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695B1 - 골프장갑 - Google Patents

골프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695B1
KR100965695B1 KR1020080018713A KR20080018713A KR100965695B1 KR 100965695 B1 KR100965695 B1 KR 100965695B1 KR 1020080018713 A KR1020080018713 A KR 1020080018713A KR 20080018713 A KR20080018713 A KR 20080018713A KR 100965695 B1 KR100965695 B1 KR 10096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golf
hand
grip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272A (ko
Inventor
박범성
Original Assignee
박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성 filed Critical 박범성
Priority to KR102008001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6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할 때 착용하는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부의 양 옆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형구를 형성하여 볼록한 엄지 손가락부의 표면이 오목한 둥근면을 형성토록 하는 골프장갑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골프장갑이 갖는 기본 목적과 마찬가지로 골프클럽의 그립을 정확하게 잡아주며, 스윙이나 타구시 잡아 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골프공이 타구 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시 힘이 많이 가해지는 엄지손가락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정확한 파지력을 구사하게 되며, 엄지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클럽의 정중앙선 위에 위치되어 스윙이나 타구 시에 손의 흩어짐이 없이 항상 일정한 파지 형태를 유지하여, 손목의 코킹(cocking: 볼을 치기 위한 백스윙의 단계에서 손목의 꺾임)이 정확하게 되어 오버스윙을 방지하여 안정된 타구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골프클럽(31)의 그립(32)을 잡아주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일체로 형성하며,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분인 엄지손가락부(11)의 윗부분에는 손등보강덧판(25)을 덧 부착한 것이다.
상기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 형성되는 바닥보형구(21)는 굽힘이 자유로 운 재질로되며 가운데는 얇고 양측은 두꺼운 형상의 바닥보형물(22)을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맞대고 그 위를 바닥보조덧판(23)을 부착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바닥보형구(21)의 다른 구조로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고 접어 생긴 돌출부(24)를 재봉으로 고정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위에 형성하는 손등보강덧판(25)은 그 내측에 엄지손가락 위와 엄지손가락 뒷부분에 손등보형물(26)을 삽입토록 한 것이다.
골프장갑

Description

골프장갑{Golf glove}
본 발명은 골프 할 때 착용하는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부의 양 옆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형구를 형성하여 볼록한 엄지 손가락부의 표면이 오목한 둥근면을 형성토록 하는 골프장갑에 관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그립을 파지할 시 엄지손가락이 클럽의 중심선 상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며, 클럽 파지시 파지면적의 확대로 인한 안정적인 파지를 유지하며, 또한 엄지손가락이 고른 압력으로 클럽을 파지함으로 인해, 안정적인 타구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공을 타구할 수 있도록 골프장갑의 엄지 손가락부의 표면에 보형구를 형성한 것이다.
골프에 있어서 왼손은 골프채를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잡아 쥐는 클럽과의 미끄럼방지와 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골프장갑은 양손 모두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클럽을 직접 잡아 쥐는 손인 왼손에만 골프장갑(오른손잡이)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왼손용 골프장갑을 도시하였다.
골프클럽의 일반적인 파지 방법은 골프장갑을 착용한 왼손으로 골프클럽의 그립의 끝부분을 감싸쥐면서, 엄지손가락을 그립의 중심선 위에 올려놓으며, 오른손의 손바닥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덮도록 감싸쥐며,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그립의 앞부분을 부드럽게 잡아주도록 파지하며, 그립을 손 안에서 흔들림 없게 고정시키며, 오른손과 왼손의 흩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른손 소지 손가락을, 왼손의 검지와 중지손가락 사이에 끼워 양손을 일체로 결합 되게 골프클럽을 파지하게 된다.
