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313Y1 - 필기구통 - Google Patents

필기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313Y1
KR200330313Y1 KR20-2003-0015041U KR20030015041U KR200330313Y1 KR 200330313 Y1 KR200330313 Y1 KR 200330313Y1 KR 20030015041 U KR20030015041 U KR 20030015041U KR 200330313 Y1 KR200330313 Y1 KR 200330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air
air bag
outer shel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모
Original Assignee
김용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모 filed Critical 김용모
Priority to KR20-2003-0015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외부충격 및 낙하 등에 의해서 필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통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내부공간(45)을 형성하는 통형의 외피(50)와, 외피(5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양측피(60)와, 필기구를 출입시키는 지퍼(70)를 구비한다. 외피(50)는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백(51)과, 에어백(51)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주입구(54) 및 주입구(54)를 개폐시키는 마개(55)를 구비한다. 주입구(54) 및 마개(55)는 외피(5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시킬 수 있으나, 내측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51)은 일정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열융착선(53)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된 공간은 상호 연결하여 통하도록 에어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54)를 통하여 각 분할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기구통은 에어백에 공기를 충전시킴으로써 완충작용으로 낙하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서 내부공간에 보관되는 필기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기구통의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금속핀 등을 필기구통의 측피의 자석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학습활동을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필기구통{pencil case}
본 고안은 필기구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외주면에 에어백을 형성하여서 낙하 또는 외부충격에도 불구하고 내부에 보관된 필기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 볼펜 등의 필기구를 보관하는 필기구통은 플라스틱, 금속또는 직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필기구통들은 사용시에 내부에 보관된 필기구들을 보관/저장할 수 있도록 하지만, 책상으로부터 낙하되거나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내부에 보관된 필기구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필의 연필심은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부러짐이 발생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11766호에는 연필심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봉제필통이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봉제필통은 연필 등의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부(10)를 구비하며, 이 필기구 수납부(10)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에 부착되며 연필 등의 필기구를 수납하여 필기구의 심을 보호하기 위한 필기구 꽂이(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봉제필통은 연필 등의 필기구를 필기구 꽂이(3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필심의 부러짐을 방지시킬 수 있으나, 필기구 꽂이(30)의 설치갯수가 제한적이므로 보관가능한 필기구수가 적으며 또한, 필기구를 보관시에는 각 필기구꽂이(30)에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낙하 또는 외부충격에도 불구하고 내부에 보관된 필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측 또는 외측에 금속핀 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필기구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필기구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필기구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필기구통 50...외피
51...에어백 52...에어통로
53...열융착선 54...주입구
55...마개 60...측피
70...지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양측피와, 필기구를 출입시키는 지퍼를 가지는 필기구통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은 일정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열융착선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된 공간은 상호 연결하여 통하도록 되어서, 상기 주입구를 통 하여 각 분할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피에는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필기구통의 외피는 에어백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충격이나 낙하 등에 의해서도 내부의 필기구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필기구통(40)을 나타낸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내부공간(45)을 형성하는 통형의 외피(50)와, 상기 외피(5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양측피(60)와, 필기구를 출입시키는 지퍼(70)를 구비한다.
상기 외피(50)는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백(51)과, 상기 에어백(51)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주입구(54) 및 상기 주입구(54)를 개폐시키는 마개(55)를 구비한다.
상기 주입구(54) 및 마개(55)는 외피(5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시킬 수있으나, 내측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51)은 일정공간으로 구획되도록 고주파가열에 의한 열융착선(53)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된 공간은 상호 연결하여 통하도록 에어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54)를 통하여 각 분할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피(6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10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피(6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서 그 사이에 자석(100)이 내장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필기구통(40)은 주입구(54)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키면, 에어통로(52)를 통하여 인접한 에어백(51)들에 에어가 충전되어 팽창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필기구통(40)은 지퍼(7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내부공간(45)에 보관되는 필기구들은 에어백(51)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중으로 형성된 측피(60)에 수용된 자석(100)에 의해서 필기구통(40)의 측피(60)에 금속핀(미도시)등을 부착시켜 둘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외피(50)는 투명소재로 형성하여서 내부공간(45)에 보관된 필기구들을 지퍼(70)를 열지 아니하고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지퍼(70)의 가장자리는 외피(50)에 고주파가열로 접합시킬 수 있으며, 재봉에 의해서도 연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봉제필통의 내부에 별도로 필기구꽂이를 마련하였던 것과는 달리, 에어백에 공기를 충전시킴으로써 완충작용으로 낙하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서 내부공간에 보관되는 필기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기구통의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금속핀 등을 필기구통의 측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학습활동을 편리하게 한다.

Claims (3)

  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양측피와, 필기구를 출입시키는 지퍼를 가지는 필기구통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일정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열융착선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된 공간은 상호 연결하여 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피에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통.
KR20-2003-0015041U 2003-05-15 2003-05-15 필기구통 KR200330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41U KR200330313Y1 (ko) 2003-05-15 2003-05-15 필기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41U KR200330313Y1 (ko) 2003-05-15 2003-05-15 필기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313Y1 true KR200330313Y1 (ko) 2003-10-17

Family

ID=4941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041U KR200330313Y1 (ko) 2003-05-15 2003-05-15 필기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3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105A (en) Removable cap of writing instrument
KR200330313Y1 (ko) 필기구통
KR200394466Y1 (ko) 베개 겸용 필통
KR200185047Y1 (ko) 포켓 휴대용 정제 케이스
KR200276175Y1 (ko) 안경케이스 일체형 필통
JP2012224388A (ja) 筆記具レフィル収納体
KR200311766Y1 (ko) 봉제필통
US3051133A (en) Container for ball-point insert
KR200310364Y1 (ko) 필통
KR200345704Y1 (ko) 프린터 카트리지 보관용 케이스
JP2013086341A (ja) 筆記具レフィル収納体
KR200224875Y1 (ko) 필통
KR200433742Y1 (ko) 휴대용 필기구의 캡
KR200322509Y1 (ko) 다색펜
KR200277829Y1 (ko) 펜꽂이
KR200292870Y1 (ko)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KR200270541Y1 (ko) 손가락 볼펜
KR200283974Y1 (ko) 양방향 필기구
KR200190298Y1 (ko) 필기구용 받침대
KR200289166Y1 (ko) 컴팩트 디스크보관함이 구비된 가방
KR200232216Y1 (ko)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
CA2004963A1 (en) Cap of writing materials
JP2000272287A (ja) 筆記具
KR960001798Y1 (ko) 필통
KR200297119Y1 (ko) 씨디케이스가 구비된 다이어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