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15Y1 - Seeder - Google Patents

S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15Y1
KR200329315Y1 KR20-2003-0023057U KR20030023057U KR200329315Y1 KR 200329315 Y1 KR200329315 Y1 KR 200329315Y1 KR 20030023057 U KR20030023057 U KR 20030023057U KR 200329315 Y1 KR200329315 Y1 KR 200329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haft
blade
seeding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제
Original Assignee
정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제 filed Critical 정병제
Priority to KR20-2003-0023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1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물의 파종에 사용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력으로 동작되고 파종 공간의 형성과 동시에 적정 갯수의 종자 투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구조에 의하면, 제 2 샤프트(the 2nd shaft)와 연동하는 종자 공급부를 통해 파종 공간의 형성과 더불어 종자의 투입을 수행할 수 있고, 토사 유입 방지부를 통해 삽날 사이로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깊이 조절용 돌출부를 통해 종자의 파종 깊이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고, 종자 투입홈에 착탈되는 보조 투입함을 통해 종자의 1회 투입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기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 효과들은 궁극적으로 파종 과정의 단축이나 균일한 파종 결과 등과 같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노인들에 의한 파종 작업의 능률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used for sowing cro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er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manpower and to carry out a proper number of seed inputs simultaneously with the formation of a seeding spac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supply can be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the seeding space through the seed supply unit interlocked with the 2nd shaft, and the earth and sand through the blade through the soil inflow preven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and also to adjust the seeding depth of the seed constantly through the depth adjustment protrusion, and to adjust the amount of seed once input through the auxiliary feeder detachable to the seed feed groove. The effect can be obtained. These functional effects may ultimate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such as shortening of the seeding process or uniform seeding results, and the efficiency of the seeding work by the elderly.

Description

파종기{Seeder}Planter {Seeder}

본 고안은 작물의 파종에 사용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력으로 동작되고 파종 공간의 형성과 동시에 적정 갯수의 종자 투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used for sowing cro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er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manpower and to carry out a proper number of seed inputs simultaneously with the formation of a seeding space.

일반적으로 콩, 마늘, 옥수수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파종 공간을 형성하고 그곳에 적정 갯수의 종자를 투입한 뒤, 토양을 덮어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파종 과정은 예로부터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 인력이 감소하고 또한 고령화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필요에 맞추어 파종기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sowing of crops such as soybean, garlic, corn, etc. is formed by forming a seeding space on the surface of the soil, putt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seeds there, and then covering the soil. This sowing process has been done by hand using farming tools such as hoe and the like, and until now, most farms still use such a method. However, as the rural workforce decreases and ages, more efficient methods are needed, and planter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to meet such needs.

종래의 파종기는 대개 경운기나 트랙터(tractor)와 같은 농기계에 장착되어 그 동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거나, 사람의 인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planters are usually mounted on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cultivators or tractors and configured to operate by their power, or by human attraction.

농기계에 장착되는 형태의 파종기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209474호 "파종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87460호 "시비 겸용 파종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크고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는 등 그 구조적 특성상 넓은 면적의 고른 토양에 대해 대규모의 파종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적합하지만, 좁고 고르지 못한 일반적인 농촌 지형에서 소규모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을 뿐 아니라 구입 비용과 유지비용이 적지 않게 소모된다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 seeding machine of the type mounted on agricultural machinery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separate,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9474, "Sowing device",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87460, "Fedition seeding device." Although it is suitable for large-scale sowing work on a large area of uniform soil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by using the power of the plan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for small-scale use in small and uneven general rural terrain, but also has low purchase and maintenance costs. I was having problems such as being consumed.

반면, 인력에 의해 동작되는 형태의 파종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5296호 "재식기"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소형 경량이기 때문에 좁고 고르지 못한 일반적인 농촌 지형이나 텃밭 등에 소규모로 파종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구입 비용 및 유지비용 등이 저렴하지만, 그 기능에 있어서 토양의 표층에 파종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 정도의 간단한 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하였으므로 파종 작업의 효율 증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75296, "planter," such as a type of planting operated by manpower, the planting machine is relatively small in structure and small in size due to its small size and light weight. Although it is suitable to carry out sowing work and is inexpensive to purchase and maintain, etc., it is limi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owing work because it was able to perform only simple functions such as creating a sowing space on the soil surface. There was no choice but to stay.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들은 공통적으로 노인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더불어 토양에 비닐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진행하는 멀칭(mulching) 작업에 있어서도 적절히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se conventional planters had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elderly to use in common, and also had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perly used in the mulching operation that proceeds in the state covered with vinyl on the soil.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파종기들의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좁고 고르지 못한 일반적인 농촌 지형 등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파종 과정의 단축이나 멀칭 작업에서의 사용 가능 등과 같은 파종 작업에서의 효율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더불어 노인들에 의한 작업 능률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파종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eding operation such as shortening the seeding process or use in mulching operation while being easy to use in the narrow and uneven general rural terrain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eeders.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er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the elderly.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여러 기능들을 보여주는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functions of the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part A of FIG. 1, and

