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650Y1 -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650Y1
KR200328650Y1 KR2019980014151U KR19980014151U KR200328650Y1 KR 200328650 Y1 KR200328650 Y1 KR 200328650Y1 KR 2019980014151 U KR2019980014151 U KR 2019980014151U KR 19980014151 U KR19980014151 U KR 19980014151U KR 200328650 Y1 KR200328650 Y1 KR 200328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support
teeth
hous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839U (ko
Inventor
이인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4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6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틸트 하우징에 위치하는 틸트 슈우 및 서포트 하우징에 위치하는 서포트 슈우에 미세하게 배열된 치형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1 ~ 2개의 틸트 핀과 4개의 틸트 홈간의 변위 결합을 이용하여 조향핸들의 틸팅각을 조정하던 것에 비하여 조향핸들의 틸팅각을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맞게 조향핸들을 틸팅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tilt control device of steering-handle)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장치(steer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따라 조향핸들(steering-handle)의 각도를 상하로 틸팅(tilting)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조향핸들을 미세하게 틸팅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따라 조향핸들의 각도를 상하로 틸팅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핸들 틸트 조정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조향핸들 틸트 조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향핸들(104)이 결합된 상부 조향축(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트 하우징(110)과, 그 상부 조향축(101)과 피봇 조인트(103)로 결합된 하부 조향축(1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하우징(120)과, 틸트 하우징(110)과 서포트 하우징(120)을 틸팅 고정시키는 틸트 고정기구(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틸트 고정기구(130)는 서포트 하우징(120)의 내측에 고정된 1 ~ 2개의 틸트 핀(131)과, 일측단부에 틸트 핀(131)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틸트 홈(133a)이 배열 형성되며 타측단이 피봇 핀(133b)을 통해 틸트 하우징(110)에 피봇 조인트(103)와 동일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 스토퍼(133)와, 그 스토퍼(133)를 가압하여 틸트 홈(133a)이 틸트 핀(131)에 결합되도록 그 스토퍼(133)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35)과, 피봇 핀(133b)을 중심으로 스토퍼(133)를 회전시켜 틸트 홈(133a)을 틸트 핀(131)에서 분리시키는 틸트 레버(137)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조향축(101)과 하부 조향축(102)은 피봇 조인트(103)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며, 틸트 하우징(110)과 서포트 하우징(120)은 스토퍼(133)와 틸트 핀(131)의 결합에 의해 상부 조향축(101)과 하부 조향축(102)이 소정의 틸팅 각도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조향핸들(104)의 틸트 조정장치는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틸트 고정기구(130)의 틸트 레버(137)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이에 결합된 스토퍼(133)는 스프링(135)을 압축시키면서 틸트 홈(133a)을 서포트 하우징(120)에 형성된 틸트 핀(13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의 틸트 하우징(110)과 서포트 하우징(120)은 틸트 고정기구(130)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향핸들(104)을 현 위치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조향핸들(104)을 상부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틸트 하우징(110)은 상부 조향축(101)과 같이 조향핸들(104)을 따라 이동된 상태가 되며, 당겼던 상태의 틸트 레버(137)를 놓게 되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135)이 복원되면서 스토퍼(133)를 가압하여 그 스토퍼(133)의 틸트 홈(133a)을 변위된 틸트 핀(131)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의 틸트 하우징(110)과 서포트 하우징(120)은 다시 틸트 고정기구(130)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의 피봇이 저지된 상태에서 서로 변위된 상태의 상부 조향축(101)과 하부 조향축(102) 즉, 조향핸들(104)을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는 단순히 1 ~ 2개의 틸트 핀(131)과 4개의 틸트 홈(133a) 간의 변위 결합을 이용하여 조향핸들(104)의 틸팅각을 조정하므로 약 5°도씩 상하 2단 외는 더 이상 조정할 수 없어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핸들을 미세하게 틸팅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를 보인 조향컬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를 보인 조향컬럼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틸팅 조작전이나 조작완료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b는 틸팅 조작중, 틸트 고정기구를 해제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틸트 고정기구의 틸트 슈우 및 틸트 레버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틸트 슈우 및 틸트 레버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틸트 고정기구의 서포트 슈우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서포트 슈우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틸트 슈우와 서포트 슈우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 조향축 2 : 하부 조향축
4 : 조향핸들 10 : 틸트 하우징
