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824Y1 - 기능수생성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수생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0824Y1 KR200330824Y1 KR20-2003-0024559U KR20030024559U KR200330824Y1 KR 200330824 Y1 KR200330824 Y1 KR 200330824Y1 KR 20030024559 U KR20030024559 U KR 20030024559U KR 200330824 Y1 KR200330824 Y1 KR 2003308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lectrolytic
- electrolyzed
- generation unit
- electrolyz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10);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전해수를 생성하는 제1전극(21)이 설치된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제2전극(22)이 설치된 제2전해수생성부(24)와,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생성부(24)를 나누는 이온격막(25)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수생성유닛(20);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출수부(30);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나머지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배수부(40);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출수부(50); 제1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흐르게 하거나, 제1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흐르게 변환 가능한 것으로서, 전해수생성유닛(20)과 전해수출수부(30) 및 전해수배수부(40) 사이에 설치되는 4-way 밸브(60); 전해수배수부(40)에 설치되어 그 전해수배수부(40)를 경유하는 전해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오리피스(45); 필터(10)와 전해수생성유닛(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 필터(10)와 정수출수부(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에 DC 전원을 공급하되, 그 전원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70);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능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기능과 정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일체화시켜 전해수와 정수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수에 담겨진 전극에 직류 전기를 통하게 되면 원수는 전기분해되어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이 만들어진다. 산성수란 수소이온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물이며, 알카리수란 수산이온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물이다. 이들 수소이온이 포함된 산성수와 수산이온이 포함된 알카리수는 전극 사이의 이온격막을 경계로 하여 분리된다.
전해수중 약 알카리수는 그 특성상 음용시 인체에 매우 유용하여 위장병이나 고혈압, 당뇨병, 신경통 등을 치료하는 치료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강 알카리수는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토양 개량 가능성이 있으며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더러워진 물체를 세정하는데도 사용하고 있다. 또, 산성수는 살균목적으로 의료수 살균수, 식품제조공정의 살균, 축산의 악취제거, 소독살균등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필터링함으로써 그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수는 주로 음용수로서 사용되고, 밥이나 국을 끊이는등 음식을 만들 때에도 사용된다. 정수는 전해수에 대하여 민감한 체질을 갖는 사람에게 유용하다.
이와 같이, 전해수 및 정수는 각각 특성을 가지며, 대상자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전해수를 오랜시간동안 생성하면 과정에서 이온격막에 미네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미네랄은 전해수의 생성을 방해하는 요소로 된다. 실질적으로 기능수생성장치의 수명은 전극보다 이온격막의 기능이 다할때까지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온격막에 미네랄이 퇴적되는 정도가 기능수생성장치의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겠다.
본 고안은 전해수와 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해수뿐만 아니라 정수를 효과적으로 생성 및 사용할 수 있는 기능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되지 않는 전해수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전해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수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해수생성유닛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기능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정수를 생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알카리수를 주로 생성할 때의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산성수를 주로 생성할 때의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3-way 밸브를 채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필터 20 ... 전해수생성유닛
21 ... 제1전극 22 ... 제2전극
23 ... 제1전해수생성부 24 ... 제2전해수생성부
25 ... 이온격막 30 ... 전해수출수부
40 ... 전해수배수부 45 ... 오리피스밸브
50 ... 정수출수부 60 ... 4-way 밸브
70 ... 전원부 80 ... 제어부
90 ... 키패드 S1 ... 제1솔레노이드밸브
S2 ... 제2솔레노이드밸브 S3 ... 3-way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는,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10); 상기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전해수를 생성하는 제1전극(21)이 설치된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제2전극(22)이 설치된 제2전해수생성부(24)와,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생성부(24)를 나누는 이온격막(25)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수생성유닛(20); 상기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출수부(30); 상기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나머지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배수부(40);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출수부(50); 상기 제1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흐르게 하거나, 제1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흐르게 변환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전해수생성유닛(20)과 상기 전해수출수부(30) 및 전해수배수부(40) 사이에 설치되는 4-way 밸브(60); 상기 전해수배수부(40)에 설치되어 그 전해수배수부(40)를 경유하는 전해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오리피스(45); 상기 필터(10)와 상기 전해수생성유닛(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 상기 필터(10)와 상기 정수출수부(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 상기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에 DC 전원을 공급하되, 그 전원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70);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0)에 작동신호를 공급하는 키패드(9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정수를 생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알카리수를 주로 생성할 때의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산성수를 주로 생성할 때의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기능수생성장치에 있어서, 3-way 밸브를 채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는,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10)와, 유입되는 정수로부터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생성유닛(20)과,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출수부(30)와,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나머지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배수부(40)와,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출수부(50)와, 전해수출수부(30)와 전해수배수부(40)로 흐르는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의 흐름 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4-way 밸브(60)와, 전해수배수부(40)에 설치되는 오리피스밸브(45)와, 필터(10)와 전해수생성유닛(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와, 필터(10)와정수출수부(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와, 전해수생성유닛(20)으로 DC 전원을 공급하되 그 전원극성을 역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70)와,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그 제어부(80)에 작동신호를 공급하는 키패드(9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0)는 활성탄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교체가 쉽도록 한다.
