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385Y1 - 발코니용 창틀 - Google Patents

발코니용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385Y1
KR200331385Y1 KR20-2003-0019232U KR20030019232U KR200331385Y1 KR 200331385 Y1 KR200331385 Y1 KR 200331385Y1 KR 20030019232 U KR20030019232 U KR 20030019232U KR 200331385 Y1 KR200331385 Y1 KR 200331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window
building
window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식
Original Assignee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9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방충창 및 창문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레일 및 물막이턱을 서로 이격시켜 본체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하되, 레일의 측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도록 배수구를 관통형성하고, 물막이턱과 복수개의 레일은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상부면에 고이는 빗물이 배수구로 배수됨과 동시에 레일의 상부로 오버플로우 되면서 건물의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에 고이는 빗물이 배수구와 레일의 상부를 통해 배수되므로 폭우시에도 이 빗물이 레일의 상부를 통하여 건물 내측으로 역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코니용 창틀{WINDOW FRAME FOR BALCONY}
본 고안은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부의 빗물이 창틀의 외측 레일에서 내측 레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코니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켄틸레버 구조로 돌출형성된 발코니에는 채광 및 조망을 위한 대형의 미닫이식 창문이 설치되며, 창문의 외측에는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충망을 갖는 방충창이 설치된다.
이러한 창문과 방충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창틀(10)에 설치되며, 도시된 도 1은 일반적인 발코니용 창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코니용 창틀(10)은 건물의 외측으로부터 서로 이격 형성된 제1 내지 제5레일(1~5)로 이루어지며, 제1레일(1)에는 방충창(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내지 제5레일(2~5)에는 외부 및 내부창문(9, 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레일(1~5)의 측면에는 우천시 창틀(10)에 고인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7)가 형성되고, 제5레일(5)의 내측에는 창틀(10)에 고인 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이턱(6)이 제5레일(5)과 이격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창틀(10)은 PVC를 소재로하여 압출성형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5레일(1~5) 및 물막이턱(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를 이룰 뿐만 아니라 단색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발코니용 창틀(10)은 폭우시 창틀(10)에 형성된 이격공간(S)에 많은 양의 빗물이 고이게 되며, 이 이격공간(S)에 고인 물은 제1 내지 제5레일(1~5) 및 물막이턱(6)의 높이(h)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내지 제5레일(1~5) 및 물막이턱(6)의 상부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실내로 역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격공간(S)에 고인 빗물은 제1 내지 제5레일(1~5)의 측면을 따라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배수구(7)로 배수되기도 하나, 배수구(7)가 대략 10π×25mm의크기로 약 1m 당 1개씩 마련됨에 따라, 폭우시 많은 양의 빗물이 배수구(7)로 모두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만 배수되며, 배수되지 못한 더 많은 양의 나머지 빗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실내로 역류된다.
즉, 배수구(7)의 크기 및 수량이 폭우시 강우량 보다 부족하므로 빗물은 배수구(7)로 모두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가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된다.
물론, 배수량의 증가를 위하여 제1 내지 제5레일(1~5)의 측면에 배수구(7)의 수량을 늘릴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배수구(7)로 인하여 제1 내지 제5레일(1~5)의 지지력 저하를 초래하여 내·외부창문(9', 9)의 하중에 의하여 제1 내지 제5레일(1~5)이 좌굴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폭우로 인하여 창틀의 레일 사이에 많은 양의 빗물이 고여서 레일의 상부로 오버플로우 되어도 실내로 역류되지 않고 오히려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며,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의 갯수를 줄여도 빗물이 역류되지 않고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는 발코니용 창틀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발코니용 창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용 창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창틀 50a : 본체
51~55 : 레일 56 : 물막이턱
57 : 배수구 58 : 삽입돌기
59 : 트러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용 창틀은, 방충창(8)과 내·외측창문(9', 9)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레일(51~55) 및 물막이턱(56)이 본체(50a)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레일(51~55)의 측면 및 내부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관통된 배수구(57) 및 중공이 형성되며, 아파트나 빌딩등의 건물에 돌출 형성된 발코니의 슬래브(60)에 고정설치되는 창틀(50)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턱(56)과 상기 레일(51~56)의 높이(H4, H3,H2, H1)를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형성하되, 물막이턱(56)과, 상기 내측창문(9')이 끼워지는 레일(54, 55)과, 상기 외측창문(9)이 끼워지는 레일(52, 53) 및 상기 방충창(8)이 끼워지는 레일(51)이 순차적으로 그 높이(H4, H3,H2, H1)가 낮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50a)의 상부면에 고이는 빗물이 오버플로우 되어도, 높이(H4, H3,H2, H1)차에 의하여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고, 건물의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용 창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용 창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용 창틀(50)은 본체(50a)의 상부에 제1 내지 제5레일(51~55) 및 물막이턱(56)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고, 본체(50a)의 하부에는 발코니의 슬래브(60)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58)가 형성되며, 제1레일(51) 및 제2 내지 제5레일(52~55)에는 해충유입 방지용 방충창(8) 및 내·외부창문(9', 9)이 설치된다.
