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077Y1 -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 Google Patents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077Y1
KR200331077Y1 KR20-2003-0015246U KR20030015246U KR200331077Y1 KR 200331077 Y1 KR200331077 Y1 KR 200331077Y1 KR 20030015246 U KR20030015246 U KR 20030015246U KR 200331077 Y1 KR200331077 Y1 KR 200331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bed
lateral
transver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고
Original Assignee
박영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고 filed Critical 박영고
Priority to KR20-2003-0015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077Y1/ko
Priority to US10/817,927 priority patent/US20040230142A1/en
Priority to CNA2004100431511A priority patent/CN1550228A/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47C15/008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for sexual intercour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고안은 삼(3)차원 진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침대의 상부 부품인 기초침대판의 상면에 다수의탄성체 기둥을설치하고, 그 탄성체 기둥의 상단에는 횡과 종으로 각각 모터와 회전왕복운동기구로 연결되어 모터 등의 구동에 따라 횡, 및 종으로 2차원으로 왕복진동 후 원상 복귀되는 2차원으로 진동하는 진동침대판을 재치 하여, 모터 등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진동침대판이 2차원 진동(실재는 횡 종 및 상하 3차원으로 진동)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인이 이미 발명한 1차원 횡 진동 침대보다더욱 효과적으로소화기능과 혈액순환기능을 촉진시켜 피로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취침을 촉진시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부부생활에 추가적으로 환상적인 쾌락을 제공하며노인과 장기 입원 환자에게 운동을 시켜주고 또 한 침대를 진동시키지 않을 때는 일반 침대로도 사용 가능토록 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측면판을 조립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그들 상부에 기초침대판을 고정 설치한 기초침대와; 그 기초침대판 상면에 다수를 설치한 탄성체 기둥과;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재치 되어 삼차원진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침대와 진동침대판과의 사이에는 횡 및 종 진동 후 원상 복귀력을 갖을 수 있도록 다수 쌍의 횡 및 종 스프링기구를 탄설 시킨 진동침대판과; 그 진동침대판과 횡 및 종 직각 방향으로 2개의 콘네크팅롯트로 축설되게 연장설치하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 진동을 가 할 수 있도록 편심 크랭크 핀을 갖는 감속 장치 등과 구동 모터 2개 등을 횡 및 종으로 각각 한 개 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하진동은 종 횡 진동의 영향력과 외부 역학작용으로 발생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Three-dimensional automatic vibrating bed}
고안은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인이 발명하여 제10-2001-0048086호(출원일:2001.08.09)와 제 10-2001-0027838호(출원일 2001,05,21)등으로 특허 출원한 일차원 횡 진동침대를 더욱 개량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침대(7)의 상부부품인 기초침대판(5)의 상면에 다수탄성체 기둥(13)을 설치하고, 그 탄성체 기둥(13)의 상단에는 횡 및 종으로 종 횡 모터와 회전 왕복운동기구로 연결 설치되어, 이 모터들의 구동에 따라 횡 및 종으로 진동 후 원상 복귀되는 진동침대판(11)을 재치 하여 모터등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진동침대판(11)이 2차원(실재로는 종 횡 진동의 영향력과 외부력을 받아 상하진동도 하게 되어 3차원 진동도 하게 된다) 진동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더욱 효과적으로소화기능과 혈액순환기능 등을 촉진시켜 피로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취침을 촉진시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고,부부생활에 환상적인 쾌락을 추가해서 제공 허며노인과 장기 입원 환자에게 운동을 시켜주고 또 한 이 침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일반 침대로도 사용 가능토록 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횡 일차원 진동침대를 횡, 종 및 상하 3차원 진동 침대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고안에 따른 삼차원 자동진동 침대를 보인 실시예의 사시도 와 진동침대판(11)의 단면도이고 ,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이며
도 2 A 는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콘네크팅 롯드(39), 및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등의 단면도 이며
도 3은 도 1의 B-B' 의 단면도의 장력 코일스프링기구(15)의 확대단면도 이며,
도 4은 탄성체 기둥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장력 스프링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6은 기초침대 내면의 회전 왕복운동 기구 등의 사시도 이며.
도 7은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삼차원 자동 진동 침대.
