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054Y1 -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054Y1
KR200330054Y1 KR20-2003-0023456U KR20030023456U KR200330054Y1 KR 200330054 Y1 KR200330054 Y1 KR 200330054Y1 KR 20030023456 U KR20030023456 U KR 20030023456U KR 200330054 Y1 KR200330054 Y1 KR 200330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absorption tower
gypsum
concentration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용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3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12Controlling the absorp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2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solution or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40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 B01D2251/404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of calc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60Inorganic bases or salts
    • B01D2251/608Sulf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황 설비의 흡수탑 내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황 설비의 흡수탑 내 불순물 배출 장치에 있어서, 탈황 처리 후 흡수탑 내에 침적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불순물 농도에 따라 폐수 처리 시설로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내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상기 흡수탑(106)으로부터 인출된 석고 슬러리 내의 불순물 농도를 측정하는 불순물 감지계(202);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1차 사이클론(124)으로의 석고 슬러리의 전달을 개폐하는 제 1 컨트롤 밸브(204); 및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석고 원심 분리기(120)를 통과한 폐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Impurities of Absorber in Flue Gas Desulferization System}
본 고안은 탈황 설비의 흡수탑 내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황 설비의 흡수탑 내 불순물 배출 장치에 있어서, 탈황 처리 후 흡수탑 내에 침적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불순물 농도에 따라 폐수 처리 시설로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내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소 등의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연 가스(Flue Gas)에는 연료와 공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발생한 재(Ash)뿐만 아니라 이산화황(SO2) 또는 삼산화황(SO3) 등의 황산화물(SOx)이 포함된다. 이러한 황산화물은 대기 오염뿐만아니라 산성비 등의 원인이 되므로, 화석 연료 연소 공정에는 배연 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배연 탈황 공정(Flue Gas Desulferization : FGD)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는 화력 발전소 등의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연 가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일러(100)에서 발생한 배연 가스는 전기 집진기(EP :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2)를 거치면서 내부에 포함된 먼지가 제거되고 흡수탑(106)과 같은 탈황 설비를 거치면서 내부에 포함된 황산화물이 제거된 후, 연돌(Stack, 108)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배연 가스는 탈황 과정 전의 배연 가스와 탈황 과정을 거친 배연 가스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가스-가스 열교환기(GGH : 104)를 통과하게 된다.
배연 탈황 공정으로는 연소 후에 배연 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비롯한 황화합물을 반응제 및 촉매를 이용하여 흡수, 산화, 환원 및 흡착 등의 공정을 통해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건식, 습식 및 반건식 등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건식 탈황 방법은 배연 가스를 분말 형태 또는 펠레트(Pellet) 형태의 촉매층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서, 탈황 공정 중 용수 사용이 거의 없고 황산화물제거 후 배출 가스의 온도 변화가 거의 없어 재가열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응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반응 영역 확장에 따른 대형 장치가 필연적일 뿐 아니라 황산화물 제거율이 낮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건식 탈황 방법보다는 습식 탈황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습식 탈황 방법은 물 또는 알칼리 용액 등으로 배연 가스를 세정하여 배연 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흡수하는 방법으로 1차 생성물이 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로 된다. 습식 탈황 방법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부속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습식 탈황 방법은 공정을 거친 후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가 낮아 연돌(108)에서의 상승력이 낮으므로 재가열 과정이 필요하고, 공정에 따라 다량의 폐수가 생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반건식 탈황 방법은 슬러리 또는 용액 상태의 반응제를 배연 가스 중에 분사하여 배연 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흡수 처리하고 배연 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에 의해 반응 생성물은 건조되어 고형물의 형태로 집진 장치에 의해 제거되는 공정이다.