도 5는 도 1의 B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art B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파종기 110: 제 1 샤프트(the 1st shaft)100: planter 110: the first shaft (the 1st shaft)

120: 제 2 샤프트 121, 122: 손잡이120: second shaft 121, 122: handle

124, 125: 삽날 127, 128: 선단부124, 125: Blade 127, 128: Tip

130: 회전축 140: 종자 저장통130: axis of rotation 140: seed reservoir

150: 종자 공급부 152: 종자 이송부150: seed supply unit 152: seed transfer unit

154: 종자 투입홈 156, 157: 보조 투입함154: seed feed groove 156, 157: auxiliary feed

158: 수평 회전축 159: 관절형 연결부158: horizontal axis of rotation 159: articulated connection

160: 종자 투입관 170: 깊이 조절용 돌출부160: seed input tube 170: depth adjustment protrusion

180: 토사 유입 방지부 30, 50: 체결 나사180: earth and sand inflow prevention part 30, 50: fastening screw

10: 종자 20: 토양10: seed 20: soil

25: 파종 공간25: seeding space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각각의 일단에는 삽날이 연장 형성되며 일단측 소정의 지점에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대향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삽날 각각의 선단부가 소정의 회전 동작을 통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샤프트(the 1st shaft) 및 제 2 샤프트와, 제 1 샤프트 및 제 2 샤프트 각각의 타단에 그 내부로의 입출을 통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와, 제 1 샤프트의 삽날측 소정의 지점에 고정 장착되어 종자의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종자 공급부와, 내부에는 종자의 저장에 사용될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샤프트에 그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그 유동 동작을 통해 종자 공급부의 상부에 대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종자 저장통과, 일단은 종자 공급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삽날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종자 투입관과, 종자 공급부의 내측에 수평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제 2 샤프트와 그 축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샤프트의 동작에 대응한 소정의 수평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종자가 장전될 종자 투입홈이 형성되어 제 2 샤프트의 동작에 따라 일정 갯수의 종자를 종자 투입관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구형(球形)의 종자 이송부와, 제 1 샤프트의 삽날 외측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토양에 대한 삽날들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깊이 조절용 돌출부와, 제 1 샤프트의 삽날 양측에서 제 2 샤프트의 삽날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 2 샤프트의 삽날과 제 1 샤프트의 삽날 사이의 측면 공간을 막아주는 토사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formed at each end is exten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an opposite structure around the axis of rotation at a predetermined point on one end so that the tip ends of the blad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rotation operation.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and a handl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by entering and exiting therein, and a blade of the first shaft. A seed supply part fixed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side to perform seeding operation of the seed, and a space used for storing the seed is formed therein and mounted on the first shaft so as to allow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ed reservoir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ed supply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ed supply part and the other end A seed feeding tu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and a structure capable of horizontally rotating inside the seed supply unit, wherein the second shaft and its shaft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ft. A seed feed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which a seed feed groove is to be loaded so as to transfer a predetermined number of seeds to the seed feed pi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ft, and the blade outer side of the first shaft. A depth adjusting protrusion which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and determines the insertion depth of the blades into the soil, and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haft toward the blade side of the second shaft, the blade of the second shaft and the blade of the first shaft; It provides a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il inflow prevention unit for blocking the side spaces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깊이 조절용 돌출부는 제 1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그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사 유입 방지부는 제 1 샤프트의삽날 선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는 그 말단 부분이 U자 모양으로 꺾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epth adjustment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the soil inflow preven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blade tip of the first shaft.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 a U-shape.

또한, 상기 종자 저장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종자 투입홈에는 다양한 크기의 보조 투입함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 투입함은 종자 투입홈에 나사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ed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seed inpu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input box of various sizes are detachable, the auxiliary input box is attached to the seed input groove using a screw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eed dril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여러 기능들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B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several functions of the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lant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part A of FIG. 1,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part B of FIG. 1.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파종기(100)는 인력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제 1 샤프트(110)와 제 2 샤프트(120)는 각각 삽날(124, 125)이 연장 형성된 일단측 소정의 지점에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한 대향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제 1 샤프트(110)와 제 2 샤프트(120) 각각의 타단에는 그 내부로의 입출 동작이 가능한 손잡이(121, 122)가 구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제 1 샤프트(110)와 제 2 샤프트(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손잡이들(121, 122)은 그 말단 부분이 U자 모양으로 꺾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체결 나사(30)를 통해 각각의 샤프트(110, 120)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planter 1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operates using a manpower. Looking at the structure,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opposing structure centered on the rotation shaft 130 at a predetermined point on one end side where the blades 124 and 125 are extended, respectively. . Handles 121 and 122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to allow the entry and exit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Can control the length of The handles 121 and 122 are formed so that their end portions are bent in a U-shape, and are fixed to the respective shafts 110 and 120 through the fastening screw 30.

