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68Y1 -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 Google Patents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68Y1
KR200331868Y1 KR2019980022503U KR19980022503U KR200331868Y1 KR 200331868 Y1 KR200331868 Y1 KR 200331868Y1 KR 2019980022503 U KR2019980022503 U KR 2019980022503U KR 19980022503 U KR19980022503 U KR 19980022503U KR 200331868 Y1 KR200331868 Y1 KR 200331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adow mask
welding
panel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85U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2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6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01J9/14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of shadow-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면 브라운관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의 형상을 변경하여 브라운관의 조립공정중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패널을 포함한 레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전면(前面)이 고정되고 후면에는 새도우마스크가 고정되는 레일을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레일(7)의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되는 면을 확장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되는 자리를 피해서 새로운 새도우마스크를 수차례 더 용접할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본 고안은 평면 브라운관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의 형상을 변경하여 브라운관의 조립공정중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패널을 포함한 레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 브라운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1a)가 도포된 평판형 패널(1)의 내면에는 벌브(bulb)형태의 펀넬(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펀넬(2)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부(3)에는 전자빔(4)을 발사하는 전자총(5)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네크부(3)의 외측에는 전자빔(4)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 내면의 가장자리측에는 사각틀 형상의 레일(7)이 후릿 글라스(frit glass)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7)의 펀넬측에는 공극형상 또는 원형상의 가는 구멍이 무수히 뚫린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펀넬(2)의 네크부(3)에 봉입되어 있는 전자총(5)으로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총의 캐소드로부터 전자빔(4)이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빔은 전자총의 각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제어, 가속, 집속된 다음 편향요크(6)의 정자계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궤도가 수정된 상태로 새도우마스크(8)를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1a)를 발광시키므로써 화상이 재현된다.
한편, 상기 금속재인 새도우마스크(8)를 패널(1)의 내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레일(7)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레일(7)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패널(1)을 향하는 전면(前面)에는 후릿 글라스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홈(7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되는 제 1 용접면(7b)과, 외부지자계를 차폐하기 위한 인너쉴드(9) 및 새도우마스크(8)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와이어(10)가 고정되는 제 2 용접면(7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일(7)을 패널(1)의 내면에 고정시킬때는 먼저, 레일(7)의 홈(7a)에 홈깊이의 약 80% 정도만큼 후릿 글라스(frit glass)를 채워넣고 가열로에서 약 100℃ 정도로 건조시킨다.
다음, 홈(7a)의 나머지 부분(20%)에 후릿 글라스를 채워넣은 상태에서 패널(1)의 내면에 레일(7)을 부착하고, 패널(1)과 이에 부착된 레일(7)을 함께 440℃의 가열로에 넣어 실링하며, 이후 실링된 패널(1)과 레일(7)을 상온에서 냉각시킴에 따른 후릿 글라스의 응고력에 의해 패널과 레일(7)을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다음, 새도우마스크(8)를 사방으로 인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7)의 후면에 형성된 제 1 용접면(7b)상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부착하고, 용접된 부위의 바깥으로 나온 새도우마스크(8)의 자투리 부분을 절단하며, 상기 제 2 용접면(7c)에는 인너쉴드(9) 및 댐핑와이어(10)를 용접에 의해 부착한다.
이러한 결합공정중에 패널(1)과 새도우마스크(8)간의 거리가 일정치 않으면 형광체(1a)의 정위치에 전자빔(4)이 정확하게 랜딩되지 않아 브라운관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패널(1)과 새도우마스크(8)간의 사이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내면에 레일(7)을 실링한 후 레일의 새도우마스크(8) 부착면인 제 1 용접면(7b)이 일률적인 높이를 가지도록 그라인딩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패널내면과 레일(7)의 제 1 용접면(7b) 사이의 높이공차가 40㎛이내에 들도록 고정밀도의 그라인딩을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평면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중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패널(1)과 레일(7)을 분리하기가 어려워 이들 부품을 재사용할 수 없는 경제적인 손실이 있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패널(1)과 레일(7)의 실링부분에 질산 등을 이용하여 냉각 및 가열을 반복하는 방법에 의해 패널과 레일이 분리되도록 하였는데, 이 방법의 경우 패널(1)의 레일(7)과의 부착부위가 손상되어 사실상 재사용율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패널(1)과 레일(7)은 분리하지 않고 레일(7)의 제 1 용접면(7b)에 용접되어 있던 새도우마스크(8)를 떼어내고, 용접에 의해 형성된 너겟(nugget)을 그라인딩하여 평평하게 형성한 후 재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레일(7)을 그라인딩 할 때 제 1 용접면(7b)이 깍이게 되어 그라인딩 작업한 부분과 그라인딩 하지 않은 부분과의 격차가 발생하여 이 역시 재사용율이 그리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7)을 그라인딩하는 과정에서 레일의 그라인딩 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용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조차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부품 재생율의 저하로 파기되는 부품수가 증가하여 생산수익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패널을 포함한 레일의 재사용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전면(前面)이 고정되고 후면에는 새도우마스크가 고정되는 레일을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 면을 확장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 자리를 피해서 새로운 새도우마스크를 수차례 더 용접할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레일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레일과 새도우마스크의 결합상태도
도 4a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레일에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레일에 새로운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 제 2 실시예의 레일에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 제 2 실시예의 레일에 새로운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레일 7d : 제 1 용접면
