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42Y1 -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42Y1
KR200331242Y1 KR20-2003-0019346U KR20030019346U KR200331242Y1 KR 200331242 Y1 KR200331242 Y1 KR 200331242Y1 KR 20030019346 U KR20030019346 U KR 20030019346U KR 200331242 Y1 KR200331242 Y1 KR 200331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ceramic
plate
hai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엔씨
김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엔씨, 김기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엔씨
Priority to KR20-2003-0019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안가(安價)로 제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전기적인 발열 특성을 향상시킨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접(離接) 작동되는 몸체에 대면 설치한 금속 판체들에는 전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되게 한 박판상의 세라믹 발열체를 설치하고, 그 세라믹 발열체에는 그 발열체의 기 설정된 온도의 상하한치를 감지하여 전원 제어부 측으로 인가되게 하는 감지센서를 직접 접하게 설치하며, 또한 감지센서는 상기 금속판체에 고정 지지되게 한 탄성특성을 갖는 박판상의 고정편으로 항시 정확한 온도를 감지 할수 있 게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Heating Appartus for Flat Iron of Hair}
본 고안은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 처리에 필요한 열을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발열체의 재질과 아울러 그 발열체의 온도 감지 센서의 고정 구조를 개량한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용 플랫 아이롱(Flat Iron)은 주로 곱슬 머리를 직선 상태로 곳게 펼치는 등의 스트레이트 퍼머를 하는데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기존의 헤어 플랫 아이롱의 발열 장치의 가열판은 텅스텐 재질로 인해 제작상에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아울러 제조공정 자체가 복잡하여, 제조 가격이 고가로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 텅스텐 재질의 특성은 초기 전류 소비가 많게되는 폐단이 있다. 즉, 헤어 플랫 아이론에 사용되는 기존의 세라믹히터의 발열회로에 사용되는 재질은 텅스텐으로 고온에서 산화가 일어나므로 수소분위기의 전기로에서 소성하여야 한다.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성전의 세라믹 쉬트(green sheet)에 텅스텐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여기에 도선(導線)을 연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인쇄하지 않은 다른 세라믹 쉬트를 적층하여 1600℃ 이상의 고온에서 수소 분위기에서 소결한다.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로는 매우 고가이며 수소 분위기의 미세한 변화에도 히터의 저항 편차가 크다.또한 소결중에 금속 텅스텐과 알루미나의 수축률이 달라 판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발열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텅스텐표면이 산화되어 있고, 페이스트의 유리질성분이 표면에 용출되어 있어 직접 융착이 힘들다. 도선을 연결하려면 먼저 Ni 도금을 한 후에 Ni 선을 1100℃ 정도의 고온에서 텅스텐과 Ni이 산화하지 않도록 수소분위기에서 브레이징하여야 한다. 또한 히터전체를 평면금속판에 밀착하여야 열 전달이 빠르게 하기 위해 세라믹히터를 평면 연마하여야 한다. 세라믹은 충격에 깨지기 쉬워 연마중에 깨지거나 미세한 균열이 생기게 되고, 미세한 균열이 있으면 전기를 가하여 열을 내면 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우 고가의 장비와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므로 생산이 힘들고 가격이 고가로 된다. 또 텅스텐은 온도상승에 따른 저항변화가 매우 커서 빠른 온도상승을 요구하는 헤어 플랫 아이롱의 특성상 상온에서의 저항을 작게 가져가야 한다. 이는 초기 전원 공급시에 전류를 많이 흐르게하는 결점으로 된다.