3. 사(4)측면판
5. 기초 침대판.
6. 인버터.
7. 기초침대.
8. 타이머 스위치.
9. 전원 플러그.
10. 리모콘.
11. 진동침대판
13. 탄성체 기둥(柱).
13-1. 탄성체 기둥(柱)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 .
13-4. 탄성체 기둥 연결 볼트.낙트.
15, 횡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 기구.
15-1. 횡 일방 장력 코일 스프링.
15-2. 횡 타방 장력 코일 스프링.
15'. 종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 기구.
15-1'. 종 일방 장력 코일 스프링.
15-2'. 종 타방 장력 코일 스프링.
15-3. 진동침대판 연결 볼트.
15-4.. 기초침대판 연결 볼트.
15-5. 스프링 후크
17. 횡 가변속 구동 모터.
19. 횡 모터 축.
21. 횡 소형 모터 축 풀리.
23. 횡 "V" 벨트.
25. 횡 중개축 대형 풀리.
27. 횡 중개축.
28. 횡 브라켓트 비여링.
29. 횡 브켓트.
31. 횡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
33. 횡 크랭크 핀 비여링.
35. 횡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
37. 횡 콘네크팅 롯트 연결 낫트.
39. 횡 콘네크팅 롯트.
40. 횡 콘네크팅 롯트. 조임 낫트
41. 횡 콘네크팅 롯트 조절 낫트.
43.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
43-1.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43-2.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
43-3.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
43-4.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연결 볼트 낫트.
43-5.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
43-6, 수평 "ㄱ"자 앵글.
43-7. 수직 바침판.
43-8. 횡 탄성체 판
17'. 종 가변속 구동 모터.
19'. 종 모터 축.
21'. 종 소형 모터축 풀리.
23'. 종 "V" 벨트.
25'. 종 대형 중개축 풀리.
27'. 종 중개축.
28'. 종 브라켓트 비여링.
29' 종 브라켓트.
31'. 종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
33'. 종 크랭크 핀 비여링.
35'. 종 크랭크 비여링 케이스.
37'. 종 콘네크팅 롯트 연결 낫트
39'. 종 콘네크팅 롯트.
40'. 종 콘네크팅 롯트. 조임 낫트
41'. 종 콘네크팅 롯트 조절 낫트.
43'.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
43-1'.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43-2'.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
43-3'.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
43-6', 수평 "ㄱ"자 앵글.
43-7'. 수직 바침판.
43-8'. 종 탄성체 판
상기 삼차원 진동 침대의 제작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삼차원 진동침대는 일곱 가지 주요 부품과 네 가지 보조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부품으로는 첫째 한 개의 진동침대판(11); 둘째 한 개의 기초침대(7); 셋째 다수의 탄성체 기둥(13)(개량); 넷째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개량): 다섯째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개량, 추가): 여섯째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일곱 번째 한 조의 종 회전 왕복운동기구(추가) 등이 있고; 그리고 보조 부품으로는 첫째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개량); 둘째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개량, 추가); 셋째 한 조의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를 항시 일정한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추가); 넷째 한 조의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를 항시 일정한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추가) 등이 있다.
상기 부품 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부품인 진동침대판(11)은 보통 침대의 크기로서 그 위에 사람을 누워서 자게 하고 또 3 차원 진동을 시켜주는 목재판자 이다.
둘째 주요 부품인 기초침대(7)는 역시 보통 침대의 크기로서 목재판자인 기초침대판(5)을 상면으로 하고 사(4)측면판(3)등을 사방에서 측면으로 하여 직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인데 그 높이는 약 200-300mm 이다. 보통 침대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것이다.
셋째 주요 부품인 다수의 탄성체 기둥(13)등은 원통형 압축코일 스프링(13-1)이 사용되는데 이 것은 기초침대판(5) 상면과 상기 진동침대판(11) 하면에 그 양쪽 끝이 각각 탄성체 기둥 연결 볼트 낫트(13-4)등으로서 고정되어 그들을 서로 연결하여 줄뿐 만 아니라 그 진동침대판(11)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하고 또 3 차원진동을 할 수 있도록 요동(搖動) 신축(伸縮)하여 준다.