삽날(124, 125) 각각의 선단부(127, 128)는 제 2 샤프트(120)의 회전에 대응한 회전 동작을 통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파종 공간(25) 형성을 위한 토양에의 삽입 시에는 서로 접촉되어 있고, 삽입 후 파종 공간(25) 형성 시에는 소정의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떨어지게 된다.The tip 127, 128 of each of the blades 124, 125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rotational mo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120, insertion into the soil for the formation of the seeding space 25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eding space 25 is formed after insertion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rotation operation.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은 파종 작업 시 토양에 고정되어 기준의 역할을 하고, 제 2 샤프트(120)의 삽날(125)은 손잡이(122) 부분에 가해진 회전력에 따라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에 대해 소정의 상대적 회전 동작을 함으로써 파종 공간(25)을 형성한다.The blade 124 of the first shaft 110 is fixed to the soil during the seeding operation and serves as a reference, the blade 125 of the second shaft 120 is the first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of the handle 122 The seeding space 25 is form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relative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blade 124 of 110.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측 소정의 지점에는 종자(10)의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종자 공급부(150)가 고정 장착되며, 이 종자 공급부(150)의 상부측 제 1 샤프트(110)에는 종자 저장통(140)이 구성된다. 종자 저장통(140)은 제 1 샤프트(110)를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재질로는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 재질이 사용된다. 종자 저장통(140)은 종자 공급부(150)에 밀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파종에 사용될 종자(10)가 담겨지는 용기의 역할을 하며, 종자 공급부(150)로부터 분리하여 밀어 올림으로써 종자 공급부(150) 내 여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자 저장통(140)과 종자 공급부(150)는 상호 결합 시 볼트(bolt)와 같은 체결 수단(도면 미표시)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At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blade 124 side of the first shaft 110, a seed supply unit 150 that performs the feeding operation of the seed 10 is fixedly mounted, and the first shaft 110 of the upper side of the seed supply unit 150 is fixed. ), The seed reservoir 140 is configured. Seed reservoir 140 is configured to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shaft 110, the material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looks inside. The seed storage container 140 serves as a container in which the seed 10 to be used for sowing is contain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ed supply unit 150. Make the work easy. The seed reservoir 140 and the seed supply unit 150 may be fixed through a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bolt at the time of mutual coupling.

종자 공급부(150)의 하부에는 종자 투입관(160)이 구성된다. 종자 투입관(160)의 일단은 종자 공급부(15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삽날들(124, 125)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종자 투입관(160) 타단의 위치는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 선단부(127)로부터 2cm 정도 이격된 위치가 바람직하다.The seed inlet pipe 160 is configured under the seed supply unit 150. One end of the seed inlet tube 16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ed supply unit 150,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124 and 125. Her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ed inlet tube 160 is preferably a position spaced about 2cm from the tip 127 of the blade 124 of the first shaft 110.

종자 공급부(150)의 내측에는 구형의 종자 이송부(152)가 구성된다. 이 종자 이송부(152)는 제 1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구성되는 수평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을 한다. 수평 회전축(158)은 제 2 샤프트(120)와 관절형 연결부(159)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샤프트(120)의 동작 시 그와 연동되어 수평 회전 동작을 한다. 종자 이송부(152)의 회전 각도는 135 ~ 150°정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종자(10) 투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바람직하다.A spherical seed feeder 152 is formed inside the seed feeder 150. The seed transfer part 152 rotates horizontally about a horizontal rotation shaft 158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110. Since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158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120 through the articulated connector 159,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158 interlocks with the second shaft 120 to perform a horizontal rotation operation. Rotation angle of the seed transfer unit 15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out 135 ~ 150 °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seed 10 input.