또, 발열판 측으로의 전원 공급의 온/오프를 위해 그 발열판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된 기존의 감지센서는 그 위치 특성상 발열판에 대한 온도 감지가 정확하지 못한 결점이 있고, 이는 발열판에 대한 온도 제어를 정확히 실행되지 못하게 하는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하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간단한 작업 공정으로 안가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전기적인 발열 특성을 향상시킨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헤어용 플랫아이론의 히팅장치는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접(離接) 작동되게 한 몸체에 대면 설치한 금속 판체들을 구비하고, 그 금속판체 측으로는 전원 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이 인가되어 헤어 처리용 열을 발생하도록 된 헤어용 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에 각각 대면 설치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되며, 발열 회로를 사이에두고 일체로 접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접점홈이 형성된 박판상의 세라믹 발열체;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일측 면에 직접 접하게 위치되어 그 발열체의 기 설정된 온도의 상하한치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 측으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도 감지 신호를 입력하는 감지센서; 상기 금속판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발열체의 일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들을 상기 발열체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특성을 갖는 박판상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세라믹 발열체는 발열회로가 인쇄된 제1세라믹 판, 상기 제1세라믹 판에 절연물질을 개재하여 접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접점홈이 형성된 는 제2세라믹판을 포함하고, 접합된 제1,제2세라믹판들은 열 처리과정을 통해 일체화 되게한 후, 그 접점홈에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도선(導線)을 직접 용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발열체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방형을 이루게 형성한 박판상의 평판과 그 평판의 양단에서 경사를 이루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작용을하며 일 부분에는 절단홈들이 형성된 날개편와상기 날개편들의 절단홈들과의 인접위치된 상기 평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센서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히팅장치가 설치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절단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A"부분 만을 분리하여 그 이면을 보이게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3에서 "B"로 지시된 발열체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3에서 "C"로 지시된 감지센서의 고정편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6A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C는 동도(同圖)의 Ⅳ-Ⅳ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랫 아이롱 112a,112b : 몸체
114a,114b : 금속판체 200 : 히팅장치
210 : 세라믹발열체 240 : 감지센서
260 : 감지센서 고정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히팅장치가 설치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면 부호(100)은 헤어용 플랫 아이롱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힌지부(111)을 지지점으로 상호 접하거나 떨어지는 이접(離接)작동을 하게 한 대략 장방형 구조의 몸체들(112a,112b), 상기 몸체들(112a,112b)의 힌지부(111)와의 반대쪽 위치에 상호 대면하게 설치한 금속 판체들(114a,114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측으로는 전원 제어부(116)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로부터 헤어 처리를 위한 열을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의해 상기 힌지부(111)을 지지점으로 하여 몸체들(112a,112b)를 맞닿게 할시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에의해 협지되는 헤어에는 상기 금속판체들 (114a,114b)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소망하는 형태로 펼칠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제어부(116)의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부호(118)은 전원코드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고안에서 주요 특징은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에 열을 가하는 히팅장치(200)인데 이 히팅장치(2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에 설치된 히팅장치 (200)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보아 상부 금속판체 (114a)에 설치된 히팅장치(200)만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만을 분리하여 그 이면을 보이게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히팅장치(200)은 상부 금속판체(114a)와 하부 금속판체 (114b)(도1,2참조)에 각각 설치된 세라믹 발열체(210), 감지센서(240) 및 박판상의 고정편(2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은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도1,2참조)에 상호 대면되게 설치되어 전원 제어부(116)(도2참조)와 전기 회로를 이루게 연결됨에 의해, 그 전원제어부(116)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발열되는데,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발열 작용은 상기 금속판체들(114a,114b)를 가열 시키는 열원이 된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은 상기 금속판체(114a)에 형성된 끼움홈(117)의 내부로 끼움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유동됨이 없이 보다 견실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주위로는 전기 절연을 위해 얇은 절연막(201)로 감싸진 상태로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상세 구성은 도 5A 및 5B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도3에서 "B"로 지시된 발열체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세라믹(알루미나)발열체(210)은 발열 회로(213)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접합되고 일측에는 전원 제어부(116)(도2참조)와 연결하기 위한 접점홈(215)이 형성된 박판 구조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은 고온(약 850℃) 대기중에서 산화가 일어 나지 않는 은, 금,백금, 팔라듐의 단일성분 또는 이들의 복합 페이스트로 구성된 발열회로(213)가 인쇄된 제1세라믹판(212), 상기 제1세라믹판(212)에 절연 물질을 개재하여 접합되며 일단 양측에는 상기 접점홈(215)이 형성된 제2세라믹판(214)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접합된 상기 제1,제2세라믹판들(212,214)는 고온 소성 즉, 열 처리과정을 통해 일체화 되게한 후, 그 접점홈(215)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세라믹 판(212)에 인쇄된 발열회로(213)쪽으로는 전원 제어부(116)(도2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고온 대기중에서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은, 금과 같은 귀금속 도선(導線)(216)을 페이스트로 고온에서 소부함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체(210)의 발열회로(213)의 재질은 고온, 대기중에서는 산화되지 않으며, 또 세라믹기판들(212,214)은 기성품으로 인해 안가로 쉽게 구할수가 있다. 이때문에 고가의 제작 장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공정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온도상승에 따른 저항 증가는 텅스텐보다 작기 때문에 보다 빨리 열을 낼수 있으며 온도 상승이 일정한편이다. 동일한 온도를 동일한 시간에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발열체(210)의 상온 저항은 텅스텐을 발열회로로 하는 기존의 세라믹 히터보다 약1.5배 커도 충분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초기 전원공급시에 전류소모가 작게되고, 전기회로 구성상 여러가지 이점이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동일한 값의 상온 저항이면 온도상승이 훨씬 빠르다.
