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870Y1 -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 Google Patents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870Y1
KR200292870Y1 KR2020020020596U KR20020020596U KR200292870Y1 KR 200292870 Y1 KR200292870 Y1 KR 200292870Y1 KR 2020020020596 U KR2020020020596 U KR 2020020020596U KR 20020020596 U KR20020020596 U KR 20020020596U KR 200292870 Y1 KR200292870 Y1 KR 200292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ember
magnet
opening
closing l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규
Original Assignee
한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규 filed Critical 한용규
Priority to KR2020020020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870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를 수납하는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고,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이 구비된 개폐뚜껑(2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단속판(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자석삽입홈(30)을 형성하고, 이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끼워 결합시켜, 상기 개폐뚜껑(20)이 닫혔을 경우 개폐뚜경의 단속판(21)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된 자석(4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뚜껑(20)에 구비되는 금속재의 단속판(21)을 단속하는 자력이 증대되고, 별도의 금속판(60)이 필요 없으므로, 케이싱부재(10)의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제품의 상품성과 경제성등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PENCIL CASE HAVING A MAGNET AS LOCKING METHOD}
본 고안은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통의 개폐뚜껑을 단속하는 록킹수단으로 사용되는 자석을 보다 효율적으로 장착하여 공간활용성과 자력이 증대되고,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문구의 한 품목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를 수납하여 사용하며, 각종 필기구들이 각각 놓여졌을 경우에 따른 분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통은, 사각함체 형상의 몸체 내부에 수납홈을 형성하여, 이 수납홈에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보관하여 휴대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필기구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싱부재와 이 케이싱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뚜껑의 일측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케이싱부재를 상기 힌지부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즉, 개폐뚜껑이 힌지부로 케이싱부재에 고정되어 이 케이싱부재의 수납홈에 필기구를 보관하거나 인출할 경우 상기 개폐뚜껑을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케이싱부재를 개, 폐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재와 개폐뚜껑에는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이 개폐뚜껑의 개폐를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은 사용자가 개폐가 용이하고,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자석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하는 필통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이 케이싱부재(10)의 전면 일측에 내장되고, 이 자석(40)의 양측에는 금속판(60)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일부분 돌출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개폐뚜껑(20)에는 내측면에 상기 금속판(60)에 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을 구비시킨다.
즉, 상기 개폐뚜껑(20)에 구비된 단속판(21)이 케이싱부재(10)내에 내장된 자석(40)의 자력이 전달된 금속판(60)에 부착되므로서, 개폐뚜껑(2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자력이상의 힘을 가하여 개폐뚜껑(20)을 들어올리면 개폐뚜껑(20)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하는 필통은 자석이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내장되고, 자석의 자력이 금속판을 통해서 전달되어 개폐뚜껑의 단속판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중에 자석의 자력이 저하되면, 금속판을 통해서 전달되어 개폐뚜껑을 단속하는 자력은 더욱 급격히 저하되어, 약한 힘에도 개폐뚜껑이 열려 수납홈에 내장된 필기구등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자석 이외의 금속판이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야 하므로, 케이싱부재의 공간이 줄어들뿐아니라,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필통의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석으로 직접 개폐뚜껑의 단속판을 부착시키도록 하여 단속판을 단속하는 자력이 증대되고, 별도의 금속판이 필요 없으므로, 케이싱부재의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록킹수단으로 자석을 사용한 필통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싱부재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싱부재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필통 10 - 케이싱부재
11 - 수납홈 12 - 제 2 수납홈
13 - 가로판 20 - 개폐뚜껑
21 - 단속판 30 - 자석삽입홈
40 - 자석 50 - 제 2 개폐뚜껑
52 - 제 2 단속판 60 - 금속판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필기구를 수납하는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고,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이 구비된 개폐뚜껑(2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단속판(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자석삽입홈(30)을 형성하고, 이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끼워 결합시키므로서 달성된다.
