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439Y1 - 부동전 - Google Patents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439Y1
KR200328439Y1 KR20-2003-0021987U KR20030021987U KR200328439Y1 KR 200328439 Y1 KR200328439 Y1 KR 200328439Y1 KR 20030021987 U KR20030021987 U KR 20030021987U KR 200328439 Y1 KR200328439 Y1 KR 200328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valve housing
discharge 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임
Original Assignee
서종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임 filed Critical 서종임
Priority to KR20-2003-0021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부동전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수관과 연결설치되는 밸브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부품구를 절감시키면서도 밸브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구성으로는 밸브하우징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되, 통수로가 밸브하우징의 하부관체의 중앙부를 거쳐 밸브하우징의 중단부 일측 내면의 밸브작동실로 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통수로의 토출구는 2개이상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하며, 토출구 반대편(통수로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어떤 부위도 관계없음)의 낮은 위치에 통상의 퇴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작동실에 내설되어 상단의 손잡이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는 중앙상단에 밸브축봉이 결합되고, 다수의 통수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고무패킹부재를 씌워 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밸브가 밸브작동실의 하부로 이동하여 퇴수공을 폐쇄함과 동시에 토출구가 개방되어 원수공급이 이루어지고, 밸브를 닫게 되면 밸브가 상승하여 토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퇴수공이 개방되게 되어 부동전 내부에 차 있던 물이 자연적으로 퇴수공을 통하여 퇴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하우징이 종래 2~3조각으로 분리형성되어 있던 것을 일체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밸브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크게 감소하게 되고, 또, 조립성이 증대되어 생산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원가절감효과가 큰 부동전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부동전{a nonfreezing valve}
본 고안은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증대와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이로 인한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부동전이란 동절기에 동파를 막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도 밸브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실외에 설치사용된다.
부동전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상단에 밸브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를 가진 상부하우징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내부에 손잡이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를 내장함과 동시에 퇴수공을 가진 밸브하우징이 설치되며, 상부하우징과 밸브하우징과의 사이에는 길이가 긴 통수관과 단열보호통이 연결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통수관내부를 관통하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축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부동전의 밸브하우징은 적어도 2∼3개의 몸체로 분리구성되어 있으며, 위와 같이 분리구성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퇴수공을 개폐시키는 개폐구를 장착한 밸브축과 밸브가 분리구성되어 있는데다가, 밸브의 하부에는 사다리꼴 압축스프링 또는 원통형의 압축스프링이 내장설치되어 항상 밸브를 밀어올려 통수공을 막을 수 있게 하여야 하고, 밸브축의 하단이 밸브상단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동전은 밸브하우징이 여러조각으로 분리형성되어 있고, 또, 밸브에 작용하는 사다리꼴 압축스프링이나 원통형의 압축스프링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며, 누수확률이 높고, 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결점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밸브하우징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구성됨에 따라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고, 이에따라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부동전에 대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부동전의 하부에 위치한 밸브하우징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통수로가 밸브하우징의 하부관체 중앙부를 거쳐 밸브하우징의 일측면을 통하여 내부로 통하도록 구성하고, 밸브는 부동전의 손잡이와 연결설치된 밸브축에 바로 연결구성시켜 종래 필수구성이었던 압축스프링이 전혀 불필요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과 조립성 증대, 그리고 이로 인한 생산성 및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부동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B에서 본 측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부동전의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도 1∼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21)와 배출꼭지(22)를 가진 상부동체(2)와;
원수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설치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수나사부(31)를 형성하여서 된 하부관체(32)와 일측에 퇴수공(33)을 형성하여서 된 밸브하우징(3);
그리고 상기 상부동체(2)와 밸브하우징(3)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손잡이(21)와 연결된 밸브축(41)을 설치하여서 된 통수관(4) 및 단열보호통(42)으로 된 통상의 부동전에 있어서,