7e : 홈 8 : 새도우마스크
b : 제 1 용접면의 폭 B1: 레일 뒷면의 폭
B2 : 레일 전체 폭
도 4a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레일에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레일에 새로운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 제 2 실시예의 레일에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제 2 실시예의 레일에 새로운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레일(7)의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되는 면(이하 “제 1 용접면”이라 함)(7b)을 확장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8)가 용접되는 자리를 피해서 새로운 새도우마스크를 수회이상 더 용접할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 1 용접면(7b)의 폭(b)은 제 1 용접면과 제 2 용접면(7c)를 합한 폭, 즉 레일 뒷면폭(B1)의 약 85%이상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레일 전체폭(B2)의 약 45% 이상이 되도록 하므로써, 새도우마스크(8)를 제 1 용접면(7b)상에 여러번 용접할 수 있는 면적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제 1 용접면(7d)의 정중앙을 따라 홈(7e)을 형성하여, 상기 홈(7e)을 기준으로 제 1 용접면(7d)을 두 부분으로 구획함에 따라 제 1 용접면에 새도우마스크(8)를 각각 용접할 때 용접자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레일(7)에 새도우마스크(8)를 여러번 용접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레일(7)의 제 1 용접면(7b)이 단순히 확장된 형태에서는 제품의 불량으로 인해 다른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할 것을 대비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할 때 제 1 용접면(7b)을 임의로 분할하여 분할한 면중 가장 안쪽에 위치한 용접면에 먼저 용접한다.
한편, 조립공정 과정에서 불량으로 인해 브라운관을 재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단 레일(7)에 용접된 새도우마스크(8)를 레일로부터 제거하고, 용접으로 인해 남아있는 너겟을 그라인딩 작업에 의해 깍아내게 되면 너겟은 제거되나 그 부분은 표준폭보다 낮아지게 된다.
하지만, 제 1 용접면(7b)중 새도우마스크(8)가 부착되지 않았던 바깥쪽 용접면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 부위에 새로운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하게 되면 패널(1)과 함께 레일(7)의 간격을 표준치수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레일(7)의 제 1 용접면(7d) 중앙을 따라 홈(7d)이 형성된 형태에서는 홈(7e)에 의해 구획된 제 1 용접면(7d)중 안쪽 자리에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하고, 재활용에 따른 다른 새로운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할때는 홈(7e)에 의해 구획된 제 1 용접면(7d)중 바깥쪽 자리에 용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용접면(7d)이 홈(7e)에 의해 구획된 경우에는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할 때 홈(7e)에 의해 분할된 면에 각각 새도우마스크(8)를 용접하므로 용접시 용접자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제 1 용접면(7b)의 경우, 별도로 용접위치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임의로 용접위치를 설정하여 용접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되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제 1 용접면(7d)의 경우에는 제 1 용접면을 구획하는 홈(7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새도우마스크(8)의 용접면을 나눌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용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레일의 새도우마스크 용접면을 확장하여 새도우마스크를 용접면에 수차례 더 용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재활용율을 높여 생산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전면(前面)이 고정되고 후면에는 새도우마스크 가 고정되는 레일을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 면을 확장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 자리를 피해서 새로운 새도우마스크를 수차례 더 용접할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의 용접면상에 홈을 형성하여, 최초 새도우마스크의 용접자리와 새로운 새도우마스크의 용접자리가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홈에 의해 구분된 각 용접자리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 후면 폭에 대한 새도우마스크 용접면의 폭을 85%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전체 폭에 대한 새도우마스크 용접면 폭을 45%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
KR2019980022503U 1998-11-18 1998-11-18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KR200331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03U KR200331868Y1 (ko) 1998-11-18 1998-11-18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03U KR200331868Y1 (ko) 1998-11-18 1998-11-18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85U KR20000010285U (ko) 2000-06-15
KR200331868Y1 true KR200331868Y1 (ko) 2004-01-24

Family

ID=4941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503U KR200331868Y1 (ko) 1998-11-18 1998-11-18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85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1868Y1 (ko)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US4564785A (en) Envelope structure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489608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361812B1 (ko)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와 레일의 용접방법
KR20030009750A (ko) 평면 브라운관
KR100262630B1 (ko) 평면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고정장치
KR20030013891A (ko) 평면 브라운관
US4524298A (en) Color cathode ray tube incorporating improved thermal compensation type aperture mask supporting means
KR20000002155A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레일구조
KR100739059B1 (ko) 음극선관용 스템
KR1002054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0172900B1 (ko) 평면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US6885140B2 (en) Color picture tube
KR100213776B1 (ko) 평면브라운관의 레일, 인너쉴드 결합구조
KR10022497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037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69975B1 (ko) 평면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의 고정 방법
KR20000039733A (ko) 평면 브라운관용 패널과 레일 결합장치
KR10050586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JP2002298749A (ja) 陰極線管(crt)のテンションフォーカスマスク
US20030006689A1 (en) Electron gun,cathode ray tub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 gun
JPH0290442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H06208833A (ja) 陰極線管
KR20050028284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0067293A (ko)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