넷째 주요 부품인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는 상기 진동침대판(11)과 기초침대판(5)을 서로 엇갈리게 연결하며 진동침대판(11)의 횡 진동을 쿳숀 작용으로 부드럽게 하여 줄뿐만 아니라 소음도 없애 주고 회전 왕복운동 기구에 포함된 구동 감속장치의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다섯째 주요 부품인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는 상기 진동침대판(11)과 기초침대판(5)을 서로 엇갈리게 연결하며 진동침대판(11)의 종 진동을 쿳숀 작용으로 부드럽게 하여 줄뿐만 아니라 소음도 없애 주고 회전 왕복운동 기구에 포함된 구동 감속장치의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여섯째 주요 부품인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과 기초침대판(5)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진동침대판(11)을 기초침대(7)에 대하여 횡 진동을 시켜준다.
일곱 번째 주요 부품인 한 조의 종 회전 왕복운동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과 기초침대판(5)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진동침대판(11)을기초침대(7)에 대하여 종 진동을 시켜준다.
첫째 보조 부품인 횡 콘네크팅 롯드(39) 조절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의 기초침대(7)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기구로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기초침대(7)에 대한 횡 상대위치를 전술한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의 중립 위치에 가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보조 부품인 종 콘네크팅 롯드(39') 조절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의 기초침대(7)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기구로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기초침대(7)에 대한 종 상대위치를 전술한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의 중립 위치에 가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보조 부품인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서 분해 후 재 취부시 항시 일정한 그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종 중앙부 일단에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과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을 그 상하 면에 각각 마주 보게 취부하여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로서 영구히 고정한 다음에 이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에 마련된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에 분해 했든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끼여 넣고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연결 볼트 낫트(43-4)로서 조이게 되면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위치인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홈(41-2)에 취부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보조 부품인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서 분해 후 재 취부시 항시 일정한 그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의 횡 중앙부 일단에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과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을 그 상하 면에 각각 마주 보게 취부하여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로서 영구히 고정한 다음에 이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에 마련된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에 분해 했든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끼여 넣고 "T"형 피스톤 브라켓트.연결 볼트 낫트(43-4.)로서 조이게 되면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위치인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홈(41-2')에 취부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차적으로 전원 플러그(9)는 전원을 인가하며 타이머 스위치(8)는 침대의 진동 시간을 조절하며 인버터(6)와 리모콘((10)은 진동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한다.
실시예 1」
이하 본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고안에 따른 삼차원 자동진동 침대를 보인 실시예의 사시도 와 진동침대판(11)의 단면도이고 ,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이며
도 2 A 는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콘네크팅 롯드(39), 및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등의 단면도 이며
도 3은 도 1의 B-B' 의 단면도의 장력 코일스프링기구(15)의 확대단면도 이며,
도 4은 탄성체 기둥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장력 스프링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6은 기초침대 내면의 회전 왕복운동 기구 등의 사시도 이며.
도 7은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의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인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1)은 도 1-7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요부품인 첫째 사람이 누워서 자는 한 개의 진동침대판(11); 둘째 한 개의 기초침대(7); 셋째 다수의 탄성체기둥(13); 넷째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다섯째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여섯째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일곱 번째 한 조의 종 회전 왕복운동기구; 그리고 보조 부품으로는 첫째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39) 조절기구; 둘째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39') 조절기구; 셋째 한 조의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 넷째 한 조의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위치에 취부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진동침대판(11)은 목재판자로서 보통 침대의 넓이로 기초침대(7)상면에 설치된 전술한 다수 개의 부동장치인 탄성체 기둥(13)위에 재치 되여 삼차원으로 부동하며 진동하겠금 하였고
전술한 기초침대(7)는 도 1 과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통목재판자로서 네 쪽을 보통침대 모양의 직사각형(구형)으로 조립된 사(4)측면 판(3) 상측 수평면에 횡 및 종 중앙 부분이 평행 된 두 줄로 단절된 기초침대판(5)를 일체로 고정시킨 것이다. 이 기초침대판(5)의 크기는 전술한 진동침대판(11)과 같다. 이 기초침대(7)의 높이는 200-300 mm 정도이다.
