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50Y1 - 도자기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도자기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50Y1
KR200331850Y1 KR20-2003-0025634U KR20030025634U KR200331850Y1 KR 200331850 Y1 KR200331850 Y1 KR 200331850Y1 KR 20030025634 U KR20030025634 U KR 20030025634U KR 200331850 Y1 KR200331850 Y1 KR 200331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porcelain
weight
fragrance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지
Original Assignee
황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지 filed Critical 황희지
Priority to KR20-2003-0025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심미감과 가습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아로마향을 분출되는 수증기와 혼합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자기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중앙이 함몰된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도자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서 상기 도자기의 함몰된 중앙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무게추에 수용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구성된 진동자;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캡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체;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자기형 가습기{Ceramic type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심미감과 가습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아로마향을 분출되는 수증기와 혼합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자기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에 적당한 습도(60% 정도)를 유지시켜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주로 병원이나 건조한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가습기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구조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종류로는 원심분무식(遠心噴霧式: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한다)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전열식(電熱式) 가습기, 필터기화식 가습기 등이 있다.
상기한 가습기 중에서도 최근에는 전열식 가습기가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전열식 가습기는 물을 전열에 의해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전기소모가 큰 단점이 있어 주로 겨울철 이외에는 잘 사용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전력으로 가습이 가능한 가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이같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내에 배치되는 도자기에 가습장치를 구성하여 심미감의 제공과 진동자 내구성의 확보, 그리고 가습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안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3-1241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에서는 수중모터(2)가 내설된 수장부(4) 상부에 원판(6)을 안치하고 지지구(8)에 진동자(10)와 연결관(12)을 내설하되 연결관(12)을 수중모터(2)의 연결관(12)과 결합하고 지지구(8)를 원판(6)의 통공(14)상부에 안치한 가습 분수 도자기에 있어서, 수중모터(2)의 상부 연결관(12)에 물감지스위치(16)를 설치하고, 전자장치부(18)에 타이머(20)를 설치하여 물감지스위치(16)와 타이머(2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22)가 전원장치부(24)의 전원을 제어하고 전원장치부(24)의 전원을 변압기(26)를 거쳐 시간지연부(28)에서 지연을 한다음 발진부(30)를 통하여 진동자(10)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자기형 가습기는 진동자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가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형상은 단순한 도자기의 형태만이 보여지게 됨에 따라, 가습기의 기능이외에 사용자에게 특별히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다양한 변화와 볼거리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최근 소비자들은 실내 인테리어에 잘 부합되는 조용하면서도 세련되며 은은한 조명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가습기를 요구하고 있어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자기 자체 형상만으로는 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쉽게 식상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도자기형 가습기를 실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야간에는 어둠에 그 외형이 가려져 식별이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단순한 가습기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자기의 심미감과 가습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아로마향을 분출되는수증기와 혼합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자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며 내구성을 증대시킨 도자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도자기형 가습 분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에서 향료주입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의 작용상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도자기, 52: 통공, 54: 받침대, 60: 지지프레임, 62: 무게추, 64: 지지대, 65: 원형띠, 70: 진동자, 72: 발광소자, 74: 연결선, 75: 패킹, 80: 커버체, 90: 향료주입기, 92: 외부케이스, 92a: 노즐, 94: 내부케이스, 94a: 토출구, 96: 작동타이머, 96a: 연결공.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 중앙이 함몰된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도자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서 상기 도자기의 함몰된 중앙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무게추에 수용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구성된 진동자;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캡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체;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자기 일측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정시간마다 아로마향료를 유출시켜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와 함께 발산되도록 향료주입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료주입기는 도자기의 외주연에 걸림될 수 있도록 일면에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노즐이 연통설치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일측에 수용되며 내부에 아로마향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노즐과 동일선상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부가 외부케이스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그 하측에 연결공이형성되어 시간에 따라 축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노즐과 내부케이스의 토출구를 연통시켜 아로마향료를 유출시키도록 작동타이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에서 향료주입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자기(50)는 상부 중앙이 함몰된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물이 수용되고, 외주면 상측에 통공(52)이 천공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받침대(54)가 형성된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54)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형테두리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도자기의 함몰부에는 지지프레임(60)과, 진동자(70)와, 커버체(80)와 향료주입기(9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은 도자기(50)의 함몰된 바닥면에 안착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서,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금속재로 이루어진 무게추(62)와 상기 무게추(62)의 일측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64)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추(62)와 지지대(64)는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64)는 상측에 원형으로 감겨져 원형띠(65)를 형성하고 하측은 무게추(6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무게추에(62)는 진동자(70)가 끼워지면서 설치된다. 상기 진동자(70)는 방수기능을 갖도록 수밀성을 보장한 채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72)가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발광소자(72)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생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색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74)은 도자기의 통공(5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연결선(74)이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통공(52)과 연결선 사이를 통해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75)이 끼워져 수밀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대(64) 상측에는 심미감을 고려하여 캡 형상을 갖는 커버체(8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체(80)는 도자기(5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자기(50) 상면을 일정부위 가리우는 형태로 설치되어 비교적 투박한 진동자(70)와 무게추(62)의 외형으로 인한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자기(50)의 외주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마다 아로마향료를 물에 유출시켜 진동자(70)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와 함께 발산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연출할 수 있도록 향료주입기(9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향료주입기(90)는 외부케이스(92)와 내부케이스(94)와 작동타이머(96)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92)는 도자기(50)의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면에 고정클립(92b)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노즐(92a)이 공간부와 연통되게 외부로 돌설된다.
상기 외부케이스(92)의 내부에는 아로마향료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내부케이스(94)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케이스(94)는 일측에 노즐(92a)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일측에 토출구(9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92a)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의 노즐(92a)과 내부케이스의 토출구(94a) 사이에는 작동타이머(96)가 설치되어 시간에 따라 아로마향료를 유출시켜 향기를 발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타이머(96)의 상부는 시간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부케이스(92)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M)의 하측에는 모터(M)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몸체에는 연결공(96a)이 관통 형성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노즐(92a)과 내부케이스의 토출구(94a)가 연통되는 위치에서 아로마향료를 내부케이스의 토출구(94a)를 통해 연결공(96a)과 노즐(92a)을 통과하여 도자기(50) 상면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자기(50) 상면에 물을 충진한 상태에서 진동자의 연결선(74)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70)는 수증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수증기는 진동자(70)의 작동과 함께 발광하는 발광소자(72)의 빛에 의해 조명효과를 갖으면서 안개와 같이 서서히 분산되면서 실내를 가습하게 되어 분위기 있는 실내 인테리어 공간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자기(50)에 설치된 향료주입기(90)에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에 따라 아로마향료를 유출시켜 진동자(70)에 의해 물과 혼합되면서 수증기와 함께 향료를 발산시키게 됨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의 심미감과 가습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아로마향을 분출되는 수증기와 혼합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습에 필요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형 가습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3)