또한 왼손의 엄지손가락의 바닥부는 그립의 중심 선상에 위치시키고, 엄지손가락으로 그립을 지그시 눌러 스윙이나 타구시 클럽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골프장갑은 신축성이 있는 섬유소재나, 인조 또는 천연가죽 소재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돌기부를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우레탄 등으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성을 증대하는 구조로 제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골프장갑은 골프공을 타격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손바닥을 보호하게 되며, 손바닥의 땀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골프장갑에 대한 특허나 실용신안 문헌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88607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럽의 그립을 잡아 고정하는 골프장갑은 미끄럼방지와 밀착성을 증진시키며, 손바닥과 그립과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손바닥 한가운데 위치에 쿠션을 가지며, 굽힘이 자유로운 고무 재질의 덧판을 부착한 골프장갑을 볼 수 있으며
특허 제10-368654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지와 약지 손가락 바닥부에 고무재로 된 돌기부를 형성한 골프장갑을 볼 수 있으며
손가락 마디부에 접착력을 중진시키기 위한 탄성돌기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골프장갑의 엄지 손가락부를 제거하거나, 엄지 손가락부를 착탈자재하게 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골프장갑에 벨크로 테이프를 갖는 밴드를 형성하고 밴드를 이용하여 손을 클럽에 감아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장갑은 미끄럼을 방지하며, 고정력을 증진시키며, 클럽의 그립을 잡아 고정하는 (왼)손의 그립 상태를 통제하여 정확하고 안정되게 클럽을 잡아고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골프장갑이 갖는 기본 목적과 마찬가지로 골프클럽의 그립을 정확하게 잡아주며, 스윙이나 타구시 잡아 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골프공이 타구 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시 힘이 많이 가해지는 엄지손가락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정확한 파지력을 구사하게 되며, 엄지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클럽의 정중앙선 위에 위치되어 스윙이나 타구 시에 손의 흩어짐이 없이 항상 일정한 파지 형태를 유지하여, 손목의 코킹(cocking: 볼을 치기 위한 백스윙의 단계에서 손목의 꺾임)이 정확하게 되어 오버스윙을 방지하여 안정된 타구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7-9836호(골프장갑)를 개량발전시킨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골프클럽(31)의 그립(32)을 잡아주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며,
상기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분인 엄지손가락부(11)의 윗부분에는 손등보강덧판(25)을 덧 부착한 것이다.
상기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 형성되는 바닥보형구(21)는 굽힘이 자유로운 재질로되며 가운데는 얇고 양측은 두꺼운 형상의 바닥보형물(22)을 골프장 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맞대고 그 위를 바닥보조덧판(23)을 부착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바닥보형구(21)의 다른 구조로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고 접어 생긴 돌출부(24)를 재봉으로 고정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위에 형성하는 손등보강덧판(25)은 그 내측에 엄지손가락 위와 엄지손가락 뒷부분에 손등보형물(26)을 삽입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의 손가락의 바닥면의 1~2개소에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를 장갑 내측이나 외측에 재봉으로 부착한 것이다.
상기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로는 고무밴드나 스판(span)지를 사용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의 손가락부의 1~2개소에 신축력을 갖는 고무밴드나 스판(span)지와 같은 탄성재(41)를 재봉으로 장갑의 손가락부의 내측이나 외측에 재봉으로 부착하며, 엄지손락부(11)의 바닥면에 좌우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며,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분에 손등보강덧판(25)을 덧 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의 신체 중 손가락의 바닥부분은 볼록한 둥근면을 가짐으로 인하여 장갑 을 착용하더라도, 손가락 바닥부분은 볼록한 둥근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골프클럽(31)의 손잡이 부분인 그립(32)은 금속재 골프채(shaft) 단부에 끼워 형성한 것으로 그 단면 역시 둥근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둥근형태의 그립(32) 위의 중심선 위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의 바닥을 위치시키고 그립을 나머지 손가락으로 감아 쥐게 되며, 왼손의 엄지손가락 위를 오른손으로 감아 쥐어 타구함에 있어 왼손은 그립을 좌우로 이동이 안되게 잡아 고정하게 되는바. 엄지손가락의 바닥이 그립의 중앙선 위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고, 이탈할 경우 그립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스윙이나 타구시 클럽이 흔들리게 되며, 이로 인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타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많은 골퍼들은 그립을 잡아 고정하는 왼손에 장갑을 착용하게 되며, 그립의 정확한 파지를 위해 많은 연습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골프클럽(31) 즉 그립(32)의 파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 좌우 양 옆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여 엄지 손가락이 항상 클럽(31)의 정중앙선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엄지손가락부(11)의 좌우 양측에 형성한 바닥보형구(21)에 의해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부는 오목한 둥근면을 형성하게 됨으로 엄지손가락부(11)를 그립(32)에 올려 놓을 시, 자연스럽게 엄지손가락이 그립(32)의 중앙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엄지손가락이 임의로 그립(32)의 중앙선 상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골퍼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그립을 정확하며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스윙시나 타구시 원하는 방향으로 볼을 타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통상, 인조가죽이나 천연가죽 또는 기타 직물지로 봉재하여 제조하는 골프장갑에 있어서,
엄지손가락부(11)의 좌우 양측에 바닥보형구(21)를 일체로 형성하여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을 오목한 둥근면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 바닥보형구(21)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부분을 오목한 둥근면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 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부드러운 인조나 천연가죽재로, 이용하여 가운데 부분은 얇고 양측변은 도툼한 아령형상의 단면이나, 11자 형상으로 된 바닥보형물(22)을 엄지손가락부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맞대고 그 위에 접착제나 재봉으로 바닥보조덧판(23)을 고정하여, 엄지손가락부(11) 바닥면에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보형구(21)는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 좌우 양측에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여 엄지손가락으로 그립(32) 위를 누를 시, 자연스럽게 엄지손가락의 방향이 그립(32)의 표면과 일치하여, 바른 자세로 그립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만일 바닥보형구(21)가 형성된 본 발명을 착용하고 그립(32)을 바른 자세로 쥐지 않을 경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로 그립(32)을 쥐게 된다.