전술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등은 도 1, 2, 및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통형 압축코일 스프링(13-1)이 사용되는데 이 것은 기초침대판(5) 상면과 상기 진동침대판(11) 하면에 그 양쪽 끝이 각각 탄성체 연결 볼트 낙트(13-4)로서 고정되어 그들을 서로 연결하여 줄뿐만 아니라 그 진동침대판(11)을 지지하고 또 그 진동침대판(11)을 횡 종 및 상하 방향의 3 차원 진동을 하겠금 요동(搖動)하고 신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는 도 1, 3, 및 5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침대판(11)과 기초침대판(5)을 횡으로 서로 엇갈리게 연결하며 진동침대판(11)의 횡 진동을 쿳숀 작용으로 부드럽게 하여 줄뿐만 아니라 소음도 없애 주고 왕복운동가구에 포함되어 있는 감속장치에 충격을 주지 않게 하여 그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의 하나인 도 3 의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을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쪽의 한 끝인 스프링 후크(15-5)를 진동침대판 연결 볼트낫트(15-3)로서 그 .진동침대판(11)의 종 상하 양단 하면에 한 개 식 연결하고 그 다른 끝인 스프링 후크(15-5)를 기초침대판 연결 볼트낫트.(15-4)로서 기초침대판(5)의 종 상하 양단 상면에 한 개 식 연결한다.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에 반대되는 횡 타방 장력 스프링(15-2)는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에 평행되게 50mm정도의 간극을 두고 그 양쪽의 한 쪽 끝인스프링 후크(15-5)를 기초침대판 연결 볼트.(15-4)로서 기초침대판(5)의 종 상하 양단 상면에 한 개 식 연결하고 그 다른 끝인 스프링 후크(15-5)를 진동침대판 연결 볼트(15-3)로서 그 .진동침대판(11).의 종 상하 양단 하면에 한 개 식 연결한다.
전술한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는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를 90°돌려서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면 된다.
전술한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는 도 1, 2, 2A, 및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진동침대판(11)과 전술한 기초침대(7) 사이에 연결되어 그 진동침대판(11)을 횡으로 진동시켜 주게 하고 기초침대판(5) 좌측 하면 중앙부에 볼트 낫트 등으로서 취부된 횡 가변속 구동 모터(17)의 축(19)의 외경에 횡 소형 모터 축 풀리(21)를 고정되게 끼우고 이 소형 모터 축풀리(21)에 횡 "V"벨트(23)의 한 쪽을 걸고 이의 다른 한 쪽을 기초침대판(5)의 중앙 단절부에 있는 횡 중개축 대형풀리(25)에 장력이 적당하게 걸고 이 횡 중개축 대형풀리(25)는 횡 중개축(27)의 한 쪽 끝에 고정되게 끼워지게 하여 상기 모터(17)의 구동력을 하기 중개축(27)에 전달하게 하며, 또 이 중개축(27)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두개의 횡 브라켓트(29)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우며 이 중개축(27)과 이 브라켓트(29) 사이에는 브라켓트 비여링(28)((도면에 비도시))이 끼워저 있다. 또 이 브라켓트(29)등은 볼트 낫트 등으로서 고정되게 상기 기초침대판(5)의 하면 횡 일단에 취부하였다.
상기 횡 중개축(27)의 두개의 횡 브라켓트(29) 사이 부분에는 횡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31)이 마련되어 이 크랭크 핀(31)에는 횡 크랭크 핀 비여링(33)이 회전되게 끼워지고 또 이 비여링(33)의 외경에는 횡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가 고정되게 끼워진다.
이 횡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의 외경에는 횡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낙트(37)이 방사선(放射線) 방향으로 용접되고 이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낫트(37)에는 양쪽 끝이 나사로 된 철 환봉(鐵丸棒) 형 횡 콘네크팅 롯드(39)의 한 쪽 끝을 나사 삽입시켜 콘네크팅 롯드 조임 낫트(40)로서 조여 고정시켰다.
이 횡 콘네크팅 롯드(39)의 다른 한 쪽 끝의 나사부분은 전술한바와 같이 기초침대판(5)의 횡 중앙부의 단절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종 측 일단 중앙부분에 고정된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브라켓트(43)의 수직부분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저 횡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로서 그 횡 콘트팅 롯드(39)의 길이를 조절 후 고정적으로 조인다.