통상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습식 탈황 방법은 석회 또는 석회석을 흡수 반응제로 이용하는 공정으로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통상적인 습식 석회석 배연 탈황 공정은 다음과 같다. 연소 시스템에서 발생된 배연 가스를 전기 집진기(102)를 통과시켜 먼지를 제거한 후, 흡수탑(106) 내에서 배연 가스를 석회석 슬러리(Slurry)와 접촉시킨다. 그리하여, 황산화물과 석회석(CaCO3)을 반응시켜 CaSO3또는 CaSO4와 같은 고형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발생시킨다. 최종적으로 흡수탑 하부에 강제 산화용 공기를 주입하여 석고(CaSO4·H2O)를 생성하게 된다.
전술한 공정을 세분하면, 흡수탑(106)과 재질의 부식 및 가시 백연을 방지하고 배연 가스의 원활한 확산을 위해 탈황 처리된 배연 가스를 재가열하는 가스-가스 열교환기(104)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계통, 석회석 슬러리를 만들어 흡수탑(106)에 공급하는 석회석 취급 계통, 흡수탑 반응 생성물인 석고 슬러리를 농축, 탈수하여 석고를 만드는 석고 취급 계통 , 및 각종 계통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 처리 계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석고 슬러리를 처리하여 석고를 생산하는 석고 취급 계통에서 석고 슬러리 내에 포함된 먼지나 염소 이온(Cl-) 등의 불순물을 처리하는 공정은 매우 중요하다. 탈황 과정에서 흡수탑에 유입되는 배연 가스에 포함된 먼지의 연속적인 농축을 방지하고 무기물의 용출 및 농축에 의한 이산화황 제거 반응의 저하를 예방하고, 탈황 처리 과정의 부산물인 석고의 순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순물의 처리가 필요하다.
특히, 석탄 연소시에 석탄에 포함되어 있던 대부분의 염소는 염산(HCl)으로 바뀌게 되고, 이 염산은 탈황 처리 중에 석고 슬러지 속에 염소 이온(Cl-)으로 존재하게 된다. 염소 이온은 탈황 설비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염소 이온의 배출은 중요하다. 탈황 설비 내에 염소 이온이 존재하면, 석회석의 용해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전체 탈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염소 이온은 탈황 설비 내에 스케일(Scale)의 부착을 촉진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탈황 설비 내의 염소 이온의 제거는 배연 가스 중의 이산화황 제거효율도 향상시키고 스케일 발생을 방지하여 탈황 설비 운용의 경제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b는 종래 탈황 설비에서 발생하는 석고 슬러리의 처리 및 폐수 배출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흡수탑(106) 내에서의 탈황 과정 중에 발생한 석고는 슬러리 형태로 석고 인출 펌프(110)를 통해 흡수탑(106)으로부터 인출된다.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인출된 석고 슬러리는 흡수탑(106) 내의 석고 슬러리를 포함한 수위에 따라 재순환 여부가 결정된다.
흡수탑(106)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일정 수위로 낮아질 때까지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인출된 석고 슬러리는 석고 배출관(114)을 통해 석고 탈수 탱크(118)로 보내진다. 한편, 흡수탑(106)의 수위가 일정 수위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인출된 석고 슬러리는 전량 재순환관(112)을 통해 흡수탑(106)으로 전달된다. 석고 배출관(114)과 재순환관(112)으로의 전달 여부 또는 순환 여부는 개폐 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정된다.
한편, 석고 슬러리 내의 불순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 석고 슬러리는 불순물 배출관(116)을 통해 1차 사이클론(124)으로 전달되는데, 운전원이 필요에 따라 배출 밸브(미도시)를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1차 사이클론(124)에서 무거운 입자는 복귀관(126)을 통해 다시 흡수탑으로 보내지고, 가벼운 입자와 물은 폐수 배출관(128)을 통해 폐수 처리 계통으로 전달된다. 도 1b에서는 폐수 처리 계통으로서 폐수가 폐수 배출 탱크(130)를 통해 폐수처리 시설(138)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폐수 배출 탱크(1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하기도 한다.