종자 이송부(152)의 표면에는 일정 수량의 종자가 들어갈 수 있는 종자 투입홈(154)이 형성된다. 종자 투입홈(154)은 파종할 종자의 크기 및 1회 투입 수량에 따라 보조 투입함(156, 157)을 탈착함으로써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 2 샤프트(120)의 동작에 따른 종자 공급부(150)의 수평 회전을 통해 종자 투입관(160)으로의 종자 이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자 투입홈(154)에 보조 투입함(156, 157)을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 나사(50)를 통하여 수평 회전축(158)에까지 고정시켜주는 것이 내구성 향상이나 정확한 동작 수행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On the surface of the seed transfer part 152, a seed feeding groove 154 into which a certain amount of seeds can enter is formed. The seed feeding groove 154 can adjust the size of the seed feeding grooves 154 by removing the auxiliary feeding boxes 156 and 157 according to the size and seed quantity of the seed to be sown, and the seed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ft 120 ( Seed transfer to the seed injection tube 160 through the horizontal rotation of 150). In this case, when the auxiliary input boxes 156 and 157 are to be attached to the seed feeding groove 154, fixing to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158 through the fastening screw 50 is preferable for improving durability or performing accurate operation. .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 외측에는 깊이 조절용 돌출부(170)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토양으로의 삽날(124, 125) 삽입 시, 삽날(124,125)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파종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깊이 조절용 돌출부(170)는 파종 용도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나사 고정 방식 등을 통한 위치 가변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Depth adjustment protrusion 170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outside the blade 124 of the first shaft 110, which limits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blades 124, 125 when the blades 124, 125 are inserted into the soil. So that the seeding depth is kept constant. The depth adjustment protrusion 170 may be fixed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seeding purpose, but may be formed in a variable position through a screw fixing method.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 양측에는 토사 유입 방지부(180)가 제 2 샤프트(120)의 삽날(125)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는데, 삽날(124)의 선단부(127)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 1 샤프트(110)의 삽날(124)과 제 2 샤프트(120)의 삽날(125) 사이의 측면 공간을 막아줌으로써, 파종 공간(25) 형성 시 측면 공간으로의 토사 유입을 방지하여 종자(10)의 투입이 적절한 위치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종자 투입관(160)이 토사에 의해 막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멀칭 작업 시 삽날들(124, 125) 사이로 비닐이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blade 124 of the first shaft 110, the soil inflow prevention part 180 extends toward the blade 125 side of the second shaft 120, to the tip 127 of the blade 124. It is formed in a form that narrows in width. This prevents the lateral space between the blade 124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blade 125 of the second shaft 120,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soil into the lateral space when the seeding space 25 is formed. 10) is made to be in the proper position, and also prevents problems such as clogging the seed input pipe 160 by the soi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nyl from being pushed between the blades (124, 125) during the mulching operation.

본 고안은 앞서 제시된 일례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다수의 구성 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xampl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there may be many configuration examples.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구조에 의하면, 제 2 샤프트와 연동하는 종자 공급부를 통해 파종 공간의 형성과 더불어 종자의 투입을 수행할 수 있고, 토사 유입 방지부를 통해 삽날 사이로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깊이 조절용 돌출부를 통해 종자의 파종 깊이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고, 종자 투입홈에 착탈되는 보조 투입함을 통해 종자의 1회 투입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기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멀칭 작업시 비닐에 대한 손상이 적게발생하는 바, 비닐을 여러 차례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능적 효과들은 궁극적으로 파종 과정의 단축이나 균일한 파종 결과 등과 같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노인들에 의한 파종 작업의 능률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ed d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supply can be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the seeding space through the seed supply unit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haft, and the sand and the like is introduced between the blades through the soil inflow prevention unit. It can be prevented, and also can adjust the seeding depth of the seed uniformly through the depth adjustment protrusion, and can adjust the number of seed input through the auxiliary input and detachment to the seed feeding groove to obtain various functional effects. Can be. In addition, since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vinyl during the mulch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use the vinyl several times. These functional effects may ultimate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such as shortening of the seeding process or uniform seeding results, and the efficiency of the seeding work by the elderly.

Claims (7)