또한 엄지손가락부(11)의 좌우 양측에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함에 있어서,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고, 접어 생긴 돌출부(24)를 재봉하여 고정시켜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그립(32)을 잡아 쥐는 방법은 왼손으로 골프그립(32)을 잡은 후, 오른손 바닥을 왼손 위로 포갠 후 오른손으로 골프그립을 잡아 쥐게 된다.
이때 왼손의 엄지손가락은 죽 펴서 골프클럽(31)과 직선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엄지손가락으로 그립(32)을 눌러주게 되며,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흔들리지 않도록 오른손 바닥으로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눌러주면서, 오른손으로 그립을 잡아 쥐게 되며 왼손의 검지와 장지 사이에 오른손의 새끼손가락을 끼워 그립을 잡아 고정하게 되는바,
왼손의 엄지손가락의 손등 부분은 오른손 바닥과 맞접합하게 되므로, 왼손에 착용하는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 윗부분인 손등부위는 오른손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지게 되며, 마모될 경우 마찰력이 감소되어 견고한 파지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윗부분에 손등부위에 손등보강덧판(25)을 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엄지손가락부 윗부분에 부착하는 손등보강덧판(25)은 오른손 바닥과 및 밀착되어 견고한 파지력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왼손 위를 잡아 쥐는 오른손의 파지력이 강하지 않더라도, 딱 달라 붙는 밀착감을 갖게 되며, 스윙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가볍게 그립(32)을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엄지손가락부(11)의 윗부분에 손등보강덧판(25)을 부착함에있 어, 손등보강덧판(25) 내측에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된 손등보형물(26)을 삽입게재하여 손등보강덧판(25)의 표면의 높이를 높여주게 구성하게 된다.
상기 손등보형물(26)은 엄지손가락 위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하는 앞뒤 2개소의 손등보형물(26)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골프장갑을 낀 엄지손가락이 그립의 중앙선상에 위치하여 엄지손가락이 그립의 위치에 벗어남이 없게 하며 골프장갑 위에 포개어 잡는 오른손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강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손등보강덧판(25)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되며 가볍게 그립(32)을 쥘 수 있음으로 골프그립(32)을 이상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골프장갑(10)은 얇은 가죽으로 된 양피지나, 신축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질로 된 골프장갑(10)은 사용함에 따라 신축력이 떨어지게 되며, 늘어나 손에 딱 달라붙는 밀착력이 저하되게 된다.
보통의 골프장갑의 손등에는 벨크로테이프를 가져 밀착되도록 조여주게 되나, 오래 사용한 골프장갑의 손바닥이나 손가락 부분은 늘어나, 이로 인해 골프그립을, 타이트하게 잡아주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손가락부가 늘어난 장갑은 사용토록 손가락부가 뒤틀려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손가락부의 바닥면의 1~2개소에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를 부착하여, 밀착력을 증진토록 한 것이다.