이때, 제1 내지 제5레일(51~55) 및 물막이턱(56)은 서로 다른 높이(H1, H2, H3, H4)로 형성되어 단차를 갖되,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H1, H2, H3, H4)가 낮아지는 경사진 단차를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측에 위치한 물막이턱(56)이 가장 높은 높이(H4)로 형성되고, 건물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1레일(51)이 가장 낮은 높이(H1)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및 제5레일(54, 55)은 서로 한쌍을 이루면서 물막이턱(56) 보다 낮은 높이(H3)로 형성되고, 제2 및 제3레일(52, 53) 역시 서로 한쌍을 이루면서 제4 및 제5레일(54, 55) 보다는 낮고 제1레일(51) 보다는 높은 높이(H2)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4 및 제5레일(54, 55)은 두개의 레일이 동일한 높이(H3)로 이루어져 서로 한 쌍을 이루며, 제2 및 제3레일(52, 53) 역시 두개의 레일이 동일한 높일(H2)로 이루어져 서로 한 쌍을 이룬다.
여기서, 제4 및 제5레일(54, 55)과 제2 및 제3레일(52, 53)이 한쌍씩 서로 동일한 높이(H3, H2)로 형성된 이유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한쌍이 한조를 이루는 내측 및 외측창문(9', 9)의 하단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하여 제4 및 제5레일(54, 55)과 제2 및 제3레일(52, 53)에는 내측 및 외측창문(9', 9)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지 제5레일(52~55)은 재료비 절감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이 중공에는 제2 내지 제5레일(52~55)에 내· 외측창문(9', 9)이 설치될 경우 그 하중이 제2 내지 제5레일(52~55)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된 형태의 트러스(59)가 형성되되, 제2 내지 제5레일(52~55)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트러스(59)는 3방향으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ㅅ'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내지 제5레일(52~55)의 중공, 즉 제2 내지 제5레일(52~55)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창틀(50)은 압출성형됨에 따라 제1 내지 제5레일(51~55) 및 물막이턱(56), 그리고 삽입돌기(58)는 본체(50a)와 동일체로 형성되며, 제1 내지 제5레일(51~55) 및 물막이턱(56)은 서로 이격형성됨에 따라 그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레일(51~55)의 측면에는 우천시 이격공간(S)에 고이는 빗물이 배수되도록 배수구(57)를 그 측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하되, 본 고안에 의한 창틀(50)은 이격공간(S)에 고인 빗물이 제1 내지 제5레일(51~55)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면서 배수되므로, 전술된 종래의 창틀에서 보다 그 갯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제4 및 제5레일(54, 55) 사이의 이격공간(S)에서부터 제5레일(55) 및 물막이턱(56) 사이의 이격공간(S)까지의 부분, 즉 건물의 실내와 인접한 물막이턱(56) 부분에는 공압출에 의한 코팅층(C)이 형성된다.