  1. 상부 중앙이 함몰된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에 받침대가 형성된 도자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서 상기 도자기의 함몰된 중앙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무게추에 수용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구성된 진동자;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캡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형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일측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정시간마다 아로마향료를 유출시켜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와 함께 발산되도록 향료주입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형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주입기는 도자기의 외주연에 걸림될 수 있도록 일면에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노즐이 연통설치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일측에 수용되며 내부에 아로마향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노즐과 동일선상으로 토출구가 형성된내부케이스와, 상부가 외부케이스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그 하측에 연결공이 형성되어 시간에 따라 축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노즐과 내부케이스의 토출구를 연통시켜 아로마향료를 유출시키도록 작동타이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형 가습기.
KR20-2003-0025634U 2003-08-08 2003-08-08 도자기형 가습기 KR200331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34U KR200331850Y1 (ko) 2003-08-08 2003-08-08 도자기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34U KR200331850Y1 (ko) 2003-08-08 2003-08-08 도자기형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850Y1 true KR200331850Y1 (ko) 2003-10-30

Family

ID=4941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34U KR200331850Y1 (ko) 2003-08-08 2003-08-08 도자기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908B2 (en) Humidifier
CN202101355U (zh) 消毒加湿器
JP3527581B2 (ja) 芳香噴出装置
JP2002168486A (ja) 噴水を活用したユニットタイプの室内雰囲気快適化装置
CN102499877A (zh) 一种离子蒸汽美容器及其控制方式
KR100634998B1 (ko) 미용 미스트 생성기
JP2005296540A5 (ko)
CN208097025U (zh) 一种香薰机
CN108939120A (zh) 一种新型香薰机
KR200331850Y1 (ko) 도자기형 가습기
CN211011763U (zh) 一种分离式储料的香薰加湿器
CN107583092A (zh) 一种空气净化感应装置
CN202355570U (zh) 一种离子蒸汽美容器
JP2004017038A (ja) 卓上型噴水装置
JP2008279419A (ja) 噴水装置
KR200227425Y1 (ko) 수경재배와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어항
KR102040262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일체형 무드등
TWM544327U (zh) 具室內裝飾及空氣淨化感應裝置
CN214370800U (zh) 一种香薰机
KR200164576Y1 (ko) 조명을 겸한 원적외선 가습장치
CN206300305U (zh) 一种加湿器
KR200270378Y1 (ko) 아로마향료가 수용되는 휴대용 악세서리
JP2587753Y2 (ja) 加湿装置
CN217817191U (zh) 一种具有加湿补水功能的暖风器
CN217082806U (zh) 长效精油供应香熏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