여기에서 꼭 집고 넘어 가야할 것은 전번 발명품에 사용하든 철제 즉 고체인 "T" 형 브라켓트(43)를 여기에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진동침대판(11)이 상하, 횡 또는 종 진동시 이 상기 진동침대판(11)과 이 "T" 형 브라켓트(43)와 상기 콘네크팅 롯트(39)사이에 무리수(無理手)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무리수를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진동침대판(11)과 상기 콘네크팅 롯트(39)사이에 있는 이 고체(금속제) "T" 형 브라켓트(43)을 유연성이 있는 보강된 탄성체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번 발명의 고체 "T"형 피스톤 브켓트(43)를 유연성 있는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켓트(43)로 제작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탄성체 판(43-8)의 양측 중앙부를 "ㄷ"자 형으로 대칭되게 도려낸 다음 그 판(43-8) 상부측 에는 금소제 수평 "ㄱ"자 앵글(43-6)을 대칭으로 볼트 낫트 등으로서 고정하고 그 판(43-8) 하부측 에는 역시 금소제 수직 바침판(43-7)을 대칭되게 볼트 낫트 등으로서 고정하여 그 중앙에 콘네크팅 롯드(39)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마련하였다.
또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그 전 발명품인 일차원 진동 침대의 크랜크 핀 비여링(33)은 축 고정형 원통형이 였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 크랜크 핀 비여링(33)은 축심 자동 조절 형으로 그 외륜(外輪)의 내면(內面)과 내륜의 외면은 구면(球面)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기계공학적으로 구성된 횡 회전 왕복 운동기구는 상기 횡 가변속(可變速) 구동 모터(17)가 회전하면 상기 진동침대판(11)은 횡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여기에 첨언하면 이 콘네크팅 롯트(39)를 조금 짧게 하게 되면 이것은 진동침대판(11)을 횡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까지 2차원으로 진동시켜 준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인 침대는 동력을 이용해서 2 차원으로 진동시키지마는 실재는 3차원 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 회전 왕복운동 기구는 상기 횡 왕복 운동기구를 90°만큼 그 방향을 돌려서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면 된다.
상기 횡 콘네크팅 롯드(39)조절기구는 도 2 와 2 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횡 회전 왕복 운동기구 등에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의 수직부분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콘네크팅 롯도(39)의 한 끝 쪽 나사부분을 끼여 상기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로서 그 횡 콘트팅 롯드(39)의 길이를 상기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가 부착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위치가 상기 기초침대(7)에 대한 상기 횡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기구(15)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조절 후 이 조절 낫트(41)를 고정적으로 조여 줌으로서 이 진동은 정상적으로 이루워지게 된다.
상기 종 콘네크팅 롯드(39')조절기구는 도 2 와 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종 회전 왕복 운동기구에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종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의 수직부분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콘네크팅 롯도(39')의 한 끝 쪽 나사부분을 끼여 상기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로서 그 횡 콘트팅 롯드(39')의 길이를 상기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가 부착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위치가 상기 기초침대(7)에 대한 상기 종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기구(15')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조절 후 이 조절 낫트(41')를 고정적으로 조여 줌으로서 이 진동은 정상적으로 이루워지게 된다.
