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60Y1 -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 Google Patents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60Y1
KR200330460Y1 KR20-2003-0024723U KR20030024723U KR200330460Y1 KR 200330460 Y1 KR200330460 Y1 KR 200330460Y1 KR 20030024723 U KR20030024723 U KR 20030024723U KR 200330460 Y1 KR200330460 Y1 KR 200330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showcase
opening
cover
ro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2003-0024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는, 내부에 보관된 물품에 냉기를 토출하는 저장실과, 이 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내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와 차단하는 것으로서, 저장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기계실의 내부를 차단하는 본체와,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응축수 배수통을 기계실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수통에 대응하는 본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통 개폐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그릴;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에 의하면, 기계실 커버를 저장실의 전면에 고정시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스위치도 용이하게 개폐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Machine room cover for show case}
본 고안은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보관된 식품 및/또는 음료수 등에 냉기를 토출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개폐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하는 식품이나 음료수 등을 진열 및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로서,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차단하여 저장된 물품을 저온 상태로 유지 및 보존하여야 하며, 특히 내부에 진열된 물품을 소비자에게 산뜻하고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냉동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열역학적 성질을 가진 냉매를 폐회로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 내로 이동시켜 기화할 때 주위로부터 기화잠열을 빼앗아 주위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장시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쇼케이스 및 이에 사용되는 기계실 커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쇼케이스(1)는, 판매용 식품 및/또는 음료수 등과 같이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2)과, 이 저장실(2)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계실(3)을 구비한다. 상기 기계실(3)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역학적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용 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기계실(3)의 내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통(4)과, 전기구동을 위한 전원 스위치(5)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6) 및 그 구동모터(7) 등이 배치되며, 기계실(3)의 전면에는 그 기계실(3)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기계실 커버(8)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기계실 커버(8)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에 부착된 자석(9)을 이용하여 기계실(3)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쇼케이스에 있어서는, 상기 기계실(3)로부터 기계실 커버(8)를 인력(人力)으로 떼어낸 후, 상기 증발기로부터 응축된 응축수가 고인 응축수 배수통(4)을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기계실(3) 외부로 인출하여 버려 주어야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5)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때에도 상기 기계실(3)로부터 기계실 커버(8)를 인력(人力)으로 떼어낸 후 전원 스위치(5)를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3) 내에는 냉각팬(6) 및 그 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실 커버(8)를 떼어낸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어서, 근래 관심이 고조된 제조물 책임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을 수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쇼케이스 및 이에 사용되는 기계실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기계실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개폐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도 2에 도시된 기계실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쇼케이스 20...저장실
30...기계실 31...응축수 배수통
32...냉각팬 33...구동모터
34...전원 스위치 100...기계실 커버
110...프레임 120...그릴
121...본체 122...배수통 개폐부
123a,123b...스위치 개폐부 124,127...고정돌기
125a,125b,128...안착부 126...절개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는,내부에 보관된 물품에 냉기를 토출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쇼케이스의 상기 기계실 내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와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계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기계실의 내부를 차단하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응축수 배수통을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 배수통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통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그릴;을 구비한다.
상기 그릴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를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계실의 전면에 볼트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릴은, 상기 배수통 개폐부가 상기 응축수 배수통을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차단한 때 그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배수통 개폐부의 적어도 일측의 대향면 중 선택된 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양측 부분은 절개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개폐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개폐부는 그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 및 이에 고정된 기계실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기계실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쇼케이스(10)는, 판매용 식품 및/또는 음료수 등과 같이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20)과, 이 저장실(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계실(30)을 구비한다. 상기 기계실(3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역학적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과 같은공기조화용 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30)의 내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통(31)과, 쇼케이스(10)를 전기 구동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34)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32) 및 그 구동모터(33)가 배치되며, 상기 기계실(30)의 전면(30a)에는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그 기계실(3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기계실 커버(1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계실 커버(100)는, 상기 기계실(30)의 전면(30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110)과, 이러한 프레임(110)의 내측에 고정되는 그릴(120)을 구비한다.
상기 그릴(120)은 기계실(30)의 내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121)와, 상기 기계실(30)의 내부에 배치된 응축수 배수통(31)을 기계실(30)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그 응축수 배수통(31)에 대응하는 본체(121)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통 개폐부(12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10)은, 종래와 동일하게, 자석(140;도 5)에 의한 자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기계실(30)의 전면(30a)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0)에 의하여 기계실(30)의 전면(30a)에 볼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그릴(120))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 개폐부(122)가 응축수 배수통(31)을 기계실(30)의 외부와 차단한 때 그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으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릴(120)의 배수통 개폐부(122)의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122a,122b)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24)와, 이 고정돌기(124)와 대향하는 그릴(120)의 본체(121)의 대향면(121a,121b)에 상기 고정돌기(1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고정돌기(124)에 대응하여 함몰된 안착부(125a)일 수 있다.