밸브하우징(3)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되, 통수로(34)가 밸브하우징(3)의 하부관체(32)의 중앙부를 거쳐 밸브하우징(3)의 중단부 일측 내면의 밸브작동실(35)로 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통수로(34)의 토출구(34')는 2개이상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하며, 토출구(34') 반대편(통수로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어떤 부위도 관계없음)의 낮은 위치에 통상의 퇴수공(33)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작동실(35)에 내설되어 상단의 손잡이(21)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5)는 중앙상단에 밸브축(41)이 결합되며, 다수의 통수구멍(5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고무패킹부재(52)를 씌워 밸브(5)를 개방시키게 되면 밸브(5)가 밸브작동실(35)의하부로 이동하여 퇴수공(33)을 폐쇄함과 동시에 토출구(34')가 개방되어 원수공급이 이루어지고, 밸브(5)를 닫게 되면 밸브(5)가 상승하여 토출구(34')를 막음과 동시에 퇴수공(33)이 개방되게 되어 부동전의 통수관(4) 내부에 차 있던 물이 자연적으로 퇴수공(33)을 통하여 퇴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밸브하우징(3)을 종래 분할구조와 달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또, 일체형이면서도 통수및 밸브(5)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수로(34)를 종래 수직으로 형성한 것과는 달리 하부관체(32)의 중앙부를 통하여 밸브하우징(3)의 일측면을 통하여 형성되게 하되, 토출구(34')가 밸브작동실(35)의 내부 측벽으로 통하도록 하며, 퇴수공(33)이 상기 토출구(34')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형성되게 함으로서, 손잡이를 돌려 밸브(5)를 상승시키면 밸브(5)가 상승하여 토출구(34')를 막아 원수의 유입을 통제하게 되고, 이 때 통수관(4)내에 잔류하는 물이 밸브(5)에 형성된 통수구멍(51)을 통하여 하강하여 퇴수공(33)으로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부동전의 동파를 예방하게 되고, 손잡이를 돌려 밸브(5)를 하강시키면 토출구(34')가 개방됨과 동시에 퇴수공(33)이 막히게 되어 토출구(34')를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밸브가 승강하는 구성(손잡이와의 연결상태에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고 수직으로 승강할 수도 있음)이기 때문에 밸브 표면의 고무패킹부재(52)가 토출구(34')의 모서리부분에 마찰되면서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구(34')를 통수로(34)와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하지 않고 두 세개의 토출구(34')로 되게끔(다시말하면 구멍의 크기가 작아지면서도 수량의 차이가 적도록 하기 위해)형성함으로서 고무패킹부재(52)의 마모를 최소화시켰으며, 더불어 밸브(5)를 종래와 달리 손잡이와 연결된 밸브축(41)하단에 바로 연결구성하였으므로 압축스프링 등과 같은 부품이 전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다수조각으로 분리형성하여 조립하던 밸브하우징이 한 동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밸브(5) 또한 스프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절감효과와 조립성 증대, 그리고 생산성향상으로 원가절감효과가 크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밸브(5)가 승강하면서 토출구(34')및 퇴수공(33)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밸브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회전식이든 푸쉬버튼식이든 간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범용성이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밸브하우징(3)이 한동체로 형성되고, 밸브에 스프링을 장착구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부품수가 종래 부동전에 비해 크게 절감되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성증대, 생산성향상, 외관단정, 누수예방 등등의 효과와 더불어 원가절감효과와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손잡이(21)와 배출꼭지(22)를 가진 상부동체(2)와;
    원수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설치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수나사부(31)를 형성하여서 된 하부관체(32)와 일측에 퇴수공(33)을 형성하여서 된 밸브하우징(3);
    그리고 상기 상부동체(2)와 밸브하우징(3)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손잡이(21)와 연결된 밸브축(41)을 설치하여서 된 통수관(4) 및 단열보호통(42)으로 된 통상의 부동전에 있어서,
    밸브하우징(3)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한 구성과;
    통수로(34)가 밸브하우징(3)의 하부관체(32)의 중앙부를 거쳐 밸브하우징(3)의 중단부 일측 내면의 밸브작동실(35)로 통하도록 형성한 구성과;
    상기 통수로(34)의 토출구(34') 반대편(통수로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어떤 부위도 관계없음)의 낮은 위치에 통상의 퇴수공(33)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밸브작동실(35)에 내설되어 상단의 손잡이(21)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5)는 중앙상단에 밸브축(41)이 결합되고, 다수의 통수구멍(5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고무패킹부재(52)를 씌워 밸브(5)를 개방시키게 되면 밸브(5)가 밸브작동실(35)의 하부로 이동하여 퇴수공(33)을 폐쇄함과 동시에 토출구(34')가 개방되어 원수공급이 이루어지고, 밸브(5)를 닫게 되면 밸브(5)가 상승하여 토출구(34')를 막음과 동시에 퇴수공(33)이 개방되게 되어 부동전의 통수관(4) 내부에 차 있던 물이 자연적으로 퇴수공(33)을 통하여 퇴수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2. 제1항에 있어서,
    토출구(34')는 두개 이상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KR20-2003-0021987U 2003-07-04 2003-07-04 부동전 KR200328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87U KR200328439Y1 (ko) 2003-07-04 2003-07-04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87U KR200328439Y1 (ko) 2003-07-04 2003-07-04 부동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439Y1 true KR200328439Y1 (ko) 2003-09-29

Family

ID=4933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87U KR200328439Y1 (ko) 2003-07-04 2003-07-04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4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403B1 (ko) * 2018-07-31 2019-01-25 이병교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403B1 (ko) * 2018-07-31 2019-01-25 이병교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53B2 (en) Non-freeze wall hydrant
KR200328439Y1 (ko) 부동전
CN2826032Y (zh) 泵用排水阀结构
CN215522089U (zh) 一种防冻阀以及应用有该防冻阀的热水器
CN104729187A (zh) 冰箱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219378Y1 (ko) 부동전
KR100311078B1 (ko) 부동전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200384595Y1 (ko) 편심 플러그 밸브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363445B1 (ko) 손잡이 없는 부동전
KR20150057276A (ko) 부동전
KR200244396Y1 (ko) 부동전
KR200327504Y1 (ko) 부동전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166379Y1 (ko) 부동전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187813Y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18899192U (zh) 盖体组件和液体加热容器
US7093610B2 (en) Outdoor hydrant-type water faucet
KR102519384B1 (ko) 회전식 개폐밸브
KR200327059Y1 (ko) 동파방지용 수도전
KR19990033273U (ko) 부동전.
KR200368772Y1 (ko) 리프트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