만약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위치가 상기 기초침대(7)에 대한 상기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기구(15)(15')등의 중립위치에서 벗어나서 편재(偏在)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보강된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서 분해 후 재 취부 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위치가 상기 기초침대(7)에 대한 상기 횡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기구(15)의 원 중립위치에 또 다시 가도록 하기 위한 즉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그 위치에 진동침대판(11)을 고정시키는 기구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침대판(11)의 횡 중앙부 일단(一端)에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하면에))과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상면에))을 상하면에 각각 마주 보게 취부하여 그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조여 영구히 고정한 다음에 이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에 마련된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에 분해했든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끼여 넣고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연결 볼트 낫트(43-4.)등으로서 조이게 되면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그 원 위치인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홈(41-2)에 취부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본 발명인 삼차원 진동침대를 수송 또는 이사할 때 그 보강된 탄성체 "T"형 브라켓트(43)(43')등을 안전상 진동침대판(11)에서 분리했다가 이 침대를 다시 정착할 때 재조립 시 상기 중립 위치에 자동으로 재차 정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보강된 탄성체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서 분해 후 재 취부 시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위치가 상기 기초침대(7)에 대한 상기 종 쌍방 장력 코일 스프링기구(15')등의 원 중립위치에 가도록 하기 위한 즉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그 원 위치에 진동침대판(11)을 고정시키는 기구는 상기 진동침대판(11)의 종 중앙부 일단(一端)에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과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을 상하면에 각각 마주 보게 취부하여 그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조여 영구히 고정한 다음에 이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에 마련된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에 분해했든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끼여 넣고 "T"형 피스톤 브라켓트.연결 볼트 낫트(43-4.)등으로서 조이게 되면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항시 일정한 위치인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홈(41-2')에 취부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인이 이미 개발한 제10-2001-0048086호(출원일:2001.08.09)의 1 차원 진동침대에 비하여 더욱 개량 개발한 본 발명인 3 차원 자동진동 침대는소화기능과 혈액순환기능등을 촉진시켜피로회복을 촉진시키고 취침을 촉진시키는데 있어서더욱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부부생활에 환상적인 쾌락을 추가로 제공하며노인과 장기 입원 환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운동을 시켜주고 또 한 침대를 진동시키지 않을 때는 일반 침대로서 사용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한 개의 진동침대판, 한 개의 기초침대, 다수의 캐스터,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일(1)차원 횡 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 횡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종 일방 장력 스프링(15-1'), 종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횡 가변속 구동 모터(17), 횡 모터 축(19), 횡 소형 모터축 풀리(21), 횡 "V"벨트(23), 횡 중개축 대형풀리(25), 횡 중개축(27) 횡 브라켓트 비여링(28)등, 횡 브라켓트(29)등, 횡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31), 횡 크랭크 핀 비여링(33), 횡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횡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낫트(37), 횡 콘트팅 롯드(39), 횡 콘네크팅 롯드 조임 낫트(40), 횡 탄성체 판(43-8)과 횡 수평 "ㄱ" 자 엥글43-6) 및 횡 수직 바침판(43-7)등으로 구성되는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 한 조의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된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종 가변속 구동 모터(17'), 종 모터 축(19'), 종 소형 모터축 풀리(21'), 종 "V"벨트(23'), 종 중개축 대형풀리(25'), 종 중개축(27') 종 브라켓트 비여링(28')등, 종 브라켓트(29')등, 종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31'), 종 크랭크 핀 비여링(33'), 종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종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낫트(37'), 종 콘트팅 롯드(39'), 종 콘네크팅 롯드 조임 낫트(40'), 종 탄성체 판(43-8')과 종 수평 "ㄱ" 자 앵글(43-6') 및 종 수직 바침판(43-7')등으로 구성되는 종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된 한 조의 종 회전 왕복운동기구;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콘네크팅 롯드(39), 횡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등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종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콘네크팅 롯도(39'), 종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등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구성되는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위치에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기구;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구성되는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위치에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횡 종 및 상하로 삼차원 진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자동진동 침대.
  2. 상기 "청구 항 1"의 삼차원 자동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을 다수의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13-1)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자동진동 침대.
  3. 한 개의 진동침대판, 한 개의 기초침대, 다수의 캐스터,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일(1)차원 횡 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 횡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종 일방 장력 스프링(15-1'), 종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횡 가변속 구동 모터(17), 횡 모터 축(19), 횡 소형 모터축 풀리(21), 횡 "V"벨트(23), 횡 중개축 대형풀리(25), 횡 중개축(27) 횡 브라켓트 비여링(28)등, 횡 브라켓트(29)등, 횡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31), 횡 크랭크 핀 비여링(33), 횡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횡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낫트(37), 횡 콘트팅 롯드(39), 횡 콘네크팅 롯드 조임 낫트(40), 횡 탄성체 판(43-8)과 횡 수평 "ㄱ" 자 엥글43-6) 및 횡 수직 바침판(43-7)등으로 구성되는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 한 조의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된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횡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콘네크팅 롯도(39), 횡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등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 횡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구성되는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위치에 횡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횡 및 상하로 이(2)차원 진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자동진동 침대.