전해수생성유닛(20)은,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전해수를 생성하는 제1전극(21)이 설치된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제2전극(22)이 설치된 제2전해수생성부(24)가 이온격막(25)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제1,2전극(21)(22)은 백금티타늄으로 되어 있고, 이온격막(25)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2,전극(21)(22) 및 이온격막(25)의 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됨으로써 구현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원활한 설명을 위하여 하나만을 채용한 것으로 상정한다.
4-way 밸브(60)는, 2 개의 유입경로와 2 개의 유출경로를 가지며, 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동시에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유출되는 제1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그리고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유출되는 제2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흐르게 하거나, 제1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흐르게 변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4-way 밸브(60)는 전해수생성유닛(20)과 전해수출수부(30) 및 전해수배수부(40) 사이에 설치된다.
오리피스(45)는 전해수배수부(40)를 경유하는 전해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것으로써, 작은 직경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오리피스(45)는 배수되는 유량을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전해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1솔레노이드밸브(S1)는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를 전해수생성유닛(20)으로 흐르게 하거나(on) 차단하고(off), 제2솔레노이드밸브(S2)는,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를 곧바로 정수출수부(50)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S1)와 제2솔레노이드밸브(S2)는 상호 역동작되게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way 밸브(S3)로 대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부(70)는 전해수생성유닛(20)의 제1,2전극(21)(22)에 DC 전원을 인가한다. 제1,2전극(21)(22)에 DC 전원을 인가하여주면, - 극이 인가된 전극으로 정수에 포함되어 있던 칼슘이온(Ca2+), 칼륨이온(K+), 나트륨이온(Na+), 마그네슘이온(Mg2+) 등의 양이온성 미네랄이 모이고, 물분자 중 수소(H+)가 이온격막(25)을 통과하여 빠져나감으로써 수산화 이온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칼리수가 된다. 또 양극(+)으로 정수에 포함된 염화이온(Cl-), 황이온(S2-) 등의 음이온성 물질 등이 모이고 물분자 중 음(-)의 성격을 가진 산소(O2-)가 이온격막(25)을 통과하여 모이게 되는데 이것이 산성수가 된다.
한편, 상기한 미네랄 성분들은 장시간 전해수를 생성할 경우에 이온격막(25)에 퇴적될 수 있다. 사실, 기능수생성장치의 수명은 전극의 수명보다 이온격막의 수명에 좌우되는데, 이러한 이온격막의 수명은 미네랄이 퇴적되는 정도에 의하여 좌우된다.
제어부(80)는 전원부(70), 제1솔레노이드밸브(S1), 제2솔레노이드밸브(S2), 4-way 밸브(60)를 제어한다. 키패드(90)는 제어부(8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에 작동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정수를 생성코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키패드(90)를 조작하며 키패드(90)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80)로 전송되고, 제어부(8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닫고(off)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열게됩니다(on). 이와 같이, 제어부(80)는 외부에 설치되는 키패드(90)에 의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게 됩니다.