다만, 도 6a에 도시된 상기 고정돌기(124)의 돌출 위치와 안착부(125a)의 형성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27)가 본체의 적어도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양측면(121a,121b)에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돌기(127)에 대응하는 안착부(128)가 상기 배수통 개폐부(122)의 대향면(122a,122b)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2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그 고정돌기(124)가 안착되는 안착부(125b)의 양측 부분에는 절개된 절개부(12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124)가 안착부(125b)에 안착될 때 그 안착부(125b)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도, 도 6c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고정돌기는 본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상기 배수통 개폐부의 대향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가 상기 배수통 개폐부의 대향면에 형성된 안착부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그릴(12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30)의 내부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34;도 2)를 기계실(30)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그 전원 스위치(34)에 대응하는 본체(121)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 개폐부(123a,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개폐부(123a)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34)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개폐부(123b)는 그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34)를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10)의 기계실 커버(100)의 작용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 커버(100)는, 바람직하게는 볼트(130)에 의하여 기계실(30)의 전면(30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 커버(100)가 볼트(130)에 의해 기계실(30)의 전면(30a)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기계실(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은 그릴(120)을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한편, 기계실(30) 내의 증발기로부터 응축된 응축수가 응축수 배수통(34)에 가득차게 되면 이를 외부로 버려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인력(人力)으로 기계실 커버(100)를 기계실(30) 전면(30a)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 없이, 단지 그릴(120)의 배수통 개폐부(122)를 개방하고, 이렇게 개방된 배수통 개폐부(122)를 통해 응축수 배수통(34)을 기계실(30) 외부로 인출하여 응축수를 버린 후, 다시 기계실(30) 내의 제 위치로 놓음으로써, 간단하게 응축수의 배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쇼케이스(1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31)를 온 또는 오프시켜야 할 경우, 스위치 개폐부(123a)를 개방하여 원하는 작업을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다시 스위치 개폐부(123a)를 차단함으로써 원하는 전원 스위치(31)의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응축수의 배수 작업과 전원 스위치(31)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기계실 커버(100)가 기계실(10)의 전면(30a)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기계실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위험 요소들, 예를 들면 회전하는 냉각팬 또는 그 구동 모터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기계실 커버를 기계실의 전면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응축수의 배수 및 전원 스위치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해진다.
둘째, 외부로부터 기계실을 차단한 상태에서 응축수의 배수 및 전원 스위치의 작동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보관된 물품에 냉기를 토출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쇼케이스의 상기 기계실 내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와 차단하는 기계실 커버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기계실의 내부를 차단하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응축수 배수통을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 배수통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통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그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를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계실의 전면에 볼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배수통 개폐부가 상기 응축수 배수통을 상기 기계실의 외부와 차단한 때 그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개폐부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배수통 개폐부의 적어도 일측의 대향면 중 선택된 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양측 부분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개폐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개폐부는 그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KR20-2003-0024723U 2003-07-31 2003-07-31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KR200330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23U KR200330460Y1 (ko) 2003-07-31 2003-07-31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23U KR200330460Y1 (ko) 2003-07-31 2003-07-31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460Y1 true KR200330460Y1 (ko) 2003-10-17

Family

ID=4941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723U KR200330460Y1 (ko) 2003-07-31 2003-07-31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87B1 (ko) * 2013-12-18 2015-06-0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그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87B1 (ko) * 2013-12-18 2015-06-0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그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4868B1 (en) Refrigerator
KR20140137354A (ko) 냉장 기기를 위한 얼음 제조기
CA2162307A1 (en) Air baffle for a refrigerator
KR20050026740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70111530A (ko) 모듈형 냉장 카세트
CA245131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US11994322B2 (en) Refrigerator
KR200330460Y1 (ko) 쇼케이스의 기계실 커버
CN112839548A (zh) 用于饮料和食物产品的冷藏器
KR100719250B1 (ko) 분할된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
CN103486813B (zh) 冰箱
JP3145224B2 (ja) 冷却貯蔵庫
CN106225375B (zh) 冷热储物柜的控制方法
KR20060096533A (ko) 냉장실도어
AU2017100278A4 (en) A refrigeration cassette and refrigerator unit
KR20000034726A (ko)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JP2006105479A (ja) 自動製氷機及び自動製氷機を備えた冷凍冷蔵庫
JP5367403B2 (ja) 冷却貯蔵庫
KR101446495B1 (ko) 냉장고
KR100697469B1 (ko) 김치냉장고
JP2005282897A (ja) 冷蔵庫
CN214371238U (zh) 一种柜门及冷柜
JP2002107050A (ja) 冷蔵庫
KR200379303Y1 (ko) 바트냉장고의 냉각구조
JPH0729410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