상기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로는 고무밴드나 탄성직물인 스판(span)지를 재봉에 의해 손가락부의 바닥면에 1 -2 개소에 부착하게 된다,
특히 손가락부의 1~2개소에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를 형성하며,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에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며 엄지손락부(11)의 손등 부분에 손등보강덧판(25)을 덧판(25)을 형성한 본 발명은 오래 사용한 골프장갑도 손바닥에 딱달라 붙은 밀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은 골프클럽을 파지할 때 항시 클럽의 중심선 상 위에 엄지 손가락이 위치함으로 인해 정확한 파지를 돕게 되며, 엄지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눌러 파지할 경우 엄지 손가락이 좌,우로 미동이 없게 파지되어 지며, 이로 인해 골퍼는 안정적으로 공을 타구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윙의 정확도를 유지하며, 비거리 향상에 크게 도움을 주며, 파지습관이 잘못된 골퍼는 본 발명으로 인해 파지 상태를 교정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골퍼에게 골프의 즐거움을 더해 주게 되며 안정적인 타구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을 타구하게 되며, 자세를 인정하게 유지하거나. 잘못된 파지 습관을 교정하는 효과를 갖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부 바닥면 양측에 표면 위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에 의해 엄지손가락이 골프그립의 중앙선에서 위치되어 지며, 바닥보형구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하여 엄지손가락이 골프그립에서 쉽게 이탈이 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골프장갑을 착용한 왼손 위에 오른손을 포개어 잡을 시 오른손 바닥과 그 아래의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 손등 위를 보강하는 손등보강덧판에 의해 밀착력이 증진되어 큰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골프그립을 정확히 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굽힘이 자유로우며 가운데는 얇고 양측은 약간의 두께를 갖는 형상의 바닥보형물(22)을 바닥보조덧판(23)으로 부착하여,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에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보형물(22)을 바닥보조덧판(23)으로 부착하는 수단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보조덧판(23)을 골프장갑의 엄지손가락부(11)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부착하거나, 재봉으로 보조덧판(12)을 부착고정하게 된다.
또한 바닥보형구(21)의 다른 구조로는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고, 접어 생긴 돌출부(24)를 재봉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어 생긴 돌출부(24) 즉 바닥보형구(21)의 사이에 골프클럽(31)의 그립(32)이 위치되어질 때 엄지손가락은 자연스럽게 골프클럽의 정중앙선에 놓여 지게 되어 정확히 바른 자세로 골프클럽을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장갑(10)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장갑 재질이 늘어나 탄력이 소멸되어 헐거워지는 것을 감안하여 골프장갑(10)의 각각의 손가락부의 1~2개소에 신축을 갖는 고무밴드(41)를 부착하여 손가락부가 늘어나, 밀착력이 떨어지며, 손 가락부가 뒤틀려 돌아가는 현상을 예방하며 항상 손가락부가 밀착되는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사시도로
(가)는 손바닥 면을 보인 사시도
(나)는 손등면을 보인 사시도
도2 도1의 A-A선 단면으로
(가)는 바닥 보조 덧판을 장갑 내측에 부착한 경우의 단면도
(나)는 바닥 보조덧판을 장갑 외측에 부착한 경우의 단면도
도3 도1의 A-A선 단면으로,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으로
(가)는 골프그립을 잡은 상태의 단면도
(나)는 골프그립을 잡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5 본 발명의 타 실시예의 사용 상태 단면으로
(가)는 골프그립을 잡은 상태의 단면도
(나)는 골프그립을 잡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6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7 본 발명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8 본 발명의 사용상태 종 단면도
도9 종래 골프클럽을 파지한 왼손의 평면도
도10 종래 골프장갑을 착용하고 골프클럽을 파지한 것을 보인 정 단면도
도11 도9의 C-C선 단면으로 종래 골프장갑을 착용한 왼손으로 골프클럽을 파 지한 전과 골프클럽을 파지한 후의 단면도
도12 본 발명의 타 실시예의 사시도로
(가)는 손바닥면을 보인 사시도
(나)는 손등면을 보인 사시도
도13 도12의 C-C선 단면도
도14 도12의 D-D선 단면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골프장갑 11: 엄지손가락부
21: 바닥보형구 22: 바닥 보형물
23: 바닥보조덧판 24: 돌출부
25: 손등보강덧판 26: 손등보형물
31: 골프클럽 32: 그립
41: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

Claims (7)

  1.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며,