상기 감지센서(240)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일측 면에 직접 접하게 위치되어 그 세라믹 발열체(210)의 기 설정된 온도의 상하한치를 감지하여, 전원 제어부(116)측으로 상기 발열체(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도 감지 신호를 입력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 센서(240)을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표면에 직접 접하게 설치하는 이유는 정확한 온도 감지를 위해서인데, 상기 감지센서(240)의 고정에는 박판상의 고정편(260)이 사용 된다.
상기 박판상의 고정편(260)으로 감지센서(240)을 고정하는 이유는 상기 감지센서(240)에 미치는 절연내압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표면에 직접 접하게 고정하여, 상기 감지센서(240)으로 하여금 세라믹 발열체(210)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기위함이다. 상기 감지센서(240)을 고정하는 박판상의 고정편(26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도3에서 "C"로 지시된 감지센서의 고정편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6A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C는 동도(同圖)의 Ⅳ-Ⅳ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박판상의 고정편(260)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이 끼움고정되는 상기 금속판체(114a)에 같이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그 세라믹 발열체 (210)의 일면에 접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240)을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 특성을 발휘하는 작용을한다.
즉, 상기 박판상 고정편(260)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방형을 이루게 형성한 박판상의 평판(261)과 그 평판(261)의 양측 연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체(114a)의 끼움홈(117)에 탄성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작용을하며(도4참조), 일 부분에는 절단홈들(263a,263b)이 형성된 날개편들(262a,262b)와 상기 날개편들(262a,262b)의 절단홈들(263a,263b)과의 인접위치된 상기 평판(26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센서(240)을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26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홈(264)는 상기 감지센서(240)을 유동됨이 없게 수용하여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일면에 접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지지홈(264)에 지지된 상기 감지센서(240)의 위로는 절연물질(266)인 실리콘 등이 도포되어 상기 감지센서(240)의 리드선 즉 도선(216)과 고정편(260)과의 절연내압을 향상시키고 감지센서(240)의 유동을 없게하며, 또한 대량 생산시 발열체(210)으로부터의 열 전달을 편차 없이 전달하게 한다. 상기 지지홈(264)의 내부로 수용지지되는 상기 감지센서(240)의 비드(Bead)부분은 그 절반 정도만이 상기 지지 홈(264)에 의해 감싸지는 상태로 하여 도선(216)과의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홈들(263a,263b)는 상기 감지센서(240)측으로 고정편(261)과 날개( 262a, 262b)이 히터를 강하게 압착하는 힘이 그 감지센서(240)에 미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40)을 감싸고 있는 유리가 깨질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감지센서(240)에 미치는 압력을 줄이며, 또 전기가 공급되어 히터 가열로 인한 열팽창이 일어 날 때 생기는 압력이 상기 감지센서(240)에 적게 미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센서(240)을 고정하는 상기 지지홈(264)의 양측에 위치된 날개 폭은 상기 고정편(261)의 양측 날개들(261a, 261b)의 폭보다 작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감지센서(240)를 지지홈(264)에 끼워 넣을 때 지지홈(264)와 그 지지홈(264)측의 날개들이 위로 쉽게 젖혀져 상기 감지센서(240)에 미치는 압력을 크게 줄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홈들(263a,263b)는 상기 감지센서(240)측으로 도포되는 절연물질(266)의 압력이 상기 감지센서(240)에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게 하는 힘의 분산작용을 유도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240)의 위쪽인 평판(261)과 그리고 양 날개들(262a,262b)측으로 절연물질(266)이 도포될시 미치는 압력을 상기 절단홈들(263a,263b)는 그 절단홈들(263a, 263b)에 의해 구분된 고정편(260)의 선단 날개 부위를 양측으로 펼쳐지게 하는 힘의 분산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감지센서 (240)측으로 집중될 염려가 있게되는 압력을 분산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 센서(240)를 보호하면서 절연 내압을 갖게 하는 것은 발열체(210)의 순간 순간의 온도를 정확히 읽어 내어 제어하기 위함이다. 상기 감지센서(240)가 상기 발열체(210)에서 떨어지게 되거나, 먼 거리(금속편 등)에 설치되면 열원과의 온도시차로 인해 정밀제어가 어렵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240)으로부터 연장된 도선(268)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으로부터 연장된 도선(216)과 같이 상기 전원 제어부(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데, 이러한 회로 구성으로 상기 감지센서(240)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의 순간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전원 제어부(116)(도2참조)측으로 입력하게 되고, 이때 감지센서(240)의 감지 신호를 받게되는 전원 제어부(116)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측으로의 전원 제어를 실행하여, 상기 세라믹 발열체(210)으로 하여금 상기 금속판체(114a)에 헤어 처리에 필요한 열을 가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발열체를 세라믹소재로 형성하여 간단한 작업 공정으로 안가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고, 온도상승을 더 빠르게 하거나 초기 전류를 적게 