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704Y1 -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 Google Patents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704Y1
KR200330704Y1 KR20-2003-0024384U KR20030024384U KR200330704Y1 KR 200330704 Y1 KR200330704 Y1 KR 200330704Y1 KR 20030024384 U KR20030024384 U KR 20030024384U KR 200330704 Y1 KR200330704 Y1 KR 200330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aka
coupled
end ca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왕근
Original Assignee
오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왕근 filed Critical 오왕근
Priority to KR20-2003-0024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13Nail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에 관한 것으로, 타카장치에서 타카못을 수납시키는 메가진의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결합해제시키기 위해 걸쇠편을 수납함의 측면에 부착하고, 수납함커버의 하단에는 후크가 회동 가능하게 내설된 엔드캡을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수평장력에 의해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력을 증강시켜 대형 타카장치에 사용하여도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가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실린더에 끼워져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의 타봉으로 타카못을 타압하도록 하며, 그 타카 몸체의 전방부 하단으로 연결되어 타카못을 수납할 수 있게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로 이루어진 메가진과; 브라켓에 의해 메가진 하단부와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연결부에 장착된 방아쇠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 피스톤이 유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타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 형성된 제 1 결합홈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핀을 매개로 결합되며, 그 형상이 ""자 형태를 가지며, 연장된 후단에 눌름편이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후크와;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 내설되어 후크에 압축력을 발생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과 후크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을 후크에 전달하는 푸셔와;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된 걸쇠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메가진을 구성하는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가 결합되고, 해제될 때 그 후크와 결합되는 걸쇠편이 수평장력을 받게 되므로 그 결합이 종래의 타카장치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되므로 대형 타카장치 등에 사용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걸쇠편이 브라켓 하단부에 있어 사용시 손을 다칠 염려가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LOCKING STRUCTURE OF A END-CAP FOR A TACKER APPARATUS}
본 고안은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타카장치에서 타카못을 수납시키는 메가진의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결합해제시키기 위해 걸쇠편을 수납함의 측면에 부착하고, 수납함커버의 하단에는 후크가 회동 가능하게 내설된 엔드캡을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수평장력에 의해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력을 증강시켜 대형 타카장치에 사용하여도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가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 공압식 타카(Tacker)-스테플러(Stapler),네일러(Nailer), 핀너(Pinner)-는 목재나 연질 플라스틱 등의 고정물에 얇은 목재 판재나 직물등의 소재를 핀, 스테플, 못을 이용하여 취부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신속 간편하고 부착력이 견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 타압용 타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린더(도시 생략)에 끼워져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의 타봉으로 타카못을 타압하도록 하는 공압식 타카에 있어서, 상기 타카못이 인출되는 출구와 타봉(일명, 피스톤 드라이버)의 타압면 면적과 모양을 타카못의 수평 눌림부의 면적 및 모양과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즉,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타봉을 전진시키는 구성은 몸체(1)의 내부에 구성되어져 있으며, 몸체(1)의 후단에는 몸체 커버(2)가 구성되고, 다수의 타카못을 장전하는 메가진(3)이 몸체(1)의 전방부 하단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메가진(3)의 상단 가이드(4)가 몸체(1)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메가진(3)에서 순차적으로 상승되는 타카못이 발사되게 되는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6은 타카못 장전을 위한 걸쇠부이며, 7은 상기 메가진(3)의 하단부 지지를 위해 메가진(3)과 손잡이(8)에 각각 그 양단에 결합되어져 있는 브라켓을 나타낸다.
이러한 타카류는 압축공기가 실린더 내로 유입되어 실린더내에 있는 피스톤에 압력이 작용하여 피스톤이 전진하게 되고, 운동을 하는 피스톤은 메가진(3)에 장착되어 있는 핀이나 스테플러, 타카못 등을 가이드(4)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발사되게 한다.