각각의 일단에는 삽날이 연장 형성되며 일단측 소정의 지점에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대향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삽날 각각의 선단부가 소정의 회전 동작을 통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샤프트(the 1st shaft) 및 제 2 샤프트;A first shaft (the 1st) configured to have blades extended at each end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an opposing structure about a rotation axis at a predetermined point on one end thereof so that the tips of each of the blades can contact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rotational motion. shaft) and second shaft; 상기 제 1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 각각의 타단에 그 내부로의 입출을 통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A handle configured to adjust a length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t opposite ends of each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by entering and exiting therein; 상기 제 1 샤프트의 삽날측 소정의 지점에 고정 장착되어 종자의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종자 공급부;A seed supply unit fixed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lade-side of the first shaft to perform seed feeding operation; 내부에는 종자의 저장에 사용될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샤프트에 그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그 유동 동작을 통해 상기 종자 공급부의 상부에 대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종자 저장통;A seed reservoi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be used for storing seeds and mounted to the first shaft to enable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ed supply through the flow operation; 일단은 상기 종자 공급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삽날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종자 투입관;A seed feeding tub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seed feed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blades; 상기 종자 공급부의 내측에 수평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와 그 축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의 동작에 대응한 소정의 수평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종자가 장전될 종자 투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의 동작에 따라 일정 갯수의 종자를 상기 종자 투입관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구형의 종자 이송부;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rotated inside the seed supply unit, and the second shaft and its shaft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horizontal rot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ft, and the seed is loaded on the surface thereof. A seed seed feeder having a seed feed groove formed to transfer a predetermined number of seeds to the seed feed tub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ft; 상기 제 1 샤프트의 삽날 외측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토양에 대한 상기 삽날들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깊이 조절용 돌출부; 및A depth adjusting protrusion formed vertically protruding outside the blade of the first shaft to determine an insertion depth of the blades into the soil; And 상기 제 1 샤프트의 삽날 양측에서 상기 제 2 샤프트의 삽날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의 삽날과 상기 제 1 샤프트의 삽날 사이의 측면 공간을 막아주는 토사 유입 방지부;를A soil inflow prevention uni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lade of the first shaft toward the blade side of the second shaft to block a side space between the blade of the second shaft and the blade of the first shaf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조절용 돌출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그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The seed dr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adjustment protrusion can vary its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입 방지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삽날 선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The seed dr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il inflow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lade tip of the firs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말단 부분이 U자 모양으로 꺾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The seed dr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formed such that its distal portion is bent in a U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저장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The seed 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ed reservoi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투입홈에는 다양한 크기의 보조 투입함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2. The seed 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ed input groov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auxiliary input tray of various siz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투입함은 상기 종자 투입홈에 나사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7. The seed dril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feed tray is attached to the seed feed groove using a screw.
KR20-2003-0023057U 2003-07-16 2003-07-16 Seeder KR2003293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57U KR200329315Y1 (en) 2003-07-16 2003-07-16 S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57U KR200329315Y1 (en) 2003-07-16 2003-07-16 S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15Y1 true KR200329315Y1 (en) 2003-10-08

Family

ID=4941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57U KR200329315Y1 (en) 2003-07-16 2003-07-16 S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1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22A1 (en) * 2015-03-18 2016-09-22 김동근 Seedling transplan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22A1 (en) * 2015-03-18 2016-09-22 김동근 Seedling transplanter
JP2018506999A (en) * 2015-03-18 2018-03-15 ドンケン キム Seedling transplanter
GB2554234A (en) * 2015-03-18 2018-03-28 Ken Kim Dong Seedling transplanter
GB2554234B (en) * 2015-03-18 2021-06-30 Ken Kim Dong Seedling transpla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388U (en) Cover equipment of a garlic sowing machine
CN201069897Y (en) Deep-scarifying type rotary tillage fertilizing and seeding combine
KR200329315Y1 (en) Seeder
KR100740044B1 (en) Levee sprinkle apparatus used fertilizer
JP2002272208A (en) Seeding machine
CN105940797B (en) A kind of subsoiling fertilizer applicator
KR102524065B1 (en) Agricultural machine for multi-purpose for spreading minutely fertilizer
KR102299200B1 (en) Planter connection apparatus for farm machinery
KR102493895B1 (en) Weeder for furrow
KR20220072163A (en) Seeding machine of water-saving customized in desert rice cultivation
JP2005143385A (en) Seeder equipped with land-leveling tool
CN202476045U (en) Combination process seeder for cultivated crops
KR100433264B1 (en) Planter
CN220653956U (en) Irrigation device is broadcast to mountain area farmland water conservancy
CN219812446U (en) Ginger planting and fertilizing mechanism
KR200352560Y1 (en) A multipurpose seeder
CN219499970U (en) Wisdom is multi-functional seeder for agricultural
CN218514777U (en) Double-shaft rotary tillage fertilizing and seeding machine with double rubber mud guards
CN220776433U (en) Intertillage fertilizer injection unit is used in mixed planting of soybean maize
CN201004779Y (en) Farmland planting and fertilizing machine forming a complete set with Dongfeng-12 type rotary tiller
CN207410709U (en) A kind of portable multi-function seeder
Riyaz Multipurpose agriculture cultivator
CN2205628Y (en) Multifunctional small dibbler
CN2348553Y (en) Precision seeding and weeding combined type multi-function working machine
CN2165612Y (en) Planter for r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