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891A - 평면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평면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891A
KR20030013891A KR1020010048137A KR20010048137A KR20030013891A KR 20030013891 A KR20030013891 A KR 20030013891A KR 1020010048137 A KR1020010048137 A KR 1020010048137A KR 20010048137 A KR20010048137 A KR 20010048137A KR 20030013891 A KR20030013891 A KR 2003001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ner shield
wire
groove form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1004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891A/ko
Publication of KR200300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4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이너쉴드를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종래의 용접방식 대신에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브라운관 불량구 재생시의 레일과 이너쉴드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평면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새도우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되어 차폐역할을 하는 이너쉴드를 포함하는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너쉴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이너쉴드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새로운 이너쉴드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재생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너쉴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외형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평면 브라운관 { The Flat Type C-CRT }
본 발명은 평면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이너쉴드를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종래의 용접방식 대신에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브라운관 불량구 재생시의 레일과 이너쉴드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평면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면 브라운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R, G, B의 형광막(1)이 도포되어 있고, 전면부에는 방폭유리(2)가 고정되어 있는 패널(3)이 있고, 상기 패널의 후단에는 펀넬(4)이 프릿글라스로 융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광막은 상기 펀넬의 네크부(5)에 삽입된 전자총(7)에서 방출되는 전자빔(6)에 의해 색을 발광하게 된다. 상기 패널의 내측에는 새도우마스크(8)와 이너쉴드(10)를 지지할 수 있는 레일(9)이 프릿글라스에 의해 융착된다. 상기 새도우마스크(8)는 내면에 전자빔이 통과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패널 내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상기 새도우마스크는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에 의해 열팽창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새도우마스크가 변형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열팽창에 의한 새도우마스크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새도우마스크를 인장하여 레일에 용접한다. 또한 음극선관이 외부 지자기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하는 자계쉴드(10)를 상기 레일에 용접하고, 상기 패널의 측면부 둘레에 보강밴드(11)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을 방지한다.
종래의 평면 브라운관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릿글라스로 패널(3)에 레일(9)을 융착하고, 새도우마스크(8)와 패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이 새도우마스크와 접하는 레일의 상면을 연삭한다. 상기 레일이 융착된 패널 내면에 형광막(1)을 도포한 후, 새도우마스크를 인장하여 레일에 용접하고, 이너쉴드(10)도 용접을 통해 레일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패널과 펀넬(4)을 프릿글라스로 융착하고 전자총(7) 삽입공정을 거친 후, 브라운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배기공정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방폭특성 확보를 위해 패널의 전면부에 방폭유리(2)를 부착한 후 패널의 측면부 둘레에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보강밴드(11)를 체결하면 브라운관이 완성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이너쉴드 고정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은 단면의 형상이 "L"자 형상이고, 프릿글라스에 의해 패널(3)에 융착되는 하단부와, 새도우마스크가 용접되는 상단부와, 이너쉴드가 용접되는 이너쉴드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너쉴드 고정부는 패널에 수평인 수평면과, 패널에 수직인 수직면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너쉴드를 레일에 안착시킨 후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 수평면을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레일의 장변부는 12군데, 단변부는 8군데를 용접하고 각 용접점에는 용접너겟(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용접너겟의 지름은 0.8㎜이고, 최대 응력은 1286㎩이다.
브라운관 제조공정 중 불량이 발생하면 패널과 펀넬을 분리하여 재생하게 되는데, 패널 재생시 레일에 용접된 이너쉴드는 수작업을 통해 분리한다. 그런데 이너쉴드를 레일에서 분리한 후에도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용접너겟이 남아있을 뿐 아니라 분리 과정에서 이너쉴드의 형상도 변형된다.
또한 이너쉴드를 레일에서 분리한 후 새도우마스크의 형광면 재(再)도포를 위해 상기 새도우마스크를 레일에서 분리하는데, 이것은 회전공구인 밀 커터를 이용하여 레일 상단부의 높이를 20㎛ 정도 깎아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새도우마스크 분리는 회전공구를 이용하므로 분리 후 레일상단부의 평탄도가 40㎛정도로 새로운 새도우마스크의 용접이 가능하지만, 이너쉴드는 수작업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평탄도가 200㎛ 이상이 된다. 이때 용접너겟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공구를 사용하여 가공 깊이를 300㎛정도로 가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가공시간이 길어서 공정 수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일에 이너쉴드를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종래의 용접방식 대신에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브라운관 불량구 재생시의 레일과 이너쉴드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평면 브라운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평면 브라운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이너쉴드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이너쉴드 고정방식 및 용접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너쉴드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이너쉴드 고정방식의 각 수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형광막 2 : 방폭유리 3 : 패널 4 : 펀넬
8 : 새도우마스크 9 : 레일 10 : 이너쉴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연결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패널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색 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패널 내면에 부착되어 새도우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되어 차폐역할을 하는 이너쉴드를 포함하는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너쉴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이너쉴드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너쉴드 고정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9)에 이너쉴드(10)를 고정함에 있어서 종래의 용접방식 대신에 와이어(14)를 사용한다. 즉, 상기 레일은 장방형이며,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는 스크린에 평행인 면과 수직인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인데,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이너쉴드를 개재하여 와이어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이너쉴드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방식은, 브라운관 제조공정 중 불량구 재생을 위해 이너쉴드를 분리할 때 장력을 이용하여 와이어만 분리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용접너겟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된 이너쉴드는 종래의 용접후 분리된 이너쉴드와 같은 용접너겟의 흔적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새로운 이너쉴드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재생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너쉴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외형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와이어에 대응하는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홈을 형성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홈에 대응하는 이너쉴드를 레일의 홈 방향으로 돌출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일에 홈을 형성하거나 이너쉴드를 돌출시킴으로써 와이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여 레일에 대한 이너쉴드의 접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레일의 홈에 대응하는 이너쉴드 장변부 및 단변부 전체를 돌출시킨 것이고, 도 7은 레일의 홈에 대응하는 이너쉴드 장변부 및 단변부의 일부를 돌출시킨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너쉴드 고정방법에 관한 수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 수치들은 하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레일의 하단부에서 이너쉴드 고정부 평행면까지의 높이(L_H2)