상기한 종래의 타카장치의 메가진(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9)과 수납함 커버(10)로 구성되어지며, 수납함(9)의 상부는 가이드(4)에 고정이 되고 하부는 브라켓(7)에 고정이되며 수납함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수납함 커버(10)를 수납함(9)에 대해 개폐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엔드캡(11)이 제공된다. 엔드캡(11)은 핀(14)과 핀 고정링(15)에 의해 브라켓(7)에 조립된 걸쇠편(12)과 걸쇠편 안쪽으로 핀(14)에 끼워진 스프링(13)의 장력으로 수납함 커버(10)에 조립된 엔드캡(1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타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가진(3)의 수납함(9)에 상기 걸쇠편(12)을 고정시키고, 수납함(9)에 타카못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함 커버(10)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면 수납함 커버(10)의 종단에 위치한 엔드캡(11)이 걸쇠편(12)을 가압하여 벌어지게 하면서 그 걸쇠편(12)이 엔드캡(12)에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으로 이동하는 엔드캡(11)을 걸쇠편(12)이 스프링(13)의 장력에 의해 고정함에 있어서, 걸쇠편(12)이 내측 외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그 엔드캡(11)과 걸쇠편(12) 사이에 끼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타카장치가 대형인 경우 수납함(9)에 장착된 타카못을 밀어주는 수납함 커버(10) 안쪽에 위치한 스프링의 장력이 커짐에 따라 엔드캡(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쇠편(12)에 조립되어지는 스프링(13)의 장력 또한 커져서 이러한 대형 타카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더 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프링(13)은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걸쇠편(12)의 회전력을 통제하기 위한 회전 장력이 작용되므로, 이러한 회전 장력이 작용하는 스프링(13)으로는 중량이 큰 대형 타카장치의 타카못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적은 힘이나 충격만으로도 상기 메가진(3)의 수납함 커버(10)가 수납함(9)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타카장치에서 타카못을 수납시키는 메가진의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결합/결합해제시키기 위해 걸쇠편을 수납함의 측면에 부착하고, 수납함커버의 하단에는 후크가 회동 가능하게 내설된 엔드캡을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수평장력에 의해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력을 증강시켜 대형 타카장치에 사용하여도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가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초기, 진행, 잠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를 이용한 초기, 진행, 잠금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수납함, 10:수납함 커버,
11':엔드캡, 12':걸쇠편,
13':코일스프링, 19:후크,
20:제 1 결합홈, 22:제 2결합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에 끼워져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의 타봉으로 타카못을 타압하도록 하며, 그 타카 몸체의 전방부 하단으로 연결되어 타카못을 수납할 수 있게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로 이루어진 메가진과; 브라켓에 의해 메가진 하단부와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연결부에 장착된 방아쇠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 피스톤이 유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타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 형성된 제 1 결합홈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핀을 매개로 결합되며, 그 형상이 ""자 형태를 가지며, 연장된 후단에 눌름편이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후크와;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 내설되어 후크에 압축력을 발생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과 후크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을 후크에 전달하는 푸셔와;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된 걸쇠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쇠편의 제 2 결합홈 하단에는 빗면이 형성되어져 상기 수납함커버가 상기 수납함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납함커버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의 후크가 그 빗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되어 벌어지면서 제 2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를 이용한 잠금, 해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메가진은 타카못을 그 내부에 수납하여 순차적으로 발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메가진은 크게 수납함(9)과 수납함 커버(10)로 구성된 탄창 형태의 수납부재이다.