20 : 서포트 하우징 30 : 틸트 고정기구
31 : 틸트 슈우 31a : 틸트 치형부
31b, 33b : 분리홈 32 : 슬라이딩 핀
33 : 서포트 슈우 33a : 서포트 치형부
34 : 고정핀 35 : 스프링
37 : 틸트 레버 39 : 스토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향핸들이 결합되는 상부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트 하우징과, 상기 상부 조향축의 하단부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하우징과, 상기 틸트 하우징과 상기 서포트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틸트 고정기구로 구성된 조향핸들 틸트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고정기구는 상기 상부 조향축과 상기 하부 조향축의 피봇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틸트 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딩 핀을 따라 섭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의 호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틸트 치형부가 형성된 틸트 슈우, 상기 슬라이딩 핀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핀에 고정되며 상기 틸트 치형부와 결합되도록 다수 배열된 서포트 치형부가 형성된 서포트 슈우, 상기 틸트 슈우를 탄력적으로 가압 이동시켜 상기 틸트 치형부를 상기 서포트 슈우의 서포트 치형부에 결합시키는 스프링, 상기 서포트 슈우를 상기 스프링의 가압방향과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틸트 치형부를 상기 서포트 슈우의 서포트 치형부에서 분리시키는 틸트 레버로 구성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틸트 치형부는 볼록형상으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치형부는 상기 틸트 치형부와 대향되는 오목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틸트 치형부 및 상기 서포트 치형부의 중심부에는 양측부보다 넓은 폭으로 치형이 제거된 분리홈이 상기 상부 조향축과 상기 하부 조향축의 피봇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핀의 양측단이 위치되는 상기 틸트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틸트 슈우의 섭동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향핸들(4)이 결합되는 상부 조향축(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트 하우징(10)과, 그 상부 조향축(1)의 하단부와 피봇 조인트(3)를 통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조향축(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하우징(20)과, 틸트 하우징(10)과 서포트 하우징(20)을 고정시키는 틸트 고정기구(30)로 구성된다.
도 3a와 도 3b 및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틸트 고정기구(30)는 상부 조향축(1)과 하부 조향축(2)의 피봇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틸트 하우징(10)에 설치된 슬라이딩 핀(32)을 따라 섭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의 호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틸트 치형부(31a)가 형성된 틸트 슈우(31)와, 슬라이딩 핀(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포트 하우징(20)에 고정된 고정 핀(34)에 고정되며 틸트 치형부(31a)와 결합되도록 다수 배열된 서포트 치형부(33a)가 형성된 서포트 슈우(33)와, 틸트 슈우(31)를 탄력적으로 가압 이동시켜 틸트 치형부(31a)를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에 결합시키는 스프링(35), 서포트 슈우(33)를 스프링(35)의 가압방향과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틸트 치형부(31a)를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에서 분리시키는 틸트 레버(37)로 구성된다.
즉, 틸트 슈우(31)에는 슬라이딩 핀(32)에 섭동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홀(31c)이 형성되며, 서포트 슈우(33)는 고정 핀(34)에 고정되는 고정 홀(33c)이 형성된다.
또한, 틸트 치형부(31a)는 볼록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며, 서포트 치형부(33a)는 틸트 치형부(31a)와 대향되는 오목형상으로 배열 형성된다. 틸트 치형부(31a) 및 서포트 치형부(33a)의 중심부에는 양측부보다 넓은 폭으로 치형이 제거된 분리홈(31b)(33b)이 상부 조향축(1)과 하부 조향축(2)의 피봇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핀(32)의 양측단이 위치되는 틸트 하우징(10)의 양측에는 틸트 슈우(31)의 섭동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39)가 돌출 형성된다. 즉, 스토퍼(39)는 틸트 슈우(31)의 틸트 치형부(31a)가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와 정확히 결합되는 위치 및, 틸트 치형부(31a)가 서포트 치형부(33a)의 분리홈(33b)에 위치되고 서포트 치형부(33a)가 틸트 치형부(31a)의 분리홈(31b)에 위치되어 고정이 해제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핸들 틸트 조정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고정기구(30)가 고정된 상태에서, 틸트 고정기구(30)의 틸트 레버(37)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밀게 되면, 그 틸트 레버(37)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슈우(31)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틸트 슈우(31)는 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서 틸트 하우징(10)에 고정된 슬라이딩 핀(32)에 섭동되면서 이동하여 틸트 치형부(31a)를 서포트 하우징(20)에 고정 핀(34)으로 고정된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즉, 틸트 슈우(31)의 틸트 치형부(31a)를 서포트 슈우(33)의 분리홈(33b)으로,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를 틸트 슈우(31)의 분리홈(31b)에 위치시켜 서로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틸트 하우징(10)과 서포트 하우징(20)은 틸트 고정기구(30)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향핸들(4)을 현 위치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조향핸들(4)을 하부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틸트 하우징(10)은 피봇 조인트(3)에 의해 상부 조향축(1)과 같이 조향핸들(4)을 따라 이동된 상태가 되며, 틸트 슈우(31)의 틸트 치형부(31a)는 서포트 슈우(33)의 분리홈(33b)을 따라 이동된다.