(1) 정수를 사용할 경우
키패드(90)를 조작하여 제어부(80)에 정수를 생성하라는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8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닫고(off),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연다(on). 그러면, 필터(10)를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정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거쳐 정수출수부(50)로 출수된다. 정수된 물은 음식을 할 때 사용되거나, 음용수로 사용된다.
(2) 알카리수를 주로 생성할 경우
키패드(90)를 조작하여 제어부(80)에 알카리수를 생성하라는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80)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열고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닫은 후, 제1전극(21)에 -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극(22)에 +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알카리수가,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산성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4-way 밸브(6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한다.
이 상태에서,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생성되는 알카리수는 4-way 밸브(60)를 경유한 후 전해수출수부(30)로 출수되고(실선으로 표시),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4-way 밸브(60)를 경유하여 오리피스(45)를 거친 후 전해수배수부(40)로 배수된다(점선으로 표시). 이때, 오리피스(45)는 흐르는 산성수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전해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전해수생성부(24)와 연결되는 오리피스(45)가 흐르는 유량을 제한하므로, 결과적으로 제1전해수생성부(23)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이 제2전해수생성부(24)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해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네랄은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제1전해수생성부(23) 보다 더 오랫동안 머물게 되고, 따라서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는 미네랄이나 이물질등이 제1전해수생성부(23) 측의 이온격막보다 더 많이 퇴적된다. 즉, 미네랄 퇴적물이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보다 많이 퇴적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네랄 퇴적물은 이온격막(25)을 손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기능수생성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퇴적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에 +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극(22)에 - 전원을 인가한 후 4-way 밸브(60)를 조작하여 경로를 변경한다. 그러면,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산성수가 생성되고,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는 알카리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산성수는 4-way 밸브(60) 및 오리피스(45)를 거쳐 전해수배수부(40)로 배수되고(점선으로 표시), 알카리수는 4-way 밸브(60)를 거쳐 전해수출수부(30)로 출수된다(실선으로 표시). 이 경우, 오리피스(45)는 4-way 밸브(60)에 의하여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연결되기 때문에, 제2전해수생성부(24)측을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이 제1전해수생성부(23)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에서 흐르는 유량에 의한 압력은 이온격막(25)에 퇴적된 퇴적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퇴적물은 전해수출수부(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이온격막(25)에 퇴적된 미네랄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3) 산성수를 사용할 경우
키패드(90)를 조작하여 제어부(80)에 산성수를 생성하라는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에 +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극(22)에 -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산성수가 생성되고,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알카리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4-way 밸브(6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한다.
이 상태에서,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4-way 밸브(60)를 경유한 후 전해수출수부(30)로 출수되고(점선으로 표시),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생성되는 알카리수는 4-way 밸브(60)를 경유하여 오리피스(45)를 거친 후 전해수배수부(40)로 배수된다(실선으로 표시). 이때, 오리피스(45)는 흐르는 알카리수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전해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전해수생성부(24)와 연결되는 오리피스(45)가 흐르는 유량을 제한하므로, 결과적으로 제1전해수생성부(23)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이 제2전해수생성부(24)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해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네랄은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 제1전해수생성부(23) 보다 더 오랫동안 머물게 되고, 따라서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미네랄이나 이물질이 제1전해수생성부(23) 측의 이온격막보다 더 많이 퇴적된다. 즉, 미네랄 퇴적물이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보다 많이 퇴적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네랄 퇴적물은 이온격막(25)을 손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기능수생성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퇴적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에 -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극(22)에 + 전원을 인가한 후 4-way 밸브(60)를 조작하여 경로를 변경한다. 그러면, 제1전해수생성부(23)에서 알카리수가 생성되고, 제2전해수생성부(24)에서는 산성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알카리수는 4-way 밸브(60) 및 오리피스(45)를 거쳐 전해수배수부(40)로 배수되고(실선으로 표시), 산성수는 4-way 밸브(60)를 거쳐 전해수출수부(30)로 출수된다(점선으로 표시). 