  4. 상기 "청구 항 3"의 2차원 자동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을 다수의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13-1)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및 상하 2차원 자동진동 침대.
  5. 한 개의 진동침대판, 한 개의 기초침대, 다수의 캐스터,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 한 조의 횡 회전 왕복운동기구, 한 조의 횡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일(1)차원 횡 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
    횡 일방 장력 스프링(15-1), 횡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횡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종 일방 장력 스프링(15-1'), 종 타방 장력 스프링(15-2'), 그들 양 쪽 끝 스프링 후크(15-5)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쌍의 종 쌍방 장력 스프링기구(15');
    종 가변속 구동 모터(17'), 종 모터 축(19'), 종 소형 모터축 풀리(21'), 종 "V"벨트(23'), 종 중개축 대형풀리(25'), 종 중개축(27'), 종 브라켓트 비여링(28')등, 종 브라켓트(29')등, 종 중개축 편심 크랭크 핀(31'), 종 크랭크 핀 비여링(33'), 종 크랭크 핀 비여링 케이스.(35'), 종 콘네크팅 롯드 연결 낫트(37'), 종 콘트팅 롯드(39'), 종 콘네크팅 롯드 조임 낫트(40'), 종 탄성체 판(43-8')과 종 수평 "ㄱ" 자 엥글43-6') 및 종 수직 바침판(43-7')등으로 구성되는 종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등으로 구성된 한 조의 종 회전 왕복운동기구;
    종 보강된 탄성체 "T" 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콘네크팅 롯도(39'), 종 콘트팅 롯드 조절 낫트(41')등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종 콘네크팅 롯드 조절기구;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41-1'),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좌판 홈(41-2'), 종 "T"형 피스톤 브라켓트 바침판(41-3'), "T"형 피스톤 브라켓트좌판 바침판 연결 볼트 낫트.(43-5)등으로서 구성되는 항시 반복하여 일정한 위치에 종 보강된 탄성체 "T"형 피스톤 브라켓트(43')를 진동침대판(1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종 및 상하로 2차원 진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자동진동 침대.
  6. 상기 "청구 항 5"의 2차원 자동진동 침대에 있어서 다수의 탄성체 기둥(13)을 다수의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13-1)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 및 상하 2차원 자동진동 침대.
KR20-2003-0015246U 2003-05-16 2003-05-16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KR200331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46U KR200331077Y1 (ko) 2003-05-16 2003-05-16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US10/817,927 US20040230142A1 (en) 2003-05-16 2004-04-06 Three dimensional automatic vibrating bed
CNA2004100431511A CN1550228A (zh) 2003-05-16 2004-05-12 三维自动振动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46U KR200331077Y1 (ko) 2003-05-16 2003-05-16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05A Division KR20040099069A (ko) 2003-05-22 2003-05-22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077Y1 true KR200331077Y1 (ko) 2003-10-23

Family

ID=3743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46U KR200331077Y1 (ko) 2003-05-16 2003-05-16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30142A1 (ko)
KR (1) KR200331077Y1 (ko)
CN (1) CN1550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69U (ko) * 2019-06-20 2020-12-31 쩌쟝 호우중호우 헬스 프라닥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윙 수면 보조 안마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2145B1 (en) * 2004-06-09 2008-07-22 Woggon Dennis A Method of neuromusculoskeletal proprioceptive re-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living body using corrective chair and vibration
KR100491094B1 (ko) * 2004-06-28 2005-05-24 김방배 자기 갭 방식의 수직 운동기
SE0501369L (sv) * 2005-06-16 2006-06-27 Clas Rosenbaum Oscillerande säng för snarkfri sömn
GB0512901D0 (en) * 2005-06-24 2005-08-03 Harding Lynda J A device for supporting and rolling a mattress
WO2007052313A1 (en) * 2005-10-31 2007-05-10 Marco Carbognin Mobile bed