그 후, 밀었던 상태의 틸트 레버(37)를 놓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35)이 복원되면서 틸트 슈우(31)를 가압 이동시켜 그 틸트 슈우(31)의 틸트 치형부(31a)를 변위된 상태의 서포트 치형부(33a)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의 틸트 하우징(10)과 서포트 하우징(20)은 다시 틸트 고정기구(30)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의 피봇이 저지된 상태에서 서로 변위된 상태의 상부 조향축(1)과 하부 조향축(2) 즉, 조향핸들(4)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틸트 슈우(31) 및 서포트 슈우(33)에 미세하게 배열된 치형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1 ~ 2개의 틸트 핀과 4개의 틸트 홈간의 변위 결합을 이용하여 조향핸들(4)의 틸팅각을 조정하던 것에 비하여 조향핸들(4)의 틸팅 각도를 더욱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틸트 레버 및 스토퍼에 미세하게 배열된 치형부를 형성하여 조향핸들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맞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조향핸들(4)이 결합되는 상부 조향축(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트 하우징(10)과, 상기 상부 조향축(1)의 하단부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조향축(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하우징(20)과, 상기 틸트 하우징(10)과 상기 서포트 하우징(20)을 고정시키는 틸트 고정기구(30)로 구성된 조향핸들 틸트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고정기구(30)는 상기 상부 조향축(1)과 상기 하부 조향축(2)의 피봇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틸트 하우징(10)에 설치된 슬라이딩 핀(32)을 따라 섭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의 호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틸트 치형부(31a)가 형성된 틸트 슈우(31), 상기 슬라이딩 핀(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 하우징(20)에 고정된 고정 핀(34)에 고정되며 상기 틸트 치형부(31a)와 결합되도록 다수 배열된 서포트 치형부(33a)가 형성된 는 서포트 슈우(33), 상기 틸트 슈우(31)를 탄력적으로 가압 이동시켜 상기 틸트 치형부(31a)를 상기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에 결합시키는 스프링(35), 상기 서포트 슈우(33)를 상기 스프링(35)의 가압방향과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틸트 치형부(31a)를 상기 서포트 슈우(33)의 서포트 치형부(33a)에서 분리시키는 틸트 레버(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치형부(31a)는 볼록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치형부(33a)는 상기 틸트 치형부(31a)와 대향되는 오목형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치형부(31a) 및 상기 서포트 치형부(33a)의 중심부에는 양측부보다 넓은 폭으로 치형이 제거된 분리홈(31b)(33b)이 상기 상부 조향축(1)과 상기 하부 조향축(2)의 피봇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핀(32)의 양측단이 위치되는 상기 틸트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상기 틸트 슈우(31)의 섭동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39)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KR2019980014151U 1998-07-29 1998-07-29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KR200328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51U KR200328650Y1 (ko) 1998-07-29 1998-07-29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51U KR200328650Y1 (ko) 1998-07-29 1998-07-29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39U KR20000003839U (ko) 2000-02-25
KR200328650Y1 true KR200328650Y1 (ko) 2003-12-24

Family

ID=4941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51U KR200328650Y1 (ko) 1998-07-29 1998-07-29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6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39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528B2 (ko)
JPH0595509U (ja) 歯科用の足踏み制御装置
JPH02128987A (ja) 自転車用ペダル
US4575958A (en) Ski boot
JPS6159744B2 (ko)
JPS637792B2 (ko)
JP4775681B2 (ja) 自転車のペダル
US4376236A (en) Multiple function switch assembly
US5517724A (en) Hinge for pieces of furniture
US5807118A (en) IC socket
KR200328650Y1 (ko)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US2703499A (en) Irreversible locking control element
US4863186A (en) Safety binding
JPH06198021A (ja) 自動解放スキービィンディング
US4989473A (en) Shift assembly for shifting between drive positions in a four-wheel drive vehicle
US7475614B2 (en) Tiltable steering column
KR10046599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JP3219354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00010033A (ko)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US6443477B2 (en) Ski binding with a demountable brake
US6889996B2 (en) Safety binding with purchase on the upper
JP3655449B2 (ja) キーボード
US20070125631A1 (en) Switch module
US4893830A (en) Apparatus for the retention of a boot on a ski
JPH0650922Y2 (ja) スイッチング装置の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