즉, 상기 개폐뚜껑(20)이 닫혔을 경우 개폐뚜경의 단속판(21)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된 자석(4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자석(40)에 별도의 금속판(60)을 부착하여 이 금속판(60)으로 자력을 전달시키지 않고, 자석(40)에 직접 단속판(21)이 부착되므로,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 폐쇄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중에 자력의 저하로 인해 약한 힘에도 개폐뚜껑(20)이 열려 수납홈(11)에 내장된 필기구등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개폐뚜껑이 개방된 상태이고, 자석삽입홈에 자석이 끼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케이싱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납홈과 제 2 수납홈이 형성되어, 수납홈은 개폐뚜껑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고, 제 2 수납홈은 제 2 개폐뚜껑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싱부재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개폐뚜껑이 열려 수납홈이 개방된 상태이고, 케이싱부재의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부 일측에 상기 단속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자석삽입홈을 형성되어 자석이 이 자석삽입홈에 끼워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싱부재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제 2 개폐뚜껑이 열려 제 2 수납홈이 개방된 상태이고, 케이싱부재의 하부에 자석삽입홈이 형성되고, 자석이 이 자석삽입홈에 끼워 결합되어 제 2 개폐뚜껑의 개폐를 단속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개폐뚜껑(20)을 단속하는 록킹수단으로 자석(40)을 이용한 필통(1)에 관한 것이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석(40)을 록킹수단으로 사용하는 필통(1)은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개폐뚜껑(20)의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이 구비되어 개폐뚜껑(20)이 닫힐 경우 단속판(21)이 후술될 자석(40)에 부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개폐뚜껑(20)이 닫힐 경우 단속판(21)이 직접 자석(40)의 일면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케이싱부재(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개폐뚜껑(20)이 닫힐 경우 단속판(2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삽입홈(30)을 형성하여, 이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을 일면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억지끼움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홈(3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한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을 억지끼움으로 결합시켜 더욱 강하게 개폐뚜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납홈(11)에 내장된 필기구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뚜껑(20)이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을 폐쇄할 경우 이 개폐뚜껑(20)에 구비된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이 자석(4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종래의 자석(40)에 금속판(60)을 부착시켜, 자력이 전이된 이 금속판(60)에 개폐뚜껑(20)의 단속판(21)이 부착될 경우 보다 단속판(21)을 록킹시키는 자력의 힘이 강력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통(1)을 장기간 사용중에 자석(40)의 자력이 저하되면 종래의 자석(40)에 금속판(60)을 부착시켜 이 금속판(60)에 자력을 전달하여 단속판(21)을 록킹하므로, 저하된 자력이 금속판(60)을 통하여 전달되면서 더욱 약해지는 반면에 본 고안은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의 금속재질의 단속판(21)에 직접 부착되므로 저하되는 자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견고히 록킹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금속판(60)을 부착시키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케이싱 부재내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은 가로판(13)에 의하여 상, 하로 분리되어 하부에 제 2 수납홈(12)이 형성되고, 이 제 2 수납홈(12)을 개폐하고, 금속재질의 제 2 단속판(52)이 구비된 제 2 개폐뚜껑(50)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재(10)에 설치되고, 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 2 단속판(5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자석삽입홈(30)을 형성하고, 이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끼워 결합시킨다.
즉,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싱부재(10)는 수납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가로막을 구비하여, 하부에 제 2 수납홈(12)을 형성하고, 이 제 2 수납홈(12)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 2 개폐뚜껑(50)이 설치되므로, 이 제 2 개폐뚜껑(50)을 단속하기 위하여 자석(40)에 제 2 개폐뚜껑(50)의 금속재질의 제 2 단속판(52)이 직접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개폐뚜껑(20)이 자석(40)에 직접 부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고, 수납홈(11)이 분리되어 각각 개폐뚜껑(20)을 구비할 경우에도 본 고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자석(40)으로 직접 개폐뚜껑(20)의 단속판(21)을 부착시키도록 하여 단속판(21)을 단속하는 자력이 증대되고, 별도의 금속판(60)이 필요 없으므로, 케이싱부재(10)의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상품성과 경제성등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필기구를 수납하는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케이싱부재(10)의 수납홈(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고,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금속재질의 단속판(21)이 구비된 개폐뚜껑(2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단속판(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자석삽입홈(30)을 형성하고, 이 자석삽입홈(30)에 자석(40)의 일면이 케이싱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끼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KR2020020020596U 2002-07-09 2002-07-09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KR200292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96U KR200292870Y1 (ko) 2002-07-09 2002-07-09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96U KR200292870Y1 (ko) 2002-07-09 2002-07-09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870Y1 true KR200292870Y1 (ko) 2002-10-25

Family

ID=7307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596U KR200292870Y1 (ko) 2002-07-09 2002-07-09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4819A1 (en) Case binder with living hinge
KR200292870Y1 (ko) 자석을 록킹수단으로 가지는 필통
US20050045628A1 (en) Cosmetic container
US20090045079A1 (en) Optical casing with skylight arrangement
KR100944452B1 (ko) 필기구 홀더 및 필기구 홀더가 구비된 서적
KR200156775Y1 (ko) 필통
JPH0421117Y2 (ko)
KR200276175Y1 (ko) 안경케이스 일체형 필통
KR200310364Y1 (ko) 필통
KR200384614Y1 (ko) 필통
JPH1031985A (ja) 電池蓋のロック構造
KR200275457Y1 (ko) 필통
KR200217705Y1 (ko) 필통이 부설된 노트
KR200184887Y1 (ko) 필통
KR200290324Y1 (ko) 메모함.
JP2012091431A (ja) 替芯ケース
KR200190298Y1 (ko) 필기구용 받침대
KR900004442Y1 (ko) 명함식 볼펜
KR200343959Y1 (ko) 다이어리 잠금장치
KR200208911Y1 (ko) 필통
KR200429410Y1 (ko) 측면 슬라이드 케이징을 구비한 다단식 필통
KR200343960Y1 (ko) 다이어리 잠금장치
KR970001909Y1 (ko) 직선자가 부설된 필통
KR200229202Y1 (ko) 필통
KR200264751Y1 (ko) 원터치 개방형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