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504Y1 -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504Y1
KR200328504Y1 KR20-2003-0019002U KR20030019002U KR200328504Y1 KR 200328504 Y1 KR200328504 Y1 KR 200328504Y1 KR 20030019002 U KR20030019002 U KR 20030019002U KR 200328504 Y1 KR200328504 Y1 KR 200328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amera
user
mobile phone
wireless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묵
Original Assignee
정인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묵 filed Critical 정인묵
Priority to KR20-2003-0019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5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 특히 유선으로 설치가 어려운 장소(가정, 사무실, 물류창고등)에 무선카메라를 설치하여 불특정 다수인의 침입으로 인한 도난 또는 분실사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보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카메라가 설치된 장소(가정, 상점, 사무실등)에 외부로 부터의 침입자 출현시 무선카메라는 자동감지 후 영상촬영을 시작하게 되며 동시에 사용자(휴대폰 이용자)에게 비상통보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격에서 휴대폰을 이용 화상에 의한 침입자 탐지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무선카메라의 경우 이동통신망과의 직접 무선접속에 의하여 장소에 구애됨 없는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 유선 대비 설치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휴대폰을 이용 장소에 구애됨 없이 화상에 의한 침입자 탐지 및 감시 서비스를 제공 함으로써 범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DEVICE OF SECURITY BY USING WIRELESS CAMERA ON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가정, 상점, 사무실등)에 이동통신망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카메라를 설치하여 불특정 다수인의 침입시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 언제든지 장소에 구애됨 없이 화상을 통한 침입자 감시 및 카메라 제어를 가능케 하여 외부로 부터의 도난 또는 분실등이 발생하는 것을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감시장치에서는 가정,상점, 사무실등에서 도난 또는 분실에 따른 범죄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거나, 범인을 용이하게 색출할 수 있도록 유선을 전송 매체로 한 별도의 무인카메라(CCTV, 웹카메라등)를 설치 운용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난 또는 분실사건이 발생할 만한 위치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기에는 일반인들로 서는 케이블 설치공사에 따르는 많은 비용이 수반될뿐만 아니라, 사전계획 수립이 없던 불특정 지역(박람회, 전시회, 옥외 촬영장소등)에 대한 무인카메라 설치 필요시, 유선에 의한 사전설계가 요구되는 관계로 지정된 일정에 맞추어 설치 운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상감시장치는 설치된 무인카메라로 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감시하기 위하여 일반건물의 경우 관리실 상시 운용, 개인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한 PC를 활용할 수 밖에 없던 관계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 특정 장소와 지역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부터 침입자 출현시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무선카메라에 의해 자동감지되어 영상촬영 되어지며,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이동통신망과 밀결합되어 있는 보안서버에 자동 저장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폰에 비상통보 함으로써, 사용자는원격에서 휴대폰을 이용한 침입탐지 및 화상감시를 가능하게 하여 외부로 부터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에서의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 장치는,
이동물체를 자동 감지하여 촬영한 후 이에 상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과의 직접 무선접속에 의하여 영상데이터를 보안서버에 무선전송하는 무선카메라와,
상기 무선카메라로 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며, 전송된 무선카메라의 ID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휴대폰에 외부로 부터 침입자가 있음을 자동 통보하는 동시에, 화상감시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접속에 대하여 이에 상응하는 인증 및 제어절차를 수행한 후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무선송출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이용한 화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보안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에서의 보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카메라 200 : 이동통신망
300 : 보안서버 400 : 사용자(휴대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2는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카메라(100), 이동통신망(200), 보안서버(300), 사용자(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카메라(100)는 침입 물체를 자동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이동통신망(200)을 이용 무선으로 송출하는 한편,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이용 무선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보안서버(300)의 경우 이동통신망과는 무선데이터정합장치를 통하여 밀결합되어 있으며, 무선카메라(100)로 부터 송출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의 휴대폰에 외부로 부터 침입이 있음을 알리는 비상통보를 하게되며, 이후 사용자 휴대폰으로 부터의 입력되는 기능 키의 분석 및 선택에 의하여 휴대폰으로의 화상전송 및 무선카메라의 위치 제어 기능등을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400)의 경우 휴대폰 이용자를 지칭하며, 사용자는 휴대폰을 이용 보안서버(300)와의 무선접속에 의한 영상데이터의 수신 및 화면 디스플레이, 무선카메라 제어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며, 사전에 본 발명인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사용을 위한 등록 되어진 휴대폰으로 이용이 제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MobileNetwork)에서의 보안장치는, 외부인의 침입시 무선카메라의 자동감지에 의하여 영상 촬영되며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안서버 및 사용자의 휴대폰에 직접 무선전송 됨으로써, 사용자(휴대폰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통한 화상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는 장소 및 시간의 구애됨 없이 화상감시 대상지역에 무선카메라를 설치 운용할수 있다.
또한 보안서버를 통한 화상데이터의 저장시 침입자 자동감지 또는 사용자 요구시에 국한되어 영상촬영 및 저장됨으로 투자비용이 경제적이며, 기존 유선에 의한 화상감시 장치 및 무인경비업체 대비 저비용에 의한 개인별 자가방범 구현으로 사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이동물체를 자동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과의 직접 무선접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휴대폰으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카메라와,
    상기 무선카메라로 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며, 전송된 무선카메라의 ID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휴대폰에 외부로 부터 침입자가 있음을 자동 통보하는 동시에, 화상감시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접속에 대하여 이에 상응하는 인증 및 제어절차를 수행한 후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송출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이용한 화상감시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보안서버와,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을 기반으로 무선카메라, 보안서버, 사용자의 휴대폰 상호간 접속 및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KR20-2003-0019002U 2003-06-17 2003-06-17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KR200328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02U KR200328504Y1 (ko) 2003-06-17 2003-06-17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02U KR200328504Y1 (ko) 2003-06-17 2003-06-17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504Y1 true KR200328504Y1 (ko) 2003-09-29

Family

ID=494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02U KR200328504Y1 (ko) 2003-06-17 2003-06-17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5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876A (ko) * 2007-02-26 2007-03-16 박명종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의 카메라 보안 감시용 리모컨 및이를 이용한 카메라 보안 감시 시스템
US9967446B2 (en) 2015-09-09 2018-05-08 Itx-M2M Co., Ltd. Personalized shopping mall system using virtual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876A (ko) * 2007-02-26 2007-03-16 박명종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의 카메라 보안 감시용 리모컨 및이를 이용한 카메라 보안 감시 시스템
US9967446B2 (en) 2015-09-09 2018-05-08 Itx-M2M Co., Ltd. Personalized shopping mall system using virtual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73B1 (ko) 가정용 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KR20060096910A (ko) 통신 중계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JP2007528620A (ja) 携帯用監視カメラ及びこれを利用した個人防犯システム
KR20090012542A (ko) 로봇을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US201702783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lap detection in surveillance camera network
KR20100006302A (ko)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JP2002015390A (ja) 遠隔監視方法および監視制御サーバ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US20160044282A1 (en) Desk-side surveillance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5921A (ko)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60060018A (ko) Ip/sip/ims카메라, ip/sip/ims카메라가 구비된 사설보안시스템 및 사설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10139017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방범 겸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28504Y1 (ko)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JP3843733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
KR100810578B1 (ko) Ip셋탑박스와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시간 문자방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6169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200406427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343438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013617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US20050071883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0108490A (ko)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
KR1011234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065134B1 (ko) 경비효율을 높인 로컬 경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