L_H1×0.3 ≤ L_H2 ≤ L_H1×0.7
-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H_W)
(L_H1-L_H2)×0.1 ≤ H_W ≤ (L_H1-L_H2)×0.9
- 레일에 형성된 홈의 깊이(H_H) : 0 ≤ H_H ≤ H_W×2.0
- 이너쉴드 돌출부의 폭(B_W) : B_W = H_W ± W_D
- 이너쉴드 돌출부의 깊이(B_H) : B_H = H_H ± W_D
- 와이어의 직경(W_D) : W_D = H_W ± H_H
상기 식에서 L_H1은 레일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레일의 하단부에서 이너쉴드 고정부 평행면까지의 높이 L_H2는 레일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 L_H1의 30~70%가 되는데, 이것이 70% 이상이 되면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 수직면의 길이가 짧아져서 와이어를 체결하는 공정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이너쉴드에 와이어를 체결할 때 와이어에 가하는 인장도는 레일의 강도를 고려하여 0.1~0.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이너쉴드를 와이어로 고정함으로써 브라운관 제조공정 중 불량구 재생을 위해 이너쉴드를 분리할 때 장력을 이용하여 와이어만 분리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용접너겟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된 이너쉴드는 종래의 용접후 분리된 이너쉴드와 같은 용접너겟의 흔적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새로운 이너쉴드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재생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너쉴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외형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0)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연결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패널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색 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패널 내면에 부착되어 새도우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되어 차폐역할을 하는 이너쉴드를 포함하는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너쉴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이너쉴드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를 L_H1이고 레일의 하단부에서 이너쉴드 고정부 평행면까지의 높이가 L_H2일 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L_H1×0.3 ≤ L_H2 ≤ L_H1×0.7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는 레일의 이너쉴드 고정부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를 L_H1이고, 레일의 하단부에서 이너쉴드 고정부 평행면까지의 높이가 L_H2이고,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이 H_W일 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L_H1-L_H2)×0.1 ≤ H_W ≤ (L_H1-L_H2)×0.9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이 H_W이고 레일에 형성된 홈의 깊이가 H_H일 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0 ≤ H_H ≤ H_W×2.0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이 H_W이고, 레일에 형성된 홈의 깊이가 H_H이고, 와이어의 직경이 W_D일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W_D = H_W ± H_H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홈에 대응하는 이너쉴드를 레일의 홈 방향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이 H_W이고, 레일에 형성된 홈의 깊이가 H_H이고, 이너쉴드 돌출부의 폭이 B_W일 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B_W = H_W ± W_D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의 폭이 H_W이고, 레일에 형성된 홈의 깊이가 H_H이고, 이너쉴드 돌출부의 깊이가 B_H일 때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B_H = H_H ± W_D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홈에 대응하는 이너쉴드를 레일의 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
KR1020010048137A 2001-08-10 2001-08-10 평면 브라운관 KR20030013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37A KR20030013891A (ko) 2001-08-10 2001-08-10 평면 브라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37A KR20030013891A (ko) 2001-08-10 2001-08-10 평면 브라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91A true KR20030013891A (ko) 2003-02-15

Family

ID=2771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37A KR20030013891A (ko) 2001-08-10 2001-08-10 평면 브라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89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53U (ja) * 1983-09-21 1985-04-17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JPH06103913A (ja) * 1992-08-05 199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付構造
JPH0935655A (ja) * 1995-07-25 1997-02-07 Hitachi Ltd ブラウン管
JPH11312475A (ja) * 1998-04-27 1999-11-09 Sony Corp 陰極線管
JPH11329274A (ja) * 1998-05-13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り付け構造
KR200189278Y1 (ko) * 2000-02-24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53U (ja) * 1983-09-21 1985-04-17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JPH06103913A (ja) * 1992-08-05 199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付構造
JPH0935655A (ja) * 1995-07-25 1997-02-07 Hitachi Ltd ブラウン管
JPH11312475A (ja) * 1998-04-27 1999-11-09 Sony Corp 陰極線管
JPH11329274A (ja) * 1998-05-13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り付け構造
KR200189278Y1 (ko) * 2000-02-24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음극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3891A (ko) 평면 브라운관
KR20030009750A (ko) 평면 브라운관
KR200331868Y1 (ko) 평면 브라운관의 레일구조_
JP3275071B2 (ja) 磁気遮蔽装置を備えた平面カラー陰極線管
KR200150024Y1 (ko) 음극선관용 러그
KR100319323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US6603251B1 (en)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369975B1 (ko) 평면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의 고정 방법
KR100392845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0091727A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저감구조
KR100705817B1 (ko) 평면 음극선관의 하울링 저감장치
US6280275B1 (en) Method of welding shadowmask in flat cathode ray tube
KR200189278Y1 (ko) 음극선관
KR20020018250A (ko)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고정장치
KR100505862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KR10044765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426567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제조방법
KR20030072732A (ko) 평면브라운관용 마스크
KR100414484B1 (ko) 평면 브라운관의 프레임 구조
US20010015611A1 (en) Electrode of electron gun for CRT
KR20030071123A (ko) 평면브라운관의 레일구조
US20040189180A1 (en) Color selection electrode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US20040201343A1 (en) Colour picture tube with improved shielding
KR20040069370A (ko) 평면 음극선관
KR20000015624U (ko) 평면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