DE202006012056U1 (de) * 2006-04-27 2006-10-12 Wilhelm, Christian Trainingsgerät
WO2010040244A1 (zh) * 2008-10-06 2010-04-15 期美科技股份有限公司 振动训练机的振动踏台
CN101836927B (zh) * 2010-04-13 2012-02-22 王继文 多功能健身装置
CN102764499B (zh) * 2012-08-15 2015-09-16 邹秀清 摔撞健身器
DE102012017219A1 (de) * 2012-08-31 2013-07-18 Uli Heinrich Georg Brüderlin Trainingsanordnung für Perturbationstraining
CN103070567A (zh) * 2013-01-31 2013-05-01 乔继辉 防贪睡床
FR3005395B1 (fr) * 2013-05-13 2015-10-23 Laurent Guibert Lits de roulis et de tangage
US10500434B2 (en) 2015-02-16 2019-12-10 Kuang Yu Metal Working Co., Ltd. Exercis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6074068A (zh) * 2016-06-13 2016-11-09 黄山金富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理疗床谐振机构
RU176189U1 (ru) * 2016-09-27 2018-01-11 Андраник Вазгенович Мушлян Механизм возбужд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вибраций, применяемый для лечения грыж межпозвонковых дисков
CN111297627B (zh) * 2017-11-09 2022-06-24 浙江微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促进人体微循环的理疗设备
US10881215B2 (en) * 2018-06-21 2021-01-05 Tung Keng Enterprise Co., Ltd. Device for producing rhythmic movement and vibrating bed having the same
TWI747484B (zh) * 2020-09-09 2021-11-21 就是綠科技股份有限公司 可實現單平台雙振幅作動之律動機
CN114847703B (zh) * 2022-04-24 2024-04-05 广东诺奖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折叠震动型多功能沙发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7819A (en) * 1924-07-23 1925-12-29 Albert H Stebbins Vibratory exercise table
US1797306A (en) * 1927-12-27 1931-03-24 W G Jarrell Machine Company Massaging and vibrating machine
US2570676A (en) * 1950-12-14 1951-10-09 John V Henderson Reciprocating bed
US2841802A (en) * 1955-05-12 1958-07-08 Jack T Leverett Combined crib or bed rocker and shaker
US2908271A (en) * 1958-07-15 1959-10-13 Vernon D Ware Vibratory reducing machine
US3014478A (en) * 1958-07-30 1961-12-26 Vernon D Ware Vibratory reducing machine
US3882556A (en) * 1974-03-04 1975-05-13 Serafino Accurso Electrically Rocked Crib
KR20010099012A (ko) * 2001-08-09 2001-11-09 박영고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69U (ko) * 2019-06-20 2020-12-31 쩌쟝 호우중호우 헬스 프라닥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윙 수면 보조 안마 침대
KR200494528Y1 (ko) * 2019-06-20 2021-10-29 쩌쟝 호우중호우 헬스 프라닥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윙 수면 보조 안마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0142A1 (en) 2004-11-18
CN1550228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1077Y1 (ko)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KR20010099012A (ko) 침대
KR100856637B1 (ko) 밸런스 훈련 장치
US200500917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procating an infant support
US20100325794A1 (en) Rocking bed for two-dimensional swing
US20170318978A1 (en) Smart Rocking Bed Device and System
DE112007000636T5 (de) Vibrierendes Trainingsgerät mit linear einstellbarer Amplitude zum Trainieren des Körpers
CN104127065B (zh) 一种电动摇床
KR20040099069A (ko) 삼차원 자동 진동침대
CN201414602Y (zh) 电动悠荡床
US20120233781A1 (en) Articulated and/or jointed bed
CN214465897U (zh) 一种弧形往复摆动机构及床体
KR20040047039A (ko) 수평진동침대
KR20030000265A (ko) 침대
CN87107748A (zh) 振动治疗装置
KR200252905Y1 (ko) 침대
EP2366311A1 (en) Articulated bed
TWI829287B (zh) 律動裝置
KR200242159Y1 (ko) 침대
KR200319071Y1 (ko) 신체의 요동운동장치
TW202408446A (zh) 律動裝置
CN219535800U (zh) 震动装置和按摩家具
TWI764751B (zh) 上下振動機
CN219662110U (zh) 一种重症医学科护理用的背部支撑装置
KR930008795B1 (ko) 뒤틀리는 흔들림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