이때, 코팅층(C)은 창틀(50)의 외관미를 위하여 본체(50a)와는 별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되, 창틀(50)이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우드그레인(woodgrain)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며, 그 두께는 내측창문(9)의 슬라이딩에 방해되지 않도록 약 0.5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코팅층(C)은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됨에 따라 본체(50a)와 혼연일체를 이루게 되므로 0.5mm 이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본체(50a)와 완전한 합일체를 이룬다.
하지만, 코팅층(C)을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내지 제5레일(51~55) 및 본체(50a)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창틀(50)의 일정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50a)의 상부면 역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는 건물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하여야 한다.
즉, 물막이턱(56) 측은 높고 제1레일(51) 측은 낮게 형성하여, 경사가 건물의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용 창틀(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돌기(58)가 슬래브(6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슬래브(60)에 견고히 고정되며, 창틀(50)은 삽입돌기(58)의 하단부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로 인하여 슬래브(60)에 웨지(Wedge)고정된다.
이러한 삽입돌기(58)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삽입돌기(58)는 하단부의 외향플랜지에 의하여 단면이 "ㅗ"자형으로 형성되며, 슬래브(60)가 양생 및 경화되기 전에 그 내부에 삽입되므로, 슬래브(60)가 양생 및 경화되면 슬래브(60)와 일체를 이룬상태로 슬래브(60)에 고정된다.
이때, 삽입돌기(58)는 하단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로 인하여 슬래브(60)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슬래브(60)에 대한 부착강도가 강화될 뿐만 아니라, 창틀(50)이 슬래브(60)에 웨지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창틀(50)의 이격공간(S)에 우천으로 빗물이 고이면, 그 빗물은 본체(50a)의 경사에 의하여 제1 내지 제5레일(51~55)에 형성된 배수구(57)로 배수되지만, 폭우로 인하여 많은 양의 빗물이 고일 경우에는 배수구(57)로 일부의 빗물만 배수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빗물은 창틀(50)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된다.
그러면, 오버플로우된 빗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막이턱(56) 및 제5 내지 제1레일(55~51)을 지나 건물의 외측으로 배수되며, 오버플로우된 빗물은 물막이턱(56) 및 제5 내지 제1레일(55~51)의 높이(H1, H2, H3, H4)차로 인하여 건물 내부로 역류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레일(51, 52) 사이의 이격공간(S)에 고인물은 제2레일(52)의 높이(H2)가 제1레일(51)의 높이(H1) 보다 높으므로, 제2레일(52)의 상부로 역류하지 못하고 제1레일(51)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면서 건물 외측으로 배수된다.
물론, 제4 및 제5레일(54, 55) 사이의 이격공간(S)에 고인물 역시 오버플로우되어도 물막이턱(56)의 높이(H4)가 제4 및 제5레일(54, 55)의 높이(H3) 보다 높으므로 실내로 역류되지 못하고, 오히려 제2 및 제3레일(52, 53) 측으로 오버플로우되면서 배수된다.
그리고, 제2 및 제3레일(52, 53)의 이격공간(S)에 고인물은 다시 제2 및 제1레일(52, 51)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오버플로우되며, 이 물은 또다시 제1레일(51)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면서 건물의 외측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폭우로 인하여 많은 양의 빗물이 창틀(50)에 고이게 되어도 빗물은배수구(57)로 배수될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 되면서 건물의 외부로 모두 배수된다.
또한, 건물 외측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5레일(51~55)과 물막이턱(56)의 높이(H1, H2, H3, H4)가 실내측으로 점차 높게 형성되어, 이격공간(S)에 빗물이 고여도 그 빗물이 실내로 역류되지 않는다.