상기 수납함 커버(10)의 하단 측면 소정부에는 엔드캡(11')이 고정되어져 구성되는 바, 엔드캡(11')은 그 내부에 후크(19)가 착탈 가능한 단일의 부재로 고정핀(1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되며, 제 1 결합홈(20)을 통해 후크(19)가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다. 상기 고정핀(16)은 제 1 결합홈(20)에 상기 후크(19)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엔드캡(11')의 내부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3') 및, 그 압축코일 스프링(13')과 후크(19)의 사이에 매개하여 압축코일 스프링(13')의 인장력을후크(19)측으로 전달하는 푸셔(23)가 내설되어져 있으며, 그 후단에 상기 후크(19)가 내설되게 된다. 따라서, 후크(19)는 외력에 의해 압축코일 스프링(13')을 가압/가압해제되면서 일정 각도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9)의 하단 측면에는 브라켓(7)의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브라켓(7)의 타단은 손잡이(도 1참조, 8)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수납함(9)을 견실하게 고정시킨다. 그 브라켓(7)에는 나사 등에 의해 걸쇠편(12')이 결합되어져 있는 바, 그 걸쇠편(12')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19)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22)이 각설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걸쇠편(12')의 제 2 결합홈(22) 하단에는 빗면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수납함커버(10)가 상기 수납함(9)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납함커버(10)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11')의 후크(19)가 그 빗면을 따라 벌어지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홈(22)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후크(19)가 제 2 결합홈(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19)와 연장된 눌름편을 눌러주면 상기 후크(19)가 일정 각도회전되면서 상기 제 2 결합홈(22)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 후크(19)가 제 2 결합홈(2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함커버(10)를 하방으로 잡아 내리면 수납함커버(10)가 수납함(9)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이러한 타카장치의 메가진 구조는 메가진을 구성하는 수납함(9)에 대해 수납함 커버(10)가 결합 및, 해제될 때 그 후크(19)와 결합되는 걸쇠편(12')이 수평장력을 받게 되므로 그 결합이 종래의 타카장치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되므로 대형타카장치 등에 사용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는 메가진을 구성하는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가 결합되고, 해제될 때 그 후크와 결합되는 걸쇠편이 수평장력을 받게 되므로 그 결합이 종래의 타카장치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되므로 대형 타카장치 등에 사용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걸쇠편이 브라켓 하단부에 있어 사용시 손을 다칠 염려가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실린더에 끼워져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의 타봉으로 타카못을 타압하도록 하며, 그 타카 몸체의 전방부 하단으로 연결되어 타카못을 수납할 수 있게 수납함과 수납함 커버로 이루어진 메가진과; 브라켓에 의해 메가진 하단부와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연결부에 장착된 방아쇠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 피스톤이 유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타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 형성된 제 1 결합홈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핀을 매개로 결합되며, 그 형상이 ""자 형태를 가지며, 연장된 후단에 눌름편이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후크와;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 내설되어 후크에 압축력을 발생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과 후크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을 후크에 전달하는 푸셔와;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된 걸쇠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편의 제 2 결합홈 하단에는 빗면이 형성되어져 상기 수납함커버가 상기 수납함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납함커버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의 후크가 그 빗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되어 벌어지면서 제 2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 구조.
KR20-2003-0024384U 2003-07-28 2003-07-28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KR200330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84U KR200330704Y1 (ko) 2003-07-28 2003-07-28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84U KR200330704Y1 (ko) 2003-07-28 2003-07-28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704Y1 true KR200330704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384U KR200330704Y1 (ko) 2003-07-28 2003-07-28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1B1 (ko) 2005-05-17 2006-12-27 제일타카 주식회사 코일 네일러의 도어 래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1B1 (ko) 2005-05-17 2006-12-27 제일타카 주식회사 코일 네일러의 도어 래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9924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6170729B1 (en) Nailing depth adjusting device for a power nailer
US8267295B2 (en) Combustion powered nail gun having safety mechanism
TWI468266B (zh) 以彈簧致動之鉗式釘書機
US7413105B1 (en) Pushing device of drawer type magazine for nail gun
KR100778930B1 (ko) 개량형 안전수단이 구비된 타정장치
US11766772B2 (en) Hammer tacker
DE69230669D1 (de) Handbetätigte pistole zum klammern
FI99093C (fi) Ruutikäyttöinen iskulaite
US7975892B2 (en) Magazine front end retaining structure for hammer tacker
KR200330704Y1 (ko)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TW201336636A (zh) 獨立觸發的打釘槍
KR100593461B1 (ko)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US20070187451A1 (en) Pliers type stapler
KR200327882Y1 (ko) 타카장치의 엔드캡 잠김구조
KR200355741Y1 (ko) 타카장치의 엔드캡 락킹구조
US6641020B1 (en) Nail box device for a nailing gun
KR200392428Y1 (ko) 에어타카
US20220274236A1 (en) Slap hammer with cap dispenser
US20070187450A1 (en) Pliers type stapler
KR100661591B1 (ko) 코일 네일러의 도어 래치 구조
US20080105724A1 (en) Nailer having nail suspending device
KR200334114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타카장치
EP1839818B1 (en) Staple gun with a latch assembly
KR101084015B1 (ko)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