이 경우, 오리피스(45)는 4-way 밸브(60)에 의하여 제1전해수생성부(35)와 연결되기 때문에, 제2전해수생성부(24)측을 경유하여 흐르는 유량이 제1전해수생성부(23)를 경유하는 유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전해수생성부(24) 측의 이온격막(25)에 퇴적된 퇴적물은 보다 빨리 흐르는 유량의 압력에 의하여 이온격막(25)에서 분리된 후 전해수출수부(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이온격막(25)에 퇴적된 미네랄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수생성장치에 따르면, 전해수뿐만 아니라 정수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전해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소비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온격막에 퇴적된 미네랄 퇴적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10);상기 필터(10)를 경유한 정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전해수를 생성하는 제1전극(21)이 설치된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제2전극(22)이 설치된 제2전해수생성부(24)와, 제1전해수생성부(23)와 제2전해수생성부(24)를 나누는 이온격막(25)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수생성유닛(20);상기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출수부(30);상기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나머지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배수부(40);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출수부(50);상기 제1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흐르게 하거나, 제1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40)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30)로 흐르게 변환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전해수생성유닛(20)과 상기 전해수출수부(30) 및 전해수배수부(40) 사이에 설치되는 4-way 밸브(60);상기 전해수배수부(40)에 설치되어 그 전해수배수부(40)를 경유하는 전해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오리피스(45);상기 필터(10)와 상기 전해수생성유닛(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상기 필터(10)와 상기 정수출수부(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상기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에 DC 전원을 공급하되, 그 전원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70);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생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8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0)에 작동신호를 공급하는 키패드(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생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4559U KR200330824Y1 (ko) | 2003-07-30 | 2003-07-30 | 기능수생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4559U KR200330824Y1 (ko) | 2003-07-30 | 2003-07-30 | 기능수생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0824Y1 true KR200330824Y1 (ko) | 2003-10-22 |
Family
ID=4933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4559U KR200330824Y1 (ko) | 2003-07-30 | 2003-07-30 | 기능수생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082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498B1 (ko) | 2008-12-05 | 2012-05-30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수처리 장치 |
KR20170115681A (ko) * | 2016-04-08 | 2017-10-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기능을 갖는 음용수 공급 장치 |
-
2003
- 2003-07-30 KR KR20-2003-0024559U patent/KR2003308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498B1 (ko) | 2008-12-05 | 2012-05-30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수처리 장치 |
KR20170115681A (ko) * | 2016-04-08 | 2017-10-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기능을 갖는 음용수 공급 장치 |
KR101885163B1 (ko) * | 2016-04-08 | 2018-08-06 | 삼성중공업(주) |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기능을 갖는 음용수 공급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4955B1 (ko) | 정수기 | |
KR20110127588A (ko) | 살균 정수기 | |
JP2009160503A (ja) | 整水器及びアルカリ性水の生成方法 | |
JP2006305568A (ja) | 電解槽及び該電解槽を採用したイオン浄水器及び電解槽の洗浄方法 | |
KR101542122B1 (ko) | 정수기 및 정수기 세척방법 | |
JP2005507314A (ja) | 電気分解整水器 | |
KR200330824Y1 (ko) | 기능수생성장치 | |
KR100894558B1 (ko) | 냉,온 이온수기 | |
KR100590834B1 (ko) |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 |
JP4106788B2 (ja) |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 |
KR101544377B1 (ko) | 살균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 |
KR100947760B1 (ko) | 일체형 급배수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 |
JPH10174973A (ja) |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 |
JP4462157B2 (ja) |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 |
JP3477908B2 (ja) | イオン水生成器 | |
KR20130003203A (ko) | 이온수기 | |
KR100476645B1 (ko) | 이온수용 정수기의 온수탱크 세척장치 | |
KR20050081015A (ko) | 이온수기 | |
KR100476639B1 (ko) | 이온수용 정수기의 전해조 세척장치 | |
KR100496152B1 (ko) | 전기분해수 제조장치 및 방법 | |
JP4572901B2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3132048U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3733476B2 (ja) |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 |
JPH06343962A (ja) |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 |
KR200330803Y1 (ko) | 농업용 이온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