한편, 석고 배출관(114)을 통해 전달된 석고 슬러리는 석고 탈수 탱크(118)를 거쳐서 석고 원심 분리기(120)로 전달된다. 석고 원심 분리기(120)에서는 석고를 분리하여 석고 탈수기(122)로 배출하고, 석고를 분리하고 남는 폐수의 약 90% 정도는 여과 탱크 전달관(132)을 통해 여과수 탱크로 전달하고 나머지 10%의 폐수는 폐수 전달관(134)을 통해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폐수 처리 시설(138)로 폐수를 배출하기 전에 2차 사이클론(미도시)을 설치하여 폐수 내의 고형 물질을 다시 한번 분리하기도 한다.
석고 원심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석고는 석고 탈수기(122)에서 수분이 최종적으로 탈수되어 건조된 석고로 생산된다. 또한, 여과수 탱크(136)에서는 폐수를 여과하여 재활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석고 슬러리 처리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불순물 배출관(116)을 통해 1차 사이클론(124)으로 전달되는 폐수의 양은 불순물의 농도와 무관하게 시간당 일정한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불순물의 농도가 높거나 또는 낮은 경우에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자동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고 원심 분리기(120)에서 석고를 분리하고 남게 되는 폐수의 대부분은 여과수 탱크 내로 전달되나, 약 10% 정도는 무조건 폐수 배출관(134)을 통해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불순물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배출하지 않아도 되는 폐수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폐수 처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불순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일정량만을 배출하게 됨으로써 흡수탑으로부터의 불순물의 배출 부족으로 설비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등 설비의 안정성을 해할 염려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황 설비 흡수탑에서 인출한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 농도에 따라 탈황 폐수 배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화력 발전소 등의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연 가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종래 탈황 설비에서 발생하는 석고 슬러리의 처리 및 폐수 배출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일러 102 : 전기 집진기
104 : 가스-가스 열교환기 106 : 흡수탑
108 : 연돌 110 : 석고 인출 펌프
112 : 재순환관 114 : 석고 배출관
116 : 불순물 배출관 118 : 석고 탈수 탱크
120 : 석고 원심 분리기 122 : 석고 탈수기
124 : 1차 사이클론 126 : 복귀관
128 : 폐수 배출관 130 : 폐수 배출 탱크
132 : 여과 탱크 전달관 134 : 폐수 전달관
136 : 여과수 탱크 138 : 폐수 처리 시설
202 : 불순물 감지계 204 : 제 1 컨트롤 밸브
206 : 제 2 컨트롤 밸브 208 : 밀도계
210 : 수소 이온 농도계 212 : 계측기용 재순환관
300 :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상기 흡수탑(106)으로부터 인출된 석고 슬러리 내의 불순물 농도를 측정하는 불순물 감지계(202);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1차 사이클론(124)으로의 석고 슬러리의 전달을 개폐하는 제 1 컨트롤 밸브(204); 및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석고 원심 분리기(120)를 통과한 폐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는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인출되는 석고 슬러리의 염소 이온 농도 또는 불순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불순물 감지계(202),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측정된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제 1 컨트롤 밸브(204) 및 제 2 컨트롤 밸브(206)와 제 1 컨트롤 밸브(204)와 제 2 컨트롤 밸브(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불순물 감지계(202)로서는 염소 이온 농도계나 전기 전도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염소 이온 농도계는 석고 슬러리의 염소 이온 농도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석고 슬러리의 염소 이온 농도가 높으면 석고 슬러리의 오염 정도가 높다는 신호가 된다. 한편, 전기 전도도계는 석고 슬러리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전기 전도도의 변화에 의해 석고 슬러리의 이온의 농도나 불순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석고 슬러리의 전기 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석고 슬러리에 이온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석고 슬러리의 오염 정도가 높다는 신호가 된다.
한편, 불순물 감지계(202)로서 염소 이온 농도계나 전기 전도도계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불순물 감지계(202)는 염소 이온 농도계나 전기 전도도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석고 슬러리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염소 이온 농도계나 전기 전도도계 외에 오염 정도 측정 능력이 양호한 다른 계측 장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불순물 감지계(202)로서 염소 이온 농도계와 전기 전도도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염소 이온 농도계와 전기 전도도계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불순물 감지계(202)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탈황 설비 흡수탑(106)의 석고 슬러리 인출 및 폐수 처리 계통에는 수소 이온 농도계(pH Meter : 210)와 밀도계(Density Meter : 208)가 부착되어 있다.