    상기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분인 엄지손가락부(11)의 윗부분에는 손등보강덧판(25)을 덧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 형성되는 바닥보형구(21)는 굽힘이 자유로운 재질로 되며 가운데는 얇고 양측은 두꺼운 형상의 바닥보형물(22)을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맞대고 그 위를 바닥보조덧판(23)을 부착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보형구(21)는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의 좌우 양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고 접어 생긴 돌출부(24)를 재봉으로 고정하여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 부위에 형성하는 손등보강덧판(25)은 그 내측에 엄지손가락 위와 엄지손가락 뒷부분에 손등보형물(26)을 삽입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5. 삭제
  6. 삭제
  7. 골프장갑(10)의 각각의 손가락부의 바닥면의 1~2개소에 신축력을 갖는 탄성재(41)를 장갑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골프장갑(10)의 엄지손가락부(11)의 바닥면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바닥보형구(21)를 형성하며, 엄지손가락부(11)의 손등부분에 손등보강덧판(25)을 덧부착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KR1020080018713A 2008-02-29 2008-02-29 골프장갑 KR10096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13A KR100965695B1 (ko) 2008-02-29 2008-02-29 골프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13A KR100965695B1 (ko) 2008-02-29 2008-02-29 골프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72A KR20090093272A (ko) 2009-09-02
KR100965695B1 true KR100965695B1 (ko) 2010-06-24

Family

ID=4130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713A KR100965695B1 (ko) 2008-02-29 2008-02-29 골프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46B1 (ko) 2012-06-26 2012-10-15 (주)당나귀골프 콕앵글가이드를 구비하는 골프글러브
KR20160003454U (ko) 2015-03-30 2016-10-10 이미경 골프 장갑
KR20210056877A (ko) 2019-11-11 2021-05-20 양원용 고신축 및 고통기성 논슬립 골프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1U (ko) * 1997-04-22 1998-11-25 김유환 골프장갑
KR200313153Y1 (ko) 2003-01-29 2003-05-16 이남희 슬라이스 방지용 골프 장갑
KR200376188Y1 (ko) 2004-11-29 2005-03-08 신창규 골프용 장갑
KR100586375B1 (ko) 2005-02-04 2006-06-0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주방용 손 보호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1U (ko) * 1997-04-22 1998-11-25 김유환 골프장갑
KR200313153Y1 (ko) 2003-01-29 2003-05-16 이남희 슬라이스 방지용 골프 장갑
KR200376188Y1 (ko) 2004-11-29 2005-03-08 신창규 골프용 장갑
KR100586375B1 (ko) 2005-02-04 2006-06-0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주방용 손 보호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46B1 (ko) 2012-06-26 2012-10-15 (주)당나귀골프 콕앵글가이드를 구비하는 골프글러브
KR20160003454U (ko) 2015-03-30 2016-10-10 이미경 골프 장갑
KR20210056877A (ko) 2019-11-11 2021-05-20 양원용 고신축 및 고통기성 논슬립 골프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72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625A (en) Golfer&#39;s glove
US3863271A (en) Athlete{3 s glove and pad
US3255462A (en) Golf glove
US8146173B2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20120028737A1 (en) Golf glove with grip pressure reducing means
KR100511507B1 (ko) 골프 장갑
KR101030131B1 (ko) 손목 고정 기능이 부가된 골프용 장갑
KR100965695B1 (ko) 골프장갑
US8613675B2 (en) Golf strap
US7058984B2 (en) Golf gloves
US3922724A (en) Golf glove
KR200412498Y1 (ko) 손목받침대가 구비된 골프장갑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KR200422593Y1 (ko) 그립 파지력 강화밴드가 고정부착된 골프장갑
KR200445774Y1 (ko) 손가락 밴드
KR101830578B1 (ko) 손가락절곡유지수단과 이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KR100976036B1 (ko) 스트롱 그립퍼를 구비한 골프장갑 및 스트롱 크립퍼를 이용한 골프 클럽의 그립 방법
KR200442502Y1 (ko) 골프 장갑
US9089762B1 (en) Golf glove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KR200352259Y1 (ko) 그립의 고정력과 밀착성을 높인 골프장갑
KR200376188Y1 (ko) 골프용 장갑
KR20180070954A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3212738U (ja) ゴルフ用グローブ
KR20120002691U (ko) 골프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