소모하여 회로의 구성을 싸게 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체의 온도 제어를 감지센서에 의해 직접 감지하여 실행되게 한 구조에 의해 헤어 플랫아이롱의 정확한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접(離接) 작동되게 한 몸체에 대면 설치한 금속 판체들을 구비하고, 그 금속판체 측으로는 전원 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이 인가되어 헤어 처리용 열을 발생하도록 된 헤어용 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에 각각 대면 설치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되며, 발열 회로를 사이에두고 일체로 접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접점홈이 형성된 박판상의 세라믹 발열체;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일측 면에 직접 접하게 위치되어 그 발열체의 기 설정된 온도의 상하한치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 측으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도 감지 신호를 입력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금속판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발열체의 일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들을 상기 발열체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특성을 갖는 박판상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발열회로가 인쇄된 제1세라믹 판, 상기 제1세라믹 판에 절연물질을 개재하여 접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접점홈이 형성된 는 제2세라믹판을 포함하고, 접합된 제1,제2세라믹판들은 열 처리과정을 통해 일체화 되게한 후, 그 접점홈에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도선(導線)을 직접 용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발열체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방형을 이루게 형성한 박판상의 평판과 그 평판의 양단에서 경사를 이루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작용을하며 일 부분에는 절단홈들이 형성된 날개편와 상기 날개편들의 절단홈들과의 인접위치된 상기 평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센서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절단홈은 상기 지지홈에 수용되는 감지센서 측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유도함을 특징으로하는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KR20-2003-0019346U 2003-06-19 2003-06-19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KR200331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46U KR200331242Y1 (ko) 2003-06-19 2003-06-19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46U KR200331242Y1 (ko) 2003-06-19 2003-06-19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830A Division KR100498767B1 (ko) 2003-06-19 2003-06-19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42Y1 true KR200331242Y1 (ko) 2003-10-23

Family

ID=4933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346U KR200331242Y1 (ko) 2003-06-19 2003-06-19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9884A1 (en) * 2017-05-03 2020-05-13 Jemella Limited A heater element for hair styling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9884A1 (en) * 2017-05-03 2020-05-13 Jemella Limited A heater element for hair styling appliance
CN111202334A (zh) * 2017-05-03 2020-05-29 洁美来有限公司 加热器元件、头发造型装置以及形成加热器元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7967C (fi) Uppvaermningsenhet
WO2022068231A1 (zh) 发热体、发热组件和加热装置
TR199901735T2 (xx) Kibrit kafal� seramik ate�leyici ve bu ate�leyicinin kullan�lmas� i�in y�ntem.
KR100498767B1 (ko)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CN101603733A (zh) 用于加热流动气体介质的加热装置的电阻加热元件
WO2022068230A1 (zh) 发热组件及加热装置
US4863584A (en) Apparatus for sensing air-fuel ratio
KR20110044341A (ko) 소형 센서내장형 세라믹 기판 히터의 제조 방법
KR200331242Y1 (ko)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EP1201547A4 (en) HEATING WIRE FOR DEVICES SUCH AS PULSE THERMOSCELLERS
US6435005B1 (en) Heater patterns for planar gas sensors
CN208241910U (zh) 一种电子烟用圆棒状三根引线陶瓷发热体
KR100583261B1 (ko) 헤어 아이론용 히터장치
US6486449B2 (en) Heater patterns for planar gas sensors
US20210333012A1 (en) Ceramic heater for heating water in an appliance
JP2537271B2 (ja) セラミツク発熱体
US10837937B2 (en) Ceramic heater, sensor element, and gas sensor
CN213961790U (zh) 发热组件及加热装置
KR100735104B1 (ko) 발열체와 발열판의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헤어아이론용히터구조
KR100858462B1 (ko) 세라믹히터
TWI243151B (en) MoSi2 arc-shaped heater,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heater
JP7018307B2 (ja) ヒータ
JP7025258B2 (ja) ヒータ
DE69902853T2 (de) Elektrischer Heizwiderstand für Electroofen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04219232A (ja) ガスセンサー構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