수소 이온 농도계(210)는 석고 인출 펌프(110)의 직후단, 즉, 석고 인출 펌프(110)에서 재순환관(112)과 석고 배출관(114)의 분기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밀도계(208)는 재순환관(112)과는 별도로 구비된 계측기용 재순환관(212)에 설치되어 있다. 계측기용 재순환관(212)은 재순환관(112)과 달리 석고 인출 펌프(110)에서 인출된 석고 슬러리가 항시 흡수탑(106)으로 재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석고 인출 펌프(110)에서 인출되는 석고 슬러리 중의 일부 소량만이 계측기용 재순환관(212)을 통해 재순환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의 불순물 감지계(202)는 인출되는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의 농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야 하므로 수소 이온 농도계(210)나 밀도계(208)가 설치된 위치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즉, 불순물 감지계(202)는 석고 인출 펌프(110)의 직후단에 설치하거나 계측기용 재순환관(212)에 설치하도록 한다.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검출된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제 1 컨트롤 밸브(204)와 제 2 컨트롤 밸브(206)의 작동이 제어된다.
제 1 컨트롤 밸브(204)는 불순물 배출관(116)에 구비된다.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 1 컨트롤 밸브(204)가 오픈(Open)되어 석고 슬러리를 1차 사이클론(124)으로 전달한다. 1차 사이클론(124)에서는 밀도가 높은 고형분은 복귀관(126)을 통해 흡수탑(106)으로 순환시키고 밀도가 낮은 먼지 등과 폐수는 폐수 배출관(128) 및 폐수 배출 탱크(130)를 통해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한다.
제 2 컨트롤 밸브(206)는 석고 원심 분리기(120)에서 석고를 분리하고 남은 폐수를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하는 폐수 전달관(134)에 구비된다. 종래에는 석고 원심 분리기(120)를 거친 폐수의 약 10% 정도를 일률적으로 폐수 전달관(134)을 통해 폐수 처리 시설(138)로 배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폐수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하면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닫아(Close) 폐수 처리 계통으로의 폐수 배출을 막는다.
또한, 석고 슬러리의 불순물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오픈하여 폐수 처리 시설(138)로 폐수를 배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전술한 불순물 감지계(202)에서 검출된 값에 따라 제 1 컨트롤 밸브(204)와 제 2 컨트롤 밸브(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순물 감지계(202)에서 석고 슬러리 내의 염소 이온의 농도 또는 연소재나 먼지 등의 비율이 적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300)에서 제 1 컨트롤 밸브(204)와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오픈시켜서 폐수 처리 시설(138)로의 폐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석고 슬러리 내의 염소 이온의 농도 또는 연소재나 먼지 등의 비율이 적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컨트롤 밸브(204)와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닫아서 폐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어부(300)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 1 컨트롤 밸브(202)와 제 2 컨트롤 밸브(20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석고 슬러리 내의 적정한 염소 이온의 농도는 흡수탑을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염소 이온은 탈황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흡수탑 내부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석고 슬러리 내의 염소 이온의 적정 농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탈황 설비 흡수탑 내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가 사용되는 각각의 탈황 설비의 재질 및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다만, 이러한 경제성과 효율을 고려한 염소 이온 적정 농도는 각 탈황 설비를 설계 또는 운용하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라 판단되는 바, 구체적인 수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탈황 설비 흡수탑 내의 불순물 농도가 높을 때는 폐수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불순물 농도가 낮을 때는 폐수 배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탈황 설비 운영상 설비 효율 및 경제성의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불순물 농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를 이용하면, 탈황 설비 흡수탑 내의 불순물 농도가 낮을 경우에 불필요한 폐수 배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폐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를 이용하면, 염소 이온 농도가 비교적 높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경우, 탈황 설비 흡수탑 내로 유입되는 염소 이온 등 불순물 농도의 급격한 증가시 폐수 배출량을 자동적으로 증가시켜 불순물 농도를 일정 기준 이내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탈황 설비 내의 염소 이온 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불순물에 의한 설비 내의 각종 기계, 전자 장치의 부식을 예방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석고 인출 펌프(110)에 의해 상기 흡수탑(106)으로부터 