 22의 상태에서,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는 실질적으로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한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에서 몸통 및/또는 어깨 회전을 연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5는 도 24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동작들 중 가장 중요한 동작이라 할 수 있는 테이크-백 상태, 즉, 골프채의 샤프트(5)가 지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백 스윙의 상태는, 어깨 및/또는 몸통 회전에 의해 오른 팔보다 상대적으로 왼 팔이 더 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왼 팔과 거의 일체로 움직이는 왼쪽 봉(10)의 원위부(14)의 왼쪽 원위팁(14c)이 오른 팔과 거의 일체로 움직이는 오른쪽 봉(10)의 원위부(14)의 오른쪽 원위팁(14d)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2개의 원위부들(14)이 서로 교차하게 되고, 골프채(3)의 샤프트(5)가 포지셔닝 부재(20)의 플렉스블 연결부(24)로부터 접촉이 해제된다. 이러한 과정은 골퍼(1)의 겨드랑이에 봉들(10)의 근위부(12)가 고정된 상태에서 몸통 회전에 의해 봉들(10)과 일체로 손목의 꺾임이 없이 양팔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골퍼(1)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몸통 회전을 연습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부가물, 변형물, 조합들 및/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요소들, 물질들,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상 또는 필수적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열, 비율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특정의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특히 적합하도록 개조된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형과 함께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함께 및/또는 상호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일부는 예시적으로 위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일부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골퍼 3…골프채
5…샤프트 7…그립
10…봉 12…근위부
14…원위부 16…중간부
18…넌-슬립부 20…포지셔닝 부재
22…결합부 24… 플렉스블 연결부
26…삽입공 100…시스템

Claims (21)

  1. 근위부와 원위부를 각각 가진 2개의 봉들; 및
    각각의 봉의 원위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에 마련된 결합부들, 및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구성된 플렉스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부재를 구비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상기 골프채의 샤프트를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각각의 봉의 원위부들이 미리 결정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각각의 원위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를 취할 때 각각의 봉의 원위부를 실질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위부들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팔로우-스로우 및/또는 피니시 상태에서는 상기 테이크-백과 반대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위부들의 다른 하나가 어느 하나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원위부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테이크-백 및/또는 백스윙-탑 상태에서, 골프채의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대응되는 봉의 원위부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플렉스블 연결부는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또는 신축성이 있고,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단일섬유(single filament 또는 Single fiber) 형태이거나 평직(plain-woven), 편성(knit), 브레이드(braid), 부직(non-woven), 수자직(satin), 주자직(warp sating) 및 능직(twill)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섬유 집합체 형태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밴드, 스트립, 쉬트, 호스, 또는 로프 형태인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블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부분들로 분기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봉의 상기 근위부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부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 자세를 취할 때 골프채의 샤프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봉은 상기 근위부와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팔이 접촉되어 감쌀 수 있는 중간부를 더 구비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봉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봉은 속이 빈 파이프 또는 샤프트 구조를 가진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봉의 근위부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넌-슬립부를 더 구비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부는 상기 각각의 봉의 근위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부는 상기 각각의 봉과 일체로 마련된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사용 시 골프채의 그립부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플렉스블 연결부는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주면의 길이의 대략 0.5배 내지 1.5배 사이의 길이를 가진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KR1020160173579A 2016-12-19 2016-12-1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18007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79A KR20180070954A (ko) 2016-12-19 2016-12-1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79A KR20180070954A (ko) 2016-12-19 2016-12-1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954A true KR20180070954A (ko) 2018-06-27

Family

ID=6278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579A KR20180070954A (ko) 2016-12-19 2016-12-1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597B1 (en) 2022-07-20 2023-11-07 Swingworks Golf Inc. Alignment a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597B1 (en) 2022-07-20 2023-11-07 Swingworks Golf Inc. Alignment a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98006A (en) Device for training golfers
US9295896B1 (en) Wearable golf training aids
AU761164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US6648770B1 (en) Training golf iron
US20070142133A1 (en) Baseball pitching training device
US8500569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8043163B2 (en) Practice aid for golfers
US5439214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8852015B1 (en) Golf training aid
US5257779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8100783B2 (en) Tennis serve training device
US7090588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527040A (en) Wrist splint and stabilizer
US5060942A (en) Stroke training device
KR20180070954A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412498Y1 (ko) 손목받침대가 구비된 골프장갑
KR100965695B1 (ko) 골프장갑
US9956467B2 (en) Athletic training device
KR101907314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기
KR200396681Y1 (ko) 걸이띠가 분리 결합가능한 골프장갑
KR100767818B1 (ko) 골프 스윙 교정구
JP2015043791A (ja) テニスラケット、卓球ラケット及び野球バット等のスイング練習具
JP2005095338A (ja) スイング練習具
KR102299396B1 (ko)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JP3236221U (ja) ゴルフ練習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