아울러, 많은 양의 빗물이 창틀(50)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면서 배수되므로, 제1 내지 제5레일(51~55)에 형성된 배수구(57)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발코니 창의 단열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외측창문(9', 9)가 제2 내지 제5레일(52~55)에 설치되어도 그 하중이 제2 내지 제5레일(52~55)의 내부에 형성된 트러스(59)에 의하여 골고루 분산되므로 제2 내지 제5레일(52~55)이 내·외측창문(9', 9)의 하중으로 좌굴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 및 형상,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용 창틀은, 복수개의 레일 및 물막이턱이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점차 낮게 형성되어, 레일이나 물막이턱 사이에 많은 양의 빗물이 고여서 오버플로우 되어도 빗물이 건물 외측으로 배수만될 뿐 실내로는 역류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많은 양의 빗물이 창틀의 상부로 배수되므로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실내 단열효과와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창틀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를 갖는 삽입돌기가 슬래브에 웨지고정되므로 창틀이 발코니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도 있으며, 창틀의 일부분에는 다른 부분과 다른 색상을 갖는 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 차별화된 고급 창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방충창(8)과 내·외측창문(9', 9)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레일(51~55) 및 물막이턱(56)이 본체(50a)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레일(51~55)의 측면 및 내부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관통된 배수구(57) 및 중공이 형성되며,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물에 돌출 형성된 발코니의 슬래브(60)에 고정설치되는 창틀(50)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턱(56)과 상기 레일(51~56)의 높이(H4, H3,H2, H1)를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형성하되, 물막이턱(56)과, 상기 내측창문(9')이 끼워지는 레일(54, 55)과, 상기 외측창문(9)이 끼워지는 레일(52, 53) 및 상기 방충창(8)이 끼워지는 레일(51)이 순차적으로 그 높이(H4, H3,H2, H1)가 낮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50a)의 상부면에 고이는 빗물이 오버플로우 되어도, 높이(H4, H3,H2, H1)차에 의하여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고, 건물의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창문(9', 9)이 끼워지는 레일(52~55)의 중공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된 형태의 트러스(59)를 레일(52~55)과 일체로 형성하여, 내·외측창문(9', 9)의 하중이 트러스(59)를 통하여 레일(52~55)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59)는 상기 내·외측창문(9', 9)의 하중이 상기 레일(52~55)의 상단에서 곧바로 분산되도록 상기 레일(52~55)의 내부 상단에 형성하되, 내·외측창문(9', 9)의 하중이 3방향에서 분산되도록 트러스(59)의 단면을 'ㅅ'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a)의 상부면은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여, 본체(50a)의 상부면에 고인 빗물이 상기 배수구(57)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일(51~55) 표면 및 상기 본체(50a)의 상부면에는 본체(50a)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코팅층(C)을 선택적으로 공압출하여, 본체(50a)와 합일체를 이루는 코팅층(C)에 의하여 본체(50a)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a)의 하부면에는 외향플랜지를 갖는 삽입돌기(58)를 복수개 형성하고, 이 삽입돌기(58)가 상기 슬래브(6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슬래브(60)에 본체(50a)가 견고하게 웨지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창틀.
KR20-2003-0019232U 2003-06-18 2003-06-18 발코니용 창틀 KR200331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32U KR200331385Y1 (ko) 2003-06-18 2003-06-18 발코니용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32U KR200331385Y1 (ko) 2003-06-18 2003-06-18 발코니용 창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326A Division KR100531683B1 (ko) 2003-06-18 2003-06-18 발코니용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385Y1 true KR200331385Y1 (ko) 2003-10-30

Family

ID=4933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232U KR200331385Y1 (ko) 2003-06-18 2003-06-18 발코니용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2988C (en) Water resistant window frame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US7647735B2 (en) Roofwindow having drainage system
JP2019526729A (ja) 水密最適化構造が適用された立面分割建具
KR100531683B1 (ko) 발코니용 창틀
KR200331385Y1 (ko) 발코니용 창틀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3964370B2 (ja) サッシ窓
JP3970233B2 (ja) サッシ窓
KR20040041899A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KR20100103273A (ko) 외동창형 창호프레임
KR200340252Y1 (ko) 창틀 외부커버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JP2640925B2 (ja) 出入口の下部構造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JPH09158630A (ja) 窓用サッシの下枠の排水機構
JPH0116877Y2 (ko)
JP3232395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の下枠構造
CN215632615U (zh) 一种门窗框型材的排水结构
CN209761178U (zh) 一种多功能无障碍门下框结构
KR200406608Y1 (ko) 문틀 섀시
KR101016428B1 (ko) 바닥 은폐형 계단식 안전창
JPH01168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