인출된 석고 슬러리 내의 불순물 농도를 측정하는 불순물 감지계(202);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1차 사이클론(124)으로의 석고 슬러리의 전달을 개폐하는 제 1 컨트롤 밸브(204); 및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석고 원심 분리기(120)를 통과한 폐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 2 컨트롤 밸브(20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는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불순물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204) 및 제 2 컨트롤 밸브(206)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는 상기 석고 슬러리 내에 포함된 염소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염소 이온 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는 상기 석고 슬러리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는 상기 석고 슬러리 내에 포함된 염소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염소 이온 농도계와 상기 석고 슬러리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는 상기 석고 인출 펌프(110)와 상기 석고 슬러리를 상기 흡수탑(106)으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관(112) 및 석고 생산 공정으로 상기 석고 슬러리를 전달하는 석고 배출관(114)의 분기점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감지계(202)는 상기 석고 슬러리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석고 슬러리의 일부를 항시 흡수탑으로 재순환시키는 계측기용 재순환관(212)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설비 흡수탑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KR20-2003-0023456U 2003-07-21 2003-07-21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KR200330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56U KR200330054Y1 (ko) 2003-07-21 2003-07-21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56U KR200330054Y1 (ko) 2003-07-21 2003-07-21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054Y1 true KR200330054Y1 (ko) 2003-10-11

Family

ID=4941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56U KR200330054Y1 (ko) 2003-07-21 2003-07-21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0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83B1 (ko) * 2017-06-27 2017-12-01 한국발전기술(주) 탈황 설비용 흡수탑 불순물 자동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CN107952355A (zh) * 2017-10-17 2018-04-24 上海交通大学 一种利用硫酸铝循环促进氧化锌烟气脱硫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83B1 (ko) * 2017-06-27 2017-12-01 한국발전기술(주) 탈황 설비용 흡수탑 불순물 자동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CN107952355A (zh) * 2017-10-17 2018-04-24 上海交通大学 一种利用硫酸铝循环促进氧化锌烟气脱硫的方法
CN107952355B (zh) * 2017-10-17 2021-01-22 上海交通大学 一种利用硫酸铝循环促进氧化锌烟气脱硫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6189C (en) Method of mercury removal in a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JP6556833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と装置
JP2000312813A (ja) 煙道ガスから水銀を除くためのスルフィド含有ガス及び液の使用
US8828341B1 (en) Sulfite control to reduce mercury re-emission
CN209968041U (zh) 一种新型的石灰石石膏法脱硫氧化风机调节系统
KR100287634B1 (ko) 배연처리설비
US5756052A (en) Flue gas treatment system
JP5081000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酸化用空気供給量制御方法
WO2017197049A1 (en) Sulfite pre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to reduce mercury concentrations in waste water
KR200330054Y1 (ko) 탈황 설비 불순물 자동 배출 장치
JP3836048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52745A (ja) 湿式排煙脱硫方法及び装置
KR0125122B1 (ko) 연도가스탈황방법 및 탈황장치
EP1142625B1 (en) Combustio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3089209B2 (ja) 排煙処理設備の防食方法
EP1142626B1 (en) Combustio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EP3144051B1 (en) Mercury control in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JP2883365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制御装置
JPH11147024A (ja) 排煙処理方法
JP2002071120A (ja) 燃焼排ガス処理装置
JPH04141214A (ja) 排煙脱硫装置
JPH08196863A (ja) マグネシウム法排煙脱硫装置の廃液酸化方法
JPH06246131A (ja) 湿式排煙脱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15531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制御装置
Trybus Dry processes of flue gas desulphu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