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798Y1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798Y1
KR960001798Y1 KR2019930031096U KR930031096U KR960001798Y1 KR 960001798 Y1 KR960001798 Y1 KR 960001798Y1 KR 2019930031096 U KR2019930031096 U KR 2019930031096U KR 930031096 U KR930031096 U KR 930031096U KR 960001798 Y1 KR960001798 Y1 KR 960001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ase
pencil
wall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418U (ko
Inventor
정덕호
Original Assignee
정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호 filed Critical 정덕호
Priority to KR2019930031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798Y1/ko
Publication of KR950016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통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케이스 20 : 하부케이스
30 : 보관함 40 : 구획부
본 고안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함실의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여 여러종류의 필기구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필통은, 학습에 필요한 연필이나 볼펜 및 클립 압핀,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도구들을 수납하기 위한 보관 케이스이다.
종래 알려진 필통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3-91753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펜들을 끼워 보관하기 위한 상사체가 하부케이스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토록 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연필 및 볼펜과 같은 필기구들은 상자체의 상부에 협지구등에 의해 끼워 보관토록 하고, 이 필기구들 이외의 보조용품들, 즉 클립, 압핀, 칼,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도구들은 그 하부에 마련되는 공간에 수납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공간에 다수의 보조 필기구들을 섞어 보관할 경우, 휴대시에 이들이 뒤섞여 지면서 유동하여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이들이 뒤섞여 있어 제때에 필요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것이 매우 번거로운 폐단이 있다.
또, 특히 자칫 부주의에 의해 압핀 및 칼과 같은 학습용 보조 도구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클립, 압핀 및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 도구들을 각각 별개로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나 학습용 보조 도구를 손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학습용 보조 도구의 선택사용시 부주의로 인해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넷째,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필요시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 후면과 좌, 우측면 및 상면을 벽체(11)로 막혀지게 하고, 그 저면은 트여지게 하여 내부에 함실 (12)이 형성되도록 한 상부케이스(10)와; 상면이 트여진 함실(22)이 형성되도록 벽체(21)로 전, 후면과 좌, 우측면 및 저면을 박혀지게 하고, 이 벽체(21)의 상면 일단을 상기 벽체(11)의 저면 일단에 연결한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함실(22)의 전, 후면과 좌, 우측면의 내측 수곳에 수직하게 세워진 안내돌기(33)들의 상면에 그 저면을 받쳐지게 하고, 이 저면의 전, 후면과 좌, 우측면을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31)로 벽혀지게 하여 그 내부에 수납실(32)을 형성한 보관함(3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33)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41)들에 종벽(42)의 양측을 끼워 결합시켜 상기 함실(22)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며, 상기 종벽(42)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42a)과 상기 가이드홈(41)에 횡벽(43)의 양측을 각각 끼워 결합시켜 상기 함실(22)을 횡방향으로 구획토록 한 구획부(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20)는 그 내부에 형성된 함실(12) (22)에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나 클립, 압핀,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도구를 수납하여 휴대토록 하는 케이스체이다.
이상, 하부케이스(10) (20)는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그 후단부 일단이 서로 일체로 절첩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필요시 상부케이스(10)를 열거나, 닫혀지게 하는 개폐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0)내에 수납된 필기구나 학습용 보조도구를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관함(30)은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케이스(10) (20)내에 형성된 함실(12) (22)내에 위치되어,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클립 압핀,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도구를 별도로 분리하여 휴대토록 하는 것으로, 보관함(30)에 형성된 수납실(32)에는 상기한 필기구가 수납되며, 하부케이스(20)의 함실(22)에는 상술한 학습용 보조도구가 수납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 보관함(30)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함실(22)의 내측 사면(四面)수곳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33)에 그 저면이 받쳐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관함(30)가 상부에 설치된 하부케이스(20)내의 함실(22)에서 학습용 보조도구를 인출하고자할 때는 이 보관함(30)를 돌어내고 학습용 보조 도구를 외부로 인출한다.
상기 구획부(40)는 하부케이스(20)의 함실(22)내에 수납된 클립, 압핀, 지우개 등과 같은 학습용 보조 도구들의 휴대시 이들이 서로 뒤섞이지 않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함실(22)양측을 종, 횡으로 구획하여 이곳에 클립, 압핀, 지우개 등을 각각 별도로 수납토록 하는 것이다.
이 구획부(40)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함실(22)의 전, 후면내측 수곳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홈(41)에 종벽(42)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함실(22)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며, 이 종벽(42)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한 끼움홈(42a)과 상기 함실(22)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홈(41)에 횡벽(43)의 양측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함실(22)을 횡으로 구획하여 압핀, 클립,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 도구들이각각 별개로 수납되도록 한다.
따라서, 학습용 보조 도구들이 각각 별도로 함실(22)에 수납되어 있어, 이들의 인출시, 부주의로 압핀과 같은 것에 의해 부상을 입던것을 방지할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수납된 학습용 보조 도구들을 인출하고자 할때는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수납된 덮개부(30)를 들어낸 후 이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인출한다.
그리고, 색연필과 갈이 그 길이가 비교적 길면서도 숫자가 많은 학습용 보조도구를 휴대하여야 할때에는 상기 구획부(40)를 분해하여 이들을 휴대토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학습에 필요한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클립, 압핀, 지우개와 같은 학습용 보조도구들이 담겨지는 함실 내부를 필요시 간편하게 구획하여 이들을 각각 분리, 수납하여 휴대하므로서 이들이 뒤섞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필요시에는 이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벽체(21)에 의해 상면이 트여지게 가로막혀 함실(22)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상부 케이스(10)가 덮여지게 하고, 이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10)의 사이로 필기구를 보관하는 보관함(30)이 내장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실(22)의 내측에 안내돌기(33)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41)들에 종벽(42)의 양측을 착, 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함실(22)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며, 상기 종벽(4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42a)과 상기 가이드홈(41)에 횡벽(43)의 양측을 각각 착, 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함실(22)을 각각 구획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KR2019930031096U 1993-12-30 1993-12-30 필통 KR960001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096U KR960001798Y1 (ko) 1993-12-30 1993-12-30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096U KR960001798Y1 (ko) 1993-12-30 1993-12-30 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418U KR950016418U (ko) 1995-07-20
KR960001798Y1 true KR960001798Y1 (ko) 1996-02-28

Family

ID=1937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096U KR960001798Y1 (ko) 1993-12-30 1993-12-30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7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18B1 (ko) * 2020-01-20 2020-08-19 강정훈 배달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418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798Y1 (ko) 필통
KR200424472Y1 (ko) 한글 놀이 기구
GB2146623A (en) Pocket-size container for tools, etc
KR920001602Y1 (ko) 사무용품 보관통
KR200442704Y1 (ko) 메모용 흑판이 구비된 필통
KR200451965Y1 (ko) 색연필의 거치가 가능한 색연필 케이스
KR200280741Y1 (ko) 자동차의 필기용구 보관케이스
DE3777174D1 (de) Umbaubarer werkzeugkasten.
KR200208274Y1 (ko) 연필꽂이
GB2075429A (en) Pencil case
KR200362091Y1 (ko) 색연필 케이스
KR200384650Y1 (ko)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 필통
KR200344558Y1 (ko) 연필꽂이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KR200411044Y1 (ko) 필통
KR860000558Y1 (ko) 회전식 필기구 케이스
KR200384652Y1 (ko) 다용도 수납부가 구비된 필통
KR200401948Y1 (ko) 독서대를 갖는 책상용 필기구 수납함
KR960008634Y1 (ko) 분리식 필통
KR920004686Y1 (ko) 서화용 착탈형 붓
KR200353667Y1 (ko) 슬라이딩식 다단 필통
KR840000063Y1 (ko) 필 통
KR870001663Y1 (ko) 필기구를 보관하게 된 지우개
KR200208911Y1 (ko) 필통
KR200